하나님의 도성 _1권(2/2)

 

 

성 아우구스티누스|조호연·김종흡 옮김/크리스천 다이제스트

 

[자살] 16~28

16. 포로중 성폭행 당한 처녀들과 그들의 영혼의 청결여부에 관하여

17. 징벌이나 불명예에 대한 두려움으로 자살하는 경우

18. 정신은 침해당하지 않았지만, 타인의 정욕으로 육체에 가해질 수 있는 폭력에 관하여

19. 자기에게 행해진 폭행 때문에 목숨을 끊은 루크레티아에 관하여

20. 그리스도인은 어떤 경우에도 자살 할 수 있는 권위가 없다.

 

21. 살인죄가 되지 않으면서 사람을 죽이는 경우

. 하나님의 권위로 전쟁 수행하는 사람

. 국가의 권위를 대변하면서 범죄자에게 사형 집행하는 사람

. 아브라함의 이삭 번제, 입다의 딸, 삼손이 적들과 함께 죽은 것

 

22. 자살은 당사자의 정신력이 강하다는 것을 증명해 주지 않는다.

23. 카이사르의 승리를 참아 낼 수 없었기 때문에 자살한 카토의 예

 

24. 레굴루스가 카토를 능가한 그 덕목에서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뛰어나다.

. 레굴루스가 자살하지 않은 것은 목숨에 집착했기 때문이 아니라 현세에서의 생명을 귀중하게 보지 않았기에 자신의 생명이 고문에 의해 종식되도록 선택했다.

. 세상나라를 방어하고, 거짓 신에게 진실된 숭배행위를 한 레굴루스도 자살을 거부했다면, 하늘 나라의 시민권을 열망하는 그리스도인들은 당연히 자살하지 말아야 한다. 하나님이 섭리로 그리스도인들을 시험하거나 올바른 길을 가도록 적에게 맡기시더라도... (선인의 고난)

 

25. 죄로써 죄를 회피하고자 노력해서는 안된다.

26. 어떤 특별한 경우 성도들의 행동이 본받을 만하지 않다.

.“정절을 지키기 위해 강물에 몸을 던진 경건한 여인들이 순교자라 칭송 받음”에 의문 제기(vs암브로시우스)

. 삼손, 아브라함의 경우는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행동한 경우와 다르다.

. 죽음후의 삶을 갈망하므로 자살하는 것은 죽음 이후에 더 나은 삶으로 용납되지 않는다.

 

27. 죄를 피하기 위해 자살을 선택해야 하는가?

. 그렇다면 세례 받는 순간에 자살해야 한다. 그때가 가장 깨끗할 때이니깐

 

[28-29] 그리스도인이 받은 적으로부터 받은 고난

28. 적군은 하나님의 어떤 판단에 그리스도인의 몸에 정욕을 충족시키도록 허락 받았나?

. “그의 판단은 측량치 못할 것이며 그의 길은 찾지 못할 것이로다. (롬 11:33)”

. 포인트는 당신이 죄 짓는 것에 동의 하지 않고 순결, 절제, 정결을 소유하고, 타인의 시선에 지나치게 신경쓰지 않고, 타인을 시기하지 않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중 당신들의 마음이 어디에 집중되어 있는지 알지 못하므로 나도 비난하지 않겠다. → 타인의 칭찬이 없는 것에 집중하지 말고, 타인의 눈에 제시할 수 없는 것을 간직해라.

. 해석1) 육신이 모욕당하지 않았다고 자랑하는 이들, 모욕당해서 자랑 못하는 이들 모두 겸손을 배움

. 해석2) 하나님이 부여하시고 기뻐하시는 순결을 이렇게 빼앗길 수 있다면 하나님이 이러한 상황을 허락하지 않으셨을 것임을 알게 된다.

 

29. 하나님이 적의 흉포함으로부터 그리스도인들을 구원하지 않았다고 공개적으로 비난하는 자들에게 줄 답?

1) 나의 고통의 시간은 내 믿음을 시험하시거나 벌주시는 것이다. 충성스런 인내 후에 영원한 상급이 있다.

2) (시96:4-5) 만방의 신은 헛것.. 모든 신보다 경외할 하나님에 대해 너랑 논할 가치가 없다.

 

[30-34] 쾌락을 추구한 로마와 하나님의 자비

30. 그리스도교에 대해 불평하는 자들은 쾌락을 억제 당하지 않고 살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 평화와 번영을 바라는 이유? 다양한 쾌락을 추구하기 위함 → 결과 : 도덕적 타락

. 훌륭한 로마인으로 뽑힌 스키피오가 카르타고 파괴에 동의하지 않은 이유는 건전한 두려움이 적절한 보호가 되기 때문, 적을 두려워하고 있을 때 유지되던 높은 도덕적 수준이 붕괴되고 같은 시민들에게 잔학한 일을 당함 → 인간의 악중 로마에서는 권력욕이 세력가들 사이에 자리잡고, 나머지 사람들은 노예화됨

 

31. 권력을 향한 열정이 어떤 단계를 거쳐 로마인들 사이에 증가되는가.

. 스키피오는 원형극장으로 부패한 그리스 풍습이 로마의 도덕성에 침투 되도록 해서 안된다고 주장했으나..

 

32. 연극 공연물이 확립된 발단에 관하여

. 스키피오는 도덕적 질병예방을 위해 극장을 반대한 반면 신들은 육체적 질병을 고쳐주기 위해 자신을 경배하고 연극 공연을 하라고 명령했고 병은 자연적으로 진정된 반면 도덕성에 심각한 질병을 감염시킴

 

33. 로마인들은 로마가 붕괴되었어도 자신들의 악을 교정하지 않았다.

. 자신들의 몰락을 외국에서는 애통해하는데 정작 로마인들은 극장으로 몰려들었다. 그러므로 지금이 나쁜일이 그리스도교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하면서 스스로의 악행은 고치지 않는다.

 

34. 로마의 완전한 파멸을 막은 하나님의 자비에 관하여

. 하나님은 로마인들이 회개하여 잘못을 고치도록 권고하고 있음

 

35. 사악한 자들 사이에 있는 교회의 아들들에 관하여, 교회안의 거짓 그리스도인들에 관하여

. 하나님의 도성을 반대하는 자들 중 미래 동료 시민이 있음을 잊지 말고, 그들이 신앙 고백하는 모습을 볼 때 까지 열매 없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또한 지금 함께 예배하지만 하나님의 도성에 함께 갈수 없는 이들도 있다. (불평, 극장 출입과 예배 출입)

. 두 도성은 결합되고 혼재되어 있으므로 최후 심판으로 분리될 날을 기다리고 있다.

. 하나님의 도성의 영광을 높이기 위해 두 도성의 기원과 발달, 목적에 대해 아는 데로 설명하겠다.

 

36. 다음 논의될 주제

(1) 로마 속주들이 희생제 금지 전(그리스도인의 활동이 없었음에도)에 겪은 재난이 있었음을 설명

(2) 로마가 성공하도록 하나님이 도우신 부분 vs 로마의 신들이 로마인들을 돕지 않고 기만&배신으로 해입힘을 증거

(3) 죽음 이후의 삶을 위해 로마의 신들을 숭배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들에게 답변

하나님의 도성 _1권(1/2)

 

 

성 아우구스티누스|조호연·김종흡 옮김/크리스천 다이제스트

 

■ 총평

. 정말 말이 많다.(자주 곁가지로 간다.) 표현을 잘한다.

 

  머리글 : 저술 의도와 주제

. 하나님의 도성을 옹호하기 위함

. 자신의 지배욕에 의해 지배당하는 세상 도성에 대해서도 말할 예정

 

[1~7] 고트족이 로마를 침략 할 때 그리스도 때문에 살려주었던, 그리스도의 이름에 대한 반대자들에게 패배자들의 신에 대한 존중심으로 패배자들을 살려준 사건은 지금까지 없었으며, 로마가 약탕당할 때 받은 관대한 행위는 그리스도의 이름의 능력 때문이라는 주장

 

야만족 침입자이면서 아리우스파 기독교인이었던 알라릭(고트족)이 교회당으로 피신한 사람들에게 관대한 태도를 보이므로 당시 많은 로마인들이 교회당으로 피신했음을 기억하라고 한다. 또한 “어려움과 고통의 원인을 하나님의 섭리로 돌려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하나님은..재앙을 사용하여.. 훈련시키며..전쟁을 사용하여 계속적으로 인간의 타락과 품성을 교정시키고 정결케 하시기 때문이다.“(ex. 코로나)

 

[8~9] 선인과 악인이 동일하게 고난 당하는 것

선인과 악인의 정의

8. 차별 없이 임하는 축복과 불행에 관하여

(1) 하나님의 자비 “왜 하나님의 자비는 하나님께 감사하지 않는 자들에게까지 미칠까?“ (마5:45, 해를..비취게 하시며, 비를... 내리우시는)

(2) 축복과 불행의 사용 예 : “선인들은 이 세상의 좋은 일들로 인하여 의기양양해 하지도 않고, 이 세상의 나쁜 일들로 인하여 압도당하지도 않는다. 그러나 악인은 현세의 행운에 의해 타락해 있기 때문에, 불행에 의해서는 자신이 징벌 받는다고 느낀다.”

(3) 행운과 불운에 대한 하나님의 명확한 행동양식 (?) “행동양식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4) 선인과 악인이 당하는 고통에 차이는 없으나 결과는 다르다. 선인은 검증되고, 정결, 순수하게 되고, 악인들은 저주, 파멸로 작용하며, 선인은 기도하고 찬양하지만, 악인은 하나님을 저주하고 모독한다.

 

9. 똑같이 고난당하는 여러 가지 이유 : 현세적 생활을 사랑하기 때문에

. 선인은 현세적인 삶을 경멸함으로 다른 사람들이 교훈을 얻어 마음을 고쳐먹고 영원한 삶을 목표로 할 수 있도록 해야 함 (파수꾼)

(1) 물질적 욕망에 굴복한다.

(2) 큰 죄는 저지르지 않더라도 사소한 죄에는 빈번하게 빠져들고 있다.

(3) 책임을 회피하는 경향(에스겔 3:18, 33:6) : 죄악에 대해 유약한 태도 보이거나 두려워함

(4) 고난에 악인과 함께 연루되어 삶을 괴롭다고 느낌

→ 선인들이 죄인들에게 쓰라리지 않은 이유는 선인들도 세상의 달콤함을 사랑했기 때문임(재물, 명성)

(5) 악인들을 꾸짖어야 할 죄악을 너그러이 보아 넘기므로

→ 악인들의 죄악에 간섭하지 않는 것은 사랑이 아니라 이기심의 결과 (자비로운 생각 일수도 있으나)

 

[재물]10. 성도들은 세상 재물을 빼앗겨도 잃는 것이 아무것도 없다. (딤전 6:6-10)

. 재물을 하늘곳간에 두므로 이땅에서 안전함

. 오랜 굶주림으로 비참하게 되었다고 하더라도 충성되고 신실한 사람들은 기아마저 유익으로 전환시켜주심

(1) 굶주림으로 죽은 사람들은 현세의 악과 이별하게 된 것

(2) 살아남은 사람들은 검소하고 더 금식 실천하면서 사는 가르침을 얻게 됨

 

[죽음] 11~13. 그리스도인들이 살해당하고 매장 안된 것이 허물이 아니고, 죽은 자에게도 해가 되지 않는다.

Q. “많은 그리스도인들도 살해 당했고 온갖 종류의 끔찍한 질병으로 목숨을 잃었다.”

 

11. 인생의 종결에 관하여

. 죽음 후에 더 나은 삶이 기다리고 있다면, 죽음은 재앙으로 간주 될수 없다. 죽어야 한다면 어떻게 죽느냐에 두려워하지 말고 죽음 이후의 목적지를 염려해야 한다.

 

12. 시신의 매장 : 매장되지 않아도 해를 입지 않는다.

Q. “살육의 소란 속에서 많은 사람들은 매장조차 될수 없었다.”

. 매장되지 않은 그리스도인의 시신에 대한 모욕에 대한 답변

. “몸은 죽여도 영혼은 능히 죽이지 못하는 자들을 두려워하지 말라”(마 10:28)

. 장례는 산자들을 위로하는 것이다. but 거지 나사로의 경우 아브라함의 품안에서 더 화려한 장례를 맞는다.

 

13. 성도들의 시신을 매장하는 여러 가지 이유

. 육체는 인간 본성 자체 이다.

. 예수님의 시체 거둔 사람들에게 칭찬 (요19:38~)

∴ 생명 없는 시체에 행한 봉사가 하나님께 기억된다면 살아있는 사람들에게 베푼 선행의 상급은 더 크다.

 

 

[포로] 14~16

14. 사로잡힌 성도들에 대하여 : 하나님의 위로가 계속된다.

Q.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포로로 끌려갔다.

. 성경의 위로 : 다니엘, 요나 등

 

15. 종교를 위해 자기에게 이익되지 않는 자발적 포로생활을 참아낸 레굴루스

. 신의 숭배로 훗날 행복을 얻게 된다면, 레굴루스는 엄청 열심히 숭배했는데 고통당하며 죽었다. 신 숭배를 버려서 로마에 파국이 임했다고 그리스도인을 비난하는 것은 논리에 맞지 않다.

. 신에 대한 맹세를 지키기 위해 고난 받고 죽은 레굴루스가 비난 받지 않는다면, 성도들의 투옥에 관해서도 그리스도의 이름이 비난받을 이유는 없다.

[불멸의 다이아몬드]_7장 총부리 앞에서의 각성

 

출판사 : 한국기독교연구소 (리처드 로어, 김준우 옮김)

  

더보기

1. 죽음과 공포

2. 죽어가는 것에 대하여

3. 집착과 초연

4. 하나님과 죽음

 

. 하나님과 죽음 : ‘삼키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 자신을 타인에게 맡겼을 때 느끼는 감정

  . 인간의 자세 : 저항, 도망

   . 성년식의 경험 : 하나님과 죽음의 직면 경험, 죽음이 진짜 자기에게 해를 끼칠 수 없다는 것의 인식 도움

   . 총부리 앞에서의 각성 : 임종하기 직전에 가짜 자기의 포기 (죽음=구원)

 

.“내가 죽었다고 해서 도대체 무엇을 잃었는가?” (“존재의 근거”/폴 틸리히) = 본래 자기가 되는 일

   . 본래 자기 : 깊은 곳에서는 알고 있었지만 표면적으로는 모르고 있던 자기

 

. 총부리 앞에서의 각성 : 임종전에 가짜 자기 포기하는 것

. 죽음 : 영적 사건 (현대는 단순한 의살 사건화 함) (ex) 출생

. 구원 : 사랑에 모든 것을 내어 맡기는 필수적 과정 - 에고는 경쟁(경주)으로 바꿈으로 ‘지옥’화 함

 

1. 죽음과 공포

.(롬7:20) 진짜 자기 : 바울은 가짜 자기를 따르는 것을 ‘죄’라고 부른다.

. 가짜자기는 죽음을 겁낸다. ‘나 자신’이라고 정의한 에고가 죽는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

   . 죽음을 직면하지 않으려는 인간의 미룸과 지연 vs “하나님의 완전하며 오래 참으시는 사랑”

 

. 진짜자기는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자신이 있던 곳)

. 영과 영성은 물질적 요소를 갖고 인간은 모두 삶과 죽음을 겪는다.

. 성령, 부활, 악은 실질적이며 물리적인 힘의 작용이 미치는 범위(역장)이다. (영적, 물질적 연결이 있음)

∴ 부활의 역장 안에서 물리적 삶에서도 그 힘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면 그 힘에 의존 할 수 있고, 그 힘 안에서 살 수 있다. 예수님이 불어넣은 숨(요20:22)으로 인해 성육신은 우리 안에서 부활로 살아갈수 있게 했다. 이 깨달음은 또한 우리가 예수님과 함께 ‘무덤 속으로 들어가야’(롬6:4)하고, 여인들 처럼 무덤 앞에서 기다려야 한다는 것이다. 이 여인들처럼 타인의 고난에 연대하는 것은 직접 고난을 겪는 것 만큼이나 많은 것을 배우게 된다. (예) 응급실/장례식 경험

 

. (융) 예수님은 인간의 여정 위한 적절한 map

. 인간은 자신의 길을 안내할 효과적 ‘구원자’를 필요로 하는데 예수님은 ‘사랑이 승리한다’는 것을 보증하시는 증거이며 약속이다.(엡1:14)

. 부활을 가장 깊은 차원의 욕망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하나님의 욕망이 우리의 욕망이 될 때 까지 우리를 통해서 성령께서 간구하시는 것이다.

 

. 죄의 핵심 : 예수님과 우리가 따로 떨어져 분리되어 있다는 거짓말 (5장 신화)

. 아버지와 나는 하나이다(요10:30) : 모든 사람들을 위한 궁극적 모델이며 인도자

. 모든 죽어가는 이들을 집으로 데려가시는 분은 ‘만민의 아버지 이신 하나님 한분’ (집으로.. 헨리 나우웬)

. 십자가에 달리신 분은

   . 이 땅에서의 고난과 재난에 하나님께서 지속적으로 연대하신다는 것과

   . 이러한 고난과 비극이 최종적인 것이 아니라는 점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이다.

. 부활하신 분은

   . 이 세상에 대한 하나님이 최종적 말씀이며

   . 하나님께서 모든 고난에 대해 어떤 계획을 갖고 계신지를 보여주신 것이다.

 

2. 죽어가는 것에 대하여

. 마가복음에서 예수님의 수난을 자세히 설명한 것은 ‘필연적인 죽음’을 인간들이 부인하고 피하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 기계적 속죄론으로 정리함으로 예수님의 죽음만 강조하고 인간의 죽음은 숙고하지 못하게 됨

 

. 성육신은 전적인 하나님의 선물, 구원, 하나님에 관한 인간의 마음을 바꾸기 위함

. 예수님의 죽음은 인간의 문제를 드러내심 : 사랑해야 하는 것을 두려워하고 죽이는 인간의 문제

. 십자가형과 부활에서 예수님은 ‘죽음이 사랑보다 강하다’는 것이 거짓말임을 폭로하고 부활절에 죽음의 극복을 기뻐하게 하심

∴ 우리는 죽기 전에 죽어야 하며, 그렇다면 어떻게 죽을 것인지 알게 되고 더 이상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게 될 것. 예수님의 샬롬!

 

. 진짜를 체험하고 부활하신 분을 만나면 가짜, 과거, 사소한 것 쉽게 내려 놓기 가능. (p58, 6장 “신의 유혹”)

 

3. 집착과 초연

. 생명은 낮은 곳으로 흘러들어가며, 항상 사랑으로 변형되며, 만물 자체로 용서하므로 죽음보다 훨씬 강하다.

. 가짜자기는 하나님의 경륜속에서 사용되고 변형되므로 진짜 자기를 열정적으로 사랑하면서 가짜 자기에는 초연함의 영적기술을 잊지 말아야 한다. 둘 다 필요하지만 진짜 자기가 더 크고 영원하다.

 

4. 하나님과 죽음

. 역사적 사건들을 허용하신 하나님은 폭력, 징벌, 통제하지 않으신다. (폭력을 폭력으로 막지 않으심)

. 하나님은 사랑에 헌신하심 = 자유에 헌신하심 = 강제와 통제의 포기

. 죽음을 두려워함 = 하나님을 두려워함 (둘 중 하나 해결하면 나머지도 해결됨)

 

. 우리의 온전한 수단 = 삼위일체 (하나님 = 삼위일체) : 이분법적 사고로 이해 부족

   . 하나님은 동사 : 관계성 자체, 신비의 하나님으로 인간이 파악 할 수 있는 고립된 신이 아님

   . 삼위일체 개념 : (3-4세기 카파도키아 교부) 세분의 친밀한 파트너들이 전적으로 내어주며 완전하게 받는 원무(圓舞,윤무), 전체를 받아 다시 넘겨주는 자기 비움의 사랑을 3자에게 반복

 

. 하나님은 오직 사랑만 아시며 항상 사랑하신다. : 자비가 넘쳐 흐르는 물레방아는 더 많은 생명과 창조적 생명, 죽음보다 강한 사랑이라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 과학, 생물학, 천체물리학에서 삼위일체적 진리 확증

   . 삼라만상을 관계성 : 만물의 형태가 끊임없이 상실, 갱신, 죽음과 부활, 자기를 잃고 큰 자기를 찾는 과정을 거치므로 죽음을 신뢰하고, 하나님을 신뢰하고 자신을 더 신뢰하도록 만들기를 희망하는 sign.

빅터 프랭클 <영혼을 치유하는 의사> 2장 A. 일반 실존 분석

 

 

Ⅱ. 정신분석에서 실존분석으로

A. 일반 실존 분석

1. 삶의 의미에 대하여

. 정신분석과 로고테라피(의미치료)의 차이점 : 영적인 것을 의식하게 하고자 함

. 로고테라피 : 실존적 본질상 (의미에 대한) 책임을 지는 존재라는 것을 인간에게 의식시키고자 함

  . “삶의 의미”

 

존재 의미 묻기

. 인간만 실존을 의문하고 존재적 의심을 경험

. 영적 곤궁과 정신질환 사이에 배타적인 관계의 증거 :

    내분비성 우울증이 발현할때는 우울하지 않다가 건강한 시기에만 삶의 의미에 대해 고민했던 환자

. 촛불은 연소과정으로 보아도 되지만 인간은 본질적으로 그와 다른 “역사적 존재” - 의미에 의해 좌우됨

    개미무리의 움직임과는 다른 목적 지향적(의미 있는) 인간 ∴ 역사적

. 삶의 의미에 대한 질문이 올라오는 시기 : 병적이라고 할수 없음

  (1) 사춘기

  (2) 충격적 경험을 할 때 운명적으로 생김 : 충만한 삶을 갈구하는 정신적 곤궁과 영적 투쟁

  ∴ 로고테라피의 대상은 정신적으로 힘들어하지만 임상적으로 병들었다고 볼수 없는 사람들을 대상으로함

 

‘영성에서 출발하는 심리치료’

  . 정신적으로 불안한 사람들에게 불안의 상쇄를 위해 영적 뒷받침 제공이 필요

  . 영적 문제를 ‘증상’으로 취급하지 말고 함께 이루어야 하는 ‘성취’로 해석 (오스발트 슈바르츠)

    → 외적인 이유로 정신적 균형 잃어버린 사람들에게 필요한 도움

  . 삶을 긍정하는 세계관의 중요성 : 장수 노인들의 특징 등..

 

초의미

. super-meaning : 세계의 목적은 세계외부에 놓여있으므로 초월적이다. 세계전체의 의미는 파악 할 수 있는 것을 넘어서므로, 한정적으로 만 파악 할 수 있다. (신앙으로만 해결 가능 : “동물이 자신의 환경으로부터 인간의 세계를 이해할 수 없는 것처럼, 신앙 안에서 영감으로 뻗어 나가지 않는 이상 인간도 초세계를 파악할수 없다.”)

. 초인간적 차원으로 나가는 것은 사랑을 통해 이루어짐 (ex) 치료받는 강아지, 모성애 등..

∴ “초의미에 대한 믿음이 심리치료와 정신건강에 효과를 발휘한다.” (“믿음의 눈으로 보면 의미가 없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아무것도 헛되게 보이지 않으며, ”예정되지 않은 일이 없다“(빌트간스, Wildgans)”

. 인간(삶)의 유한성인 ‘시간’은 과거와 미래를 현재로 해석하므로 삶의 의미와 가치에 손상을 입히지 못한다.

(해석!! 과거에 이미 행한 현실, 미래는 ‘책임’앞에 열려 있는 지금)

 

쾌락 원리와 상쇄 원리

. 개인적인 삶의 의미

  . 정신분석에서는 인간의 쾌락을 중요하게 보지만 로고테라피에서는 쾌락 원리는 심리학의 인위적 산물

  . 인간이 원하는 것은 서로 다른데 쾌락원리를 인정하는 것은 인간의 목표를 평준화 하는 것

 

[신도의 공동생활]

1. 공동체 (성도의 교제)

디트리히 본회퍼. <신도의 공동생활>. 대한기독교서회.

 

. 원수들 틈에 살기 : 예수님께서는 원수들의 한복판에서 사셨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인들도 은둔 생활이 아니라 원수들 속에서 살아가는 것이 마땅하다. 일과 사명이 거기에 있다.

“당신들 원수들 한복판에 하나님의 통치가 임하도록 해야 한다.” (마틴 루터)

 

. 흩어져 살기 : 온 세상에 하나님 나라 씨앗으로 존재하기

. 함께 살기 : 방문하는 사람이나 방문 받은 사람은 자신을 찾아오신 그리스도를 발견하며 주님을 만난 듯 경외심과 겸손, 기쁨으로 대하고 영접하라. (함께 함이 은혜)

. 성도의 교제 : 그리스도인의 공동 생활 위한 안내와 규칙의 전제 조건

   -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의 교제

   - 그리스도인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만 타인에게 다가 갈 수 있다.

   (1) 구원과 의를 예수 그리스도에게서만 찾는다.

   (2)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만 타인에게 다가 갈 수 있다.

   (3) 성육신으로 인해 우리도 하나님의 아들 안에 있다. 그분이 계신 곳에 우리도 있다.

    -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행하신 일을 우리는 형제들에게 행해야 한다. (긍휼, 용서, 사랑...)

    - 타인의 성품이 성도의 교제의 근거가 아니고, 그리스도께서 그에게 행하신 일이 우리의 형제 관계를 규정한다.

 

. 그리스도인 형제 공동체가 분명하게 해야 하는 중요한 문제

  (1) 그리스도인 형제 공동체는 이상이 아니라 거룩한 현실이다.

  (2) 그리스도인 형제 공동체는 인간적 현실이 아닌 영적 현실이다.

    - 이상에 기초하면 무너진다. : 인간적 이상은 참된 공동체 방해 → 기독교 공동체의 파괴자

    (예) 선교사/목사들이 자신의 밥그릇을 위해 그리는 그림 들

   - 몽상 : 공동체 상을 꿈꾸고 있는 사람은 꿈을 이루기 위한 요구를 한다. 요구자로써 그리스도인 공동체로 들어가서 자신의 법을 만들어서 그 법에 따라 형제와 하나님을 심판한다. 자기 뜻대로 되지 않는 것을 실패라고 하며 형제, 하나님, 자기 자신을 정죄한다.

   → 하나님께서는 공동체의 기초를 이미 놓아주셨고, 이미 한 몸이 되게 하셨다. 그러므로 주시지 않은 것에 불평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에게 주시는 것으로 감사해야 한다.

  (3) 감사하는 것 : 일상의 선물, 작은 것...

  - 불평하고 고발하는 사람이 되어있다면 깨어야 할 이상이 없는지 자신을 점검해야 한다.

 

. 공동체는 성화(聖化)와 같다. 하나님의 선물이고 어떻게 되는지는 하나님 만이 아신다.

. 그리스도인의 형제애는 실현해야 할 이상이 아니라 영적 현실에 참여하는 것

. 공동체는 예수 그리스도에게 근거하므로 정신적 실재가 아닌 영적인 실재이다.

  - 영적 pneumatisch, geistlich : 성령만이 하실 수 있는 일

    . 기초는 진리, 본질은 빛, 사귐은 부르심 받은 자들의 교제, 아가페, 형제의 섬김, 겸손한 복종...

  - 정신적 psychisch, seelisch: 영혼을 토대로 한 자연적인 추동과 힘

    . 기초는 욕망, 본질은 어둠, 경건한 영혼들의 교제, 에로스, 무질서한 욕망, 교만한 굴복...

. 인간적 사랑 : 자기 자신위해서 타인을 사랑함, 본질상 욕망 → 미움, 멸시, 비방으로 변함

. 영적인 사랑 : 그리스도를 위해서 타인을 사랑함, 오직 예수그리스도의 말씀에만 매여 있는 사랑

  - 내가 그를 위해 무언가 하기 전에, 그리스도께서 결정적인 일을 하셨다.

  - 타인의 모습을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인식한다.

  - 타인에게 가는 가장 가까운 길은 그리스도께 기도하는 길

∴ 인간적 이상 vs 하나님의 현실, 영적 사귐 vs 정신적 사귐 : 차이 구별할 수 있는 능력 갖도록

→ . 공동체(결혼, 가정, 우정 : 의미가 있는 공동체)안에 혼합적으로 나타난다.

    . 영적인 공동체는 특별히 잘 살펴야 한다.

. 건강한 공동체

  - 전체 교회의 고난에 동참하며 함께 겪는 가운데 자신을 교회의 한 부분으로 이해

  - 정신적인 것의 한계가 어디인지, 영적인 것이 어디에서 시작되는지 잘 알고 있다.

  - 체험이 아니라 형제애에 대한 확실한 믿음이 하나되게 한다.

 

. ‘형제가 연합하여’ 동거함 = ‘형제가 그리스도를 통해’ 동거함

 

 

 

[거룩한 등정의 사다리_요한 클리마쿠스]

1~27요약 & 28~30 계단

 

1. 1~26요약

. 의문 : 강한 믿음이 극기와 자제의 근원, 하나님 사랑은 유배생활의 기초

. 건강의 근원인 자제의 근원은 죽음을 생각하는 것, 꾸준한 기도는 낙담의 죽음

. 289) 하나님의 영을 지닌 사람은 말과 겸손함에 의해 탐지, 무지는 순결에 큰 도움

. 293) 선한 성품은 두려움을 낳고 – 두려움 많은 사람이 다 선한 것 같지는 않지만(범죄안함)

 

2. 27번째 계단. 정적 (stillness; hesychia)

. 전쟁에서의 승리(인생질문, 6장), 스스로 성취한 자유를 통한 사탄의 책략 이해, 용감하고 단호한 생각은 정적의 동반자, 마음 깊은 곳에서의 정적의 실천

. 몸의 정적 : 감정과 지각 작용에 대해 알고 관리

. 영혼의 정적 : 생각 알기, 난공불락의 정신

. 정적을 이룬 사람은 신비의 중심에 이른 사람 : 사람들로부터 도망치고 하나님에게 빠짐

  - 가진 모든 것 나누어 주기, 순종하기, 먹는 것, 물질에 무관심

. 여러 가지 이유로 정적을 수행하지만 ‘낙담’이 자신에게 남아 있는 경우 홀로 지내는 시간이 힘들 수 있다. (공동체의 필요 : 게으름 – 제거 하는 사람도 있고, 육성되기도 함)

. 정적 바른 수행의 증거 : 신학 실천의 기초, 눈물 동반의 휴식, 수다의 종식

. 정적 잘못 실천의 표식 : 영적 보물 부족, 노염 증가, 분개 성장, 사랑의 감소, 허영의 급증

 

. 정적 실천 중 낙담(자신의 문제)과 싸우지 않기 : (312,풍성한) 기도와 관상으로 채워야 함

. 정적의 우선적 임무(304) : 개입(문제)하지 않기, 절박하게 기도, 거역 할 수 없는 마음의 활동

. 마귀의 난폭한 공격은 그들의 목적이 실패 했음을 보여주는 가장 좋은 증거

. 헤시키아 : 쉬지않고 하나님을 바라고 예배하는 것 (기도의 중지는 독거를 망하게 함)

  - (307) 때로 환대 조차도 하지 말 것. 양심과 상식을 따를 것

. 정적의 실천을 위해서는 두려워 해야 함(낙담을 쫓아 냄) : 죽음이 오는 것 항상 경계하기

. 정적의 조건 : 단순하고 자유로운 것 (자면서도 영적전쟁 하지만..)

. 손님 맞이시 가장 좋은 것은 모든 사람을 우리보다 윗 사람이라고 여기기

 

3. 28번째 계단. 기도

. 기도 : 인간과 하나님의 대화와 결합, 세상을 결속시키며, 하나님과의 화목을 이룸

  - 소멸된 분노, 우리의 상태를 보여주는 증거

. 종류 : 이야기, 요청, 애원, 간구

. 진심에서 우러나는 감사가 우선되어야 함, 순결과 눈물이 기도에 날개를 달아줌(315)

. (319) 기도시간에 하던일을 계속 하는 것은 마귀가 도둑질 하는 것임

. (322) 기도의 지팡이를 잡은 사람은 넘어지지 않을 것임

. 원수들에 대해 담대하면 하나님께서 기도를 가르쳐 주시며, 기도하는 사람에게 기도 주신다.

 

 

4. 29번째 계단. 무정념

. 완전한 자들의 완성되지 않은 완전

. 정념에 잡힌 사람은 쾌락에 빠지고, 무정념한 영혼은 덕에 빠짐

. (327) 독거하면서도 격분하는 것은 진노의 바다, 비방자가 있든지 없든지 평정 잃지 않는 것은 오래 참음의 바다

. 교만의 상징 : 초라한 옷을 입고서도 오만한 것

 

5. 30번째 계단. 믿음과 소망과 사랑

. 믿음 : 만물의 창조

. 소망 : 하나님의 자비로 둘러 쌓이며, 혼란으로부터 보호하심

. 사랑 : 중도에 정지하지 않으며, 황홀함에 의해 상처 받은 사람을 쉬게하지 않음

  - 사랑을 말하는 것은 하나님에 대해 말하는 것

  - 인간적으로 가능한 한도까지 하나님을 닮는 것

. 운 좋은 사람 : 하나님께 열심 내는 사람, 덕에 관심 갖는 사람, 하나님 앞에서 기도하는 사람,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려고 노력하는 사람 (332)

. 거룩한 사랑은 사로잡으므로(아4:9) 식사도 망각한다.

. 두려움의 증가는 사랑의 출발점

. 주님을 사랑하는 사람은 형제를 사랑한 사람

. 소망은 사랑의 배후에 있는 능력 : 소망이 사랑을 고대하게 만든다.

 

6. 요약과 권면

. 열심히 사다리를 올라가십시오.

 

 

거룩한 등정의 사다리_열한 번째 계단 ~ 열세 번째 계단 정리

 

1. 열한 번째 계단. 수다와 침묵

: 혀의 억제 / 일격에 많은 악을 근절한 사람

 

. 수다 : 허영 (자신을 과시하고 자랑하는) ≠ 지혜로운 침묵 (죽음에 대한 확실한 묵상)

수다 침묵
. 나쁜 생활 방식의 결과
. 허영 또는 탐식의 결과
. 하나님께 가까이 가는 사람
. 하나님과의 은밀한 만남과 깨우침
. 허영의 정복
. 죽음에 관심을 갖음

 

2. 열두 번째 계단. 거짓말

: 수다와 농담의 산물 / 축복의 근원을 획득한 사람

. 농담을 피할 때 사탄이 주는 생각 : 피하지 않으면 기도할 때 농담이 돌아온다.

   (1) 재치있는 사람의 기분을 상하게 하지 않게 해

   (2) 하나님을 더 사랑하는 것처럼 보이지 않게 해

   → 죽음과 심판에 대한 생각으로 나쁜 사람들과의 교제를 끊어라

. 위선 : 거짓말의 근원 (거짓의 발명자)

. 양심(주님을 경외하는 은사를 가진 사람에게 작동하는 재판관) 있는 사람은 거짓말 하지 않음

. 거짓말에 해악이 많다. (p154, 정념 이 갑자기 왜 나오는 걸까...)

. 풍성한 눈물이 거짓마을 파괴 (?, 154 마지막 문단)

. 거짓말의 충동에서 벗어 난 경우 : 아기, 악씻은 영혼, 취중, 양심의 가책에 취한 사람

 

3. 열세 번째 계단. 권태 /덕에 있어 탁월함

3.1 권태(싫증) : 수다의 양상/맏아들, 악덕 중 하나이며 영혼의 마비, 태만, 서원에 대한 적대감

   . 증상 : 우유부단한 기도, 봉사와 손으로 하는 작업에 몰두하게 함, 순종에 무관심, 독수사에게 구제위한 육체노동에 열정 갖게 함, 심방하게 하고 기도하지 못하게 방해함.

 

3.2 권태를 배격하는 경우

   (1) 순종하는 사람 : 영의 차원에 도달하기 위해 감각에 속한 것들을 사용함

   (2) 공동체 생활 : 독수사에게 정오에 찾아오는 귀신(권태, 낙담)

   (3) 애통하는 사람 : 죄를 기억함(심판을 망각하지 않음)

 

 

 

 

'영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도의 공동생활__1. 공동체  (0) 2024.02.07
거룩한 등정의 사다리_1~27요약 & 28~30 계단  (0) 2024.02.06
허드슨 테일러  (1) 2024.02.03
화해의 아이  (0) 2024.02.02
삶을 변화 시키는 성경 해석  (0) 2024.02.01

* 너무 오래전에 써놓은 독후감이라 어떤 책인지 조차 알수 없어서 제목만 공유합니다.

 

허드슨 테일러

  

  어릴적 인격적인 하나님과의 만남을 갖은후 아버지가 계속적으로 말씀하시던 중국선교를 위해 자신의 모든 삶의 코드를 중국선교에 맞추어 준비하던 허드슨 테일러가 영국뿐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중국의 내륙선교까지 일으키게된 과정이다. 무엇보다 재정훈련 과정에서 하나님의 철저한 채우심을 신뢰하며 기다리던 허드슨테일러는 실제 선교과정에서도 끊임없이 재정을 채우시는 하나님의 방법을 따랐으며, 개인의 경건생활을 철저하게 지키며 사역한 선교사로 묘사된다. (정말 가능한 일일까..그럴수 있을까 싶은 의문이 읽는 내내 정말로 컸다)  그러한 사역가운데 건강은 피폐해져 갔으나 사역은 하나님께서 친히 인도하시고 허드슨의 생각과 방법을 넘어 사역은 점차 성장해나가고 중국내 믿음의 사람들이 세워지게된다.

 

  허드슨 테일러의 전기는 많은 양의 책으로 되어 있는 것 으로 안다. 많은 기독교서적에서 조지 뮬러와 허드슨 테일러를 예화로 많이 봐왔어서 더 궁금했던 사람 중의 한사람이다. 그런데 이 얇은 책을 읽으며 그에 대한 의문은 더욱 커져갔고 정말 시간이 된다면 두꺼운(자세히 나온) 전기를 보고 싶다.

 

재정

그 첫째 이유는 그의 재정원칙.

  어쩌면 하나님께서 내게 그의 훈련을 기대하고 계신것 일까.. 지금까지도 재정문제에 관한한 참 잘 감사로 이겨왔다고 생각했는데 이제는 재정문제에 대해 내 믿음의 바닥을 보는 듯 하다. 그리고 허드슨 테일러의 방법대로 과연 내가 할 수 있을까란 의문이 많이 들었다. 특히나 사역가운데 재정이 없을 때도 며칠씩 사역을 계속 해나갔다는 부분이 많은데 그 부분에 대한 자세한 예화가 많이 궁금했다.

  현재 나만 보더라도 사람을 만나고 이야기 할때 (가뜩이나 그들의 시대에는 밥 문제가 큰 부분이 었을텐데) 항상 식사시간을 사용하게 되고(피할 수 있다해도 초신자일 경우 식사 공동체 안에서의 친교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데..) 그렇다 보면 재정이 흘러나가는게 너무나도 당연한데 허드슨과 그의 선교사들은 재정이 없이도 며칠씩 사역을 했다는 것이 큰 의문인 동시에, 그들의 믿음과 정체성의 확고함에 참 많이 놀랐다. 나 같은 경우 그들처럼 재정이 완전히 끊긴다면 "하나님의 철수 싸인"으로 생각하지 않을까....?

 

경건시간 확보

둘째 이유는 개인경건 시간 확보

  책의 후반부에서나 나온 이야기 이지만 새벽 (책에선 아침이라고 표현되어 있음.) 2-4시가 그의 새벽기도시간으로 아무에게도 방해 받지 않고 하나님을 만날 수 있는 시간이었다고 했다. 그렇다면.. 많은 전도여행과 노방전도, 의료업무 등의 일을 하다보면 골아 떨어져서 도중에 일어나기 힘들거나..혹은 2시까지 너무 바빠서 깨어있더라고 2-4시라면 완전 비몽사몽의 시간일 텐데... 그 시간을 지킬 수 있었다는 것에 대해 놀라울 뿐이다. 사실 피곤해서 하루 이틀 빼먹게 되면 자연스레 잠자는 것으로 익숙해 질텐데... 자신과 타협하지 않고 스스로를 훈련한 그로 인해 나의 훈련도 타협을 자꾸 이겨나가려고 하는 것 같다.

 

질병의 문제

셋째 이유는 많은 믿음의 선배들이 경험한 사역가운데 자신의 질병의 문제이다.

  허드슨뿐 아니라 예전에 스펄전을 읽었는데 말씀 사역자였던 그 또한 엄청난 사역의 무게로 인하여 질병을 달고 살았던 것으로 기억되어 그냥 답없이 안타까워하기만 했었다.

 

  최근들어 신약의 복음서들에서 예수님의 행적을 보면서 한가지 의문이 들었다. 예수님은 아픈사람 데리고 오면 무조건 다 고쳐주셨다는 것. 현대 우리가 아픈사람을 위해 기도하면서 타협하는 것(?)처럼 "아직 하나님의 때가 안되었다"느니 "회개할게 있다"느니(아픈사람에게 더욱 마음의 상처를 주는 말들을 기도한다는 사람들이 더 서슴없이 하는 것 같다. 나를 비롯해서..) 기도하고 나서 결과가 안보여졌을때 대는 핑계가 예수님께는 필요가 없었다. 때론 안타까워하시며..때론 먼저 손 내미시고..때론 지나가다가 예수님도 모르시는 부지 불식간에 환자의 믿음에 의해서 그냥 치유가 되기도 했다. 신약에서 이러한 예수님의 치유사역에 대해 집중 하고 있을 즈음 베니힌목사의 짧은 설교를 들을 수 있었다. 그 또한 신약을 들고 나와서 구원과 치유는 병행되었다고 강하고 확신있게 전했다.

 

  그렇다면 허드슨이나 스펄전같은.. 하나님께서 크게 쓰시는 자들의 병은... 그들의 치유에 대한 믿음이 없기 때문이었을까..(사실 허드슨만해도 아프지 않으면 빨리 중국에 뛰어가서 섬겻을텐데 때론 영국에서 때론 스위스에서 요양을 취해야 할 경우도 있었다) 아니면 또 다른 핑계로... 이들에게 육체의 문제가 없다면 절대로 쉬지 않고 자신을 로보트처럼 쓸 것 이기에 하나님께서 사랑의 특단 조치를 취하신 걸까?(이 부분을 바울의 육체의 가시와 연결지어 봐도 되는걸까...)

 

 

    이 책에서도 '화해의 아이'에서 만났던 나의 문제를 또 한번 보게 되었다. 허드슨의 많은 업무중에서 그리스도인들과 구도자들을 상대로 매일 교제하고 상담하는 일을 제일로 중요시했다는 부분은 많은 선교사님들이 기본적으로 가장 중요시해야 하는 업무이다. 사람만나서 이야기 하는것. 나의 약한 부분을 아시는 하나님께서 고쳐주셔서 나로 사람들과 이야기하는 것을 즐기는 사람으로 준비시켜 주시길 바란다. 특별히 복음을 너무도 자연스럽게 풀어 설명하고 예수의 사람으로 결단하게 하는 은사를 부어주시기를 다시 기대해 본다.

 

  또한 엄청난 소망의 부분도 있었다. 배우자의 부분이다. 허드슨과 마리아가 주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서로를 위해 기도하고 있었고 그들의 마음은 하나님을 중매자로 계속 기대하고 있었다는 것이다는 부분에서 항상 이상적으로만 생각했던 것이 이상이 아니고 현실이었다는 것에 아주 반가웠다. (물론 자녀들이 쓴 책이니 약간 미화 시킨 부분도 있겠지만...)

   

  이책을 읽으며 살아있는 말씀에 대해 다시 한번 기초부터의 흔들림을 경험하는듯 했다.(위의 세가지 질문에서 보다시피 교회 처음 온 사람과 같은 질문을 할 수 밖에 없는..^^) 이제는 허드슨의 삶이 그냥 남의 일이 아니고 나의 삶이 될 것이기 때문이겠다. 결국은 나의 믿음이 바닥을 드러낸 것이고 그 바닥을 보았을 때 내게는 추상적인 믿음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이 시간을 통해 나에게 믿음을 찾으시는 하나님의 모습을 본다.

내게 믿음이 없다면 나의 발걸음은 무의미한 것이기에...

나의 바닥을 바로 보게 하시고 훈련하시는 하나님께 감사한다.

내게 의문 갖게 하신 하나님께서 언제나 그러셨듯이 이제 답도 속히 주실것이기에...

 

2005. 10. 31

[화해의 아이]

하나님의 동역자 

 

  돈 리처드슨 선교사가 식인 부족인 사위족에게 복음을 전하는 과정이다. 초반엔 사위족의 문화와 사고에 대해서 알수 있는 소설과 같은 이야기로 시작해서 너무 나도 다른 문화와 사고로 인해 책인데도 불구하고 문화 충격이 너무 컸다.

  돈 선교사가 등장하기 전까지는 그저 실존 인물들의 이야기가 아니라 설화 정도로 받아들이고 싶은 마음으로 읽었다. 그러나 선교사가 현재형으로 말할 때 실존했던 인물들이 있는것을 보고 선교사가 들어가기 정말 불과 몇 년전의 일이라는 것이 소스라치게 놀랐고 정말 ‘사명’아니면 할 수 없는 일이겠다는 생각도 강하게 들었다.

  ‘전능자의 그늘‘(짐 앨리엇)에서도 선교사들이 선교 한번 제대로 해보지 못하고 선교지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경우를 보고도 놀랐엇는데 (우리나라의 토마스 선교사님...) 13년 동안이나 한지역에서 선교를 하고도 그 지역에서 100발의 화살을 맞고 죽음을 맞은 선교사의 이야기에선 잠시 책을 놓고 있을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살아계신 하나님의 열심은 생각지도 못하게 순교한 선교사의 가족으로 그 지역을 다시 섬기게 하셨다.

이 책 에서는 돈 선교사가 사위족을 섬겨서 그들 스스로 말씀을 전할 수 있을 정도로 사위족이 성장한 과정까지 이야기 되고 있다. 하나님 앞에서 참 많은 질문을 하게 한 책이었고 다시한번 ‘사명’에 대해서 점검하게 하는 책이었다.

 

 

하나님의 동역자... 사람.

  Y대를 바라보면서도 "꿈꾸는 한사람"에 의해 하나님께서 일을 시작하심을 뼈져리게 느끼던 중 책의 중간 부분에서 오지 선교회의 이야기가 나오면서 역시나 여기서도 꿈꾸는 한사람을 통해서 하나님께서 일을 시작하셨다는 깊은 감명을 받으며 하나님 앞에 나는 어떤 사람일까를 자꾸 생각해 보게 된다. 그래서 그런지 이 책에서도 하나님께서 일하시는 것과 복음을 전하는 사람의 움직임과 마음을 관찰하며 읽게 되었다.

 

  많은 선교사들이 어떤 상황에서든 에스더와 같이 '죽으면 죽으리이다'하며 기도하고 움직인다. 어떤 선교사는 정말 별것 아닌 상황에서 아깝게 죽기도 하고 어떤 선교사는 돈 선교사처럼 화살이 빗발치는 곳에서 살아남기도 한다. 아무리 질문 해봤자 하나님의 주권이라는것 외에는 다른 토를 달다가도 그만두게 된다. 그러나 하나님의 정하신 계획(예수님의 십자가)에 의한 것이 아닌.. 하나님으로 하여금 "그렇게 결정 할 수 밖에"없게 만든 동역자인 "나"의 자유 의지도 또한 점검해 봐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끊이지 않는다.

  처음 돈의 가족이 왔을때 사위족이 처음 의식을 치르는 중 돈이 '선교사여, 너는 도애체 무엇 때문에 이곳에 왔는가?"란 질문앞에 다른 수식어들을 뒤로 하고 자기의 야망을 내려놓았던 것처럼.. 와라하이가 죽었을때 돈이 점검했던것처럼 우리안엔 정말 '본질'을 점검해야 하는것이 많은 것 같다. 책을 읽으며 정리된 것중 한가지는 바로 동역자인 '나'의 '마음 자세'인것 같다.

( 이 부분은 하나님의 성품을 더욱 알아가면 알아갈 수록 정리 되어지고 나 또한 나의 부르심대로 준비되어 질것 같다)

 

하나님의 자녀... 사람.

  예수를 그리스도라 시인하는 모든 사람이 자녀라 할 수 있겠으나 아빠를 많이 닮은 삶을.. 아빠를 많이 투영시키는 삶을 살고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돈 선교사의 하루 사역을 정리하며 놀랍게 고백했다. "하나님을 꼭 빼어닮은 하나님의 자랑스런 동역자! 선교사!!"

돈의 하루 사역은 기도, 치료, 자신의 가족의 생활 터전 만들고 개척&관리, 성경연구, 부족 언어영구, 문화, 민족, 역사 연구, 보살핌, 선교 방법론 연구 결국은.. 적절한 시기와 때에 맞춘 복음전파...  이렇게 정리하면서 정말 선교사는 '전능하신 하나님을 꼭 빼어닮은 하나님의 자랑스런 동역자! 선교사..자기도 모르게 여러모로(인성, 습성, 능력) 하나님을 닮아가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돈은 '남자들의 집'에서 열심히 설명하고 이야기 한다. 읽으면서도 내가 현장에 있었다면 이렇게 열심히 말했을까... 란 생각이 들었다. 청년부에서 나이가 좀 많다는 관계로 많은 청년들과 이야기를 하다보면 때론 사고가 뭔가에 막혀있어서 더이상 이야기 진행이 어렵다던지 자아가 너무 강해서 어떤 진리도 받아들이지 않기에 삶에서 적용되지 않는 상황에 있는 친구들에게 어느 순간부터인가 '그만하자'고 포기했던 경우가 있던것이 생각났다. 최근 일이었기에.. 복음 전하러 선교가겠다는 내가 가까이 있는 지체들을 섬기고 함께 상황을 풀기를 싫어하면서 어떻게 멀리까지 가서 돈선교사의 상황처럼 사고가 막혀있고 자아가 강한사람들앞에서 화안내고 부지런히 설전을 벌일 수 있을까..란 생각에 잠시 기운이 빠졌었다. 어쩌면 새로운 기도 제목을 알려 주시기 위해 주신상황이고 이책을 마침 읽게 하신것 같다라는 마음이 들어 회복하고 계속 기도 중이다. 말하기 싫어하거나 피하지 않기, 대화중에(성경공부 때 처럼) 하나님의 은혜가 가득하길..

 

사역의 확신성...

  유비를 찾기 까지도 한참 걸렸으나.. 그 사이 신약 말씀 가운데 사위족이 가롯유다의 이야기에 푹 빠져서 복음이 전해지는데 벽에 부딪히고 전혀 복음을 제대로 전할 만한 그 어떤 꼬투리도 잡지 못하는 상황에 다달았을때... 내가 그 상황이라면 "보내심"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해 볼 만 했을 텐데 돈은 정말 끈질겼다. (여기서 끈질기게 참고 기다리시는 하나님의 성품을 다시 한번 보았다.) 세례요한, 예수님, 바울의 경우를 들면서 불평은 했지만 결국 돈은 방향을 바꾸지 않고 "주님, 주님의 도움이 필요합니다"라고 기도했을때 내게 뭔가 탁 박혔다. '그래! 이런 기도는 이런데서 딱 맞는것아닌가.. 육의 문제에서가 아닌 복음이 선포되어져야 할 곳!!' (때로는 육의 문제에 있어서도 하나님께서는 이 기도를 바라시겠지만..^^)

 

  이책을 읽는 내내 말레이시아에서 이반족을 섬기시는 선교사님과 이란자야의 마두리족 지역(식인지역)을 오랜기간 오가시며 섬기고 계시는 선교사님을 생각하게 되었다. 하나님의 마음을 품고 계신 분들.. 이 책 때문에 그분들의 기도를 조금 더 하게 된것 같다.

  또한 이책을 통해 사람들 만나고 이야기하면서 내가 엮여 지는것을 싫어하던 나를 되돌아 보았다. 하나님께서 부탁하신 일을 하기 위해 작은 일을 더욱 열심히 하도록, 만남과 이야기하는것을 싫어하지 않도록 계속 기도 하고 있다. 점점 더 하나님을 닮아가는 내가 되기위해 지나야 하는 과정을 간과하지 않길 바란다.

 

2005. 10. 7

★ 아래의 내용은 윤철호 교수님의 논문

<리쾨르 이후의 탈근대적 성서해석학에 대한 통전적 접근> 을 읽는 동안 일어났던 상황에 대한 나눔입니다.

저의 작은 경험이 여러분의 일상을 해석하는데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리쾨르 이후의 탈근대적 성서해석학에 대한 통전적 접근> 윤철호

 

삶을 변화 시키는 성경 해석

<리쾨르 이후의 탈근대적 성서해석학에 대한 통전적 접근>. 윤철호

 

  처음에는 학문적으로 정리하고 싶어서 매달리며 읽었는데, 두 번째는 학문적 정리보다 논문의 큰 의미에 초점을 두게 되었다.

 

  슈나이더스는 텍스트 앞의 세계와 선포된 예수에 초점을 두고, 계속 ‘변화’를 향하라고 하는 것 같다. 영성도 초월적 존재를 경험함으로 일어나는 변화이고 성경읽기도 자신의 변화가 수반되지 않으면 이해되지 않았다는 것이 나의 책읽기의 족적에도 나타난 것들을 발견했다. 몇 년 만에 다시 읽어보는 헨리 나우웬이나 리차드 포스터의 책을 보면서 나는 그 책의내용을 기억하고 있지 않다고 생각했는데 10년이 훨씬 넘었는데 그 책에서 제시하는 것을 내가 일상에서 적용하고 있는 것을 발견한 적이 여러번 있다. 이해되면 따라하게 되고 변하게 되는 것 같다. 인간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이렇게 체계적으로 잘 설명하고 근거를 대고, 이름을 붙여 명명하는 슈나이더스의 학문에 박수를 보낸다.

 

  여분이 없는 삶을 살고 있어서 그런가 의미론적 자율성을 통해 ‘의미의 잉여’가 가능하므로, 변화가 일어날 공간을 마련한다는 것이 마음에 많이 남는다. 나도 이해할 수 없는 일을 저지른 후여서 그런지 일을 결정하기 전까지의 말씀들을 모두 “내가 마음대로 해석”한 걸까 하는 의문이 든다. 이 의문이 들 때 마다 혼자 있지 않았다는 안정감도 드는데 이 부분이 ‘의미의 잉여’부분이었을까란 생각이 들었다.

 

  텍스트와 해석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한 해석(텍스트의 세계), 영향사(텍스트 앞의 세계) 부분 등 여러곳 에서, 문화 안에서의 해석이 계속 맴돌았다. 새로운 문화에 부닥칠 때 마다 이전의 기준들이 무너지고 새로운 기준들이 발생한다. 계속적인 이 변화에도 무조건 이전의 문화가 맞다고 고집하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세월이 다하여 사라지면서 계속적으로 "변화"는 점점 우리를 장악해 간다. 인간이 피조물이라고 알려주시는 선악과와 같은 것이 "발전과 변화"일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영성지도 수퍼비전 시간의 리딩 자료에서 ‘아하’ 부분이 나왔다. 하나님을 제한하지 않고 생각, 감정, 느낌 모든 부분을 열어 관상적으로 바라볼 때 발견하게 되는 임재이다. 그 부분에서 변화가 일어나는데, 말씀가운데서도 ‘아하’가 발생 하는 곳에서 우리는 하나님을 경험하는 것 같다. 하나님을 알아갈수록 경험할수록 십자가가 더 많이 떠오르는 것 같다. 말씀을 사모하는 사람으로서 성경 뒤의 세계도, 성경의 세계도 앞의 세계도 잘 알아가면서 깊은 보화들을 캐내며 점점 더 예수님 닮아가다가 하늘나라에 가고 싶다.

 

[질문] (195) 의미의 잉여를 통해서 다의적인 정당한 해석이 가능한데 이것이 바람직하다는 표현을 논문에서는 했으나 교수님은 사적 해석의 문제를 잠시 말씀하긴 하셨다. 내가 고민하고 있는 부분이어서 그런가 정말 바람직 하기만 한 걸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영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드슨 테일러  (1) 2024.02.03
화해의 아이  (0) 2024.02.02
참된 신앙의 부흥과 정서의 관계 (2/2)  (1) 2024.01.31
참된 신앙의 부흥과 정서의 관계 (1/2)  (0) 2024.01.30
기독교 영성학 방법론과 그 적용 (2/2)  (0) 2024.01.29

참된 신앙의 부흥과 정서의 관계 (2/2)

- 조나단 에드워즈의 『신앙과 정서』를 중심으로 -

 

더보기

Ⅰ. 들어가는 말

Ⅱ. 조나단 에드워즈

Ⅲ. 『신앙과 정서』에서 참된 부흥의 정서와 거짓 부흥의 정서

Ⅳ. 참된 부흥 이후의 특징

Ⅴ. 나가는 말

 

조나단 에드워즈. <신앙과 정서>. 서문강 역. 지평서원.

 

Ⅳ. 참된 부흥 이후의 특징  

1) 신앙의 증진

  에드워즈는 감각이나 경험이 지식을 만들어 간다는 기반으로 부흥의 시기에 사람들의 경험들을 연구하므로 참된 신앙과 거짓 신앙을 분별하는 지표를 제시했다. 개인의 부흥 경험이 신앙을 더 증진했다. 마찬가지로 최근의 많은 학자들 또한 종교 경험이 개인의 감정, 정서, 지적 차원과 관련이 있다고 말한다. 이와 같이 개인의 참된 부흥의 경험은 신앙을 더 증진한다.

 

2) 부흥의 확산의 도구

  부흥의 참된 은혜의 정서들을 경험한 사람들에게는 변화가 있었다. 한 지역에 부흥이 임하게 되면, 범죄율이 줄어들고, 술집이 문을 닫았고 길에서도 기도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불신자들은 회심(conversion)했고 신자들은 각성(awakening)했다. 부흥 경험을 이야기 하는 것을 듣는 것만으로도 부흥이 확산되었다. 부흥의 결과 사람들은 영적인 일이 주된 일상이 되었고, 예배에 정성을 다했다. 가정 마다 하나님의 임재가 느껴졌고, 사람들이 모이는 곳마다 신앙의 이야기가 주를 이루었다. 하나님께서는 부흥의 이야기를 통해 또 부흥을 확산하셨다.

 

3) 행위의 변화

  에드워즈는 감정과 의지를 포함하는 의미인 정서가 의지에 영향을 주며, 신앙은 의지가 표현되는 곳이므로 신앙과 정서가 연결되어 있음을 주장한다. 결국 신앙에서 경험이란 감정과 무관 할 수 없다.

영적 감각과 지식은 성도를 일반인과 결정적으로 다르게 하는데, 그 이유는 하나님의 거룩하심을 성도들이 따르기 때문이다. 에드워즈는 이분법적으로 성도와 일반인이 다르다고 하지는 않는다. 연속성과 불연속성이 존재하지만 신자와 일반인의 차이는 참된 신앙 정서와 거짓 정서와의 차이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하나님의 하나님 되심에 대한 인식에 있다. 에드워즈 자신도 하나님의 주권 교리가 자신에게는 가장 불편했던 교리였지만 회심한 이후에는 가장 좋아하는 교리가 되었다는 고백을 했다고 한다.

 

 

Ⅶ. 나가는 말

  윌리엄 제임스는 신학 안에 신비주의의 “독특한 정서적 분위기를 위한 자리”를 만들게 된다면 철학과 신학이 기반이 되어 신비주의를 통해 신학이 더 긍정적으로 발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시한다. 이것은, 1750년대 청교도이자, 정통 켈빈주의 신학자인 조나단 에드워즈가 종교와 심리학, 신학을 종합한 작품인 『신앙과 정서』로 이미 시작 한 것은 아닐까?

 

  에드워즈는 자신이 사역하는 지역에서 청교도 신앙이 힘을 못 쓰고 지역이 부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는 데 힘을 다했다. 부흥이 진행되는 과정에서도 그는 말씀의 선포와 성도들을 가르치는데 힘썼다. 교수님이 강의 시간에 말씀 하셨던 것처럼 부흥이 꾸준히 유지되는 것에는 ‘말씀’이 기반이 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에드워즈를 통해서도 확인하게 되었다. 부흥의 경험으로 자신의 신앙이 견고해 질 뿐 아니라 나의 부흥 경험이 나의 신앙을 견고하게 하고, 또한 그 이야기를 듣는 사람들에게 부흥을 경험하게 한다. 이러한 신앙의 경험들은 에드워즈가 참된 부흥의 지표로 지적한 것처럼 그리스도의 성품을 닮아가고, 하나님의 도덕 율에 저절로 따르게 됨을 이번 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기울어져 가는 신앙의 시대에 에드워즈가 홀로 자신의 자리에서 말씀을 끊임없이 선포했던 것처럼 나도 나에게 주어진 자리에서 말씀에 집중하며, 부흥을 사모하는 한사람이 되어야겠다.

 

  『Religious Affections』은 국내에 『신앙과 정서』와 『신앙 감정론』으로 두 권이 번역되어 있는데, 처음에는 두 책이 같은 책인지 모르고 진행했다. 두 권을 같이 두고 비교하면서 보았으면 더 풍성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 영어 원본이 아닌, 번역본을 참고한 관계로 많은 소논문들의 도움을 받아야 했으며, 그러는 중에 논문저자들이 같은 용어를 다른 한글로 사용하여 이해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기도 했다. 논문을 써야 하는 시점에 와서야 너무 방대한 자료를 다루고 있었다는 때늦은 주제파악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원하는 만큼의 결과를 보이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있지만, 이제 조금 조나단 에드워즈를 알기 시작했다는 생각이 들어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 조금 감을 잡은 것 같다.

 

 

■ 참고문헌 ■

 

[일차자료]

Edwards, Jonathan. 『신앙과 정서』. 서문강 역. 서울: 지평서원. 2009.

Edwards, Jonathan. 『성령의 역사 분별 방법』. 노병기 역. 서울: 부흥과개혁사. 2015.

 

[이차자료]

강웅산. "조나단 에드워즈의 부흥이야기와 부흥신학." 「신학지남」. 78.3 (2011). 145-174.

백금산. “영적 체험의 분별 기준을 제시한 명작.” Jonathan Edwards. 『성령의 역사 분별 방법』. 노병기 역. 서울: 부흥과개혁사. 2015.

송준화. “조나단 에드워즈의 신앙사상 연구.” 이론신학과 조직신학 석사학위 논문. 호서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 2011.

유재경. "종교 경험의 형성과정과 내용의 해석학적 고찰." 「신학과 목회」 41(2014). 129-152.

이상웅. “신앙감정론.” 「신학지남」. 81/4(2014), 292-294.

이진락. "조나단 에드워즈의 영적인 감각과 영적인 지식." 「역사신학 논총」. 20(2010). 148-180.

조한상. “조나단 에드워즈의 『신앙 감정론』에 나타난 영적분별.” 「신학과 실천」. 44(2015). 255-278.

조현진. “조나단 에드워즈 신학의 계몽주의와 과학의 수용성 연구 : 관계적 존재론을 중심으로.” 「ACTS 신학저널(구 ACTS Theological Journal)」. 42(2019). 53-81.

참된 신앙의 부흥과 정서의 관계 (1/2)

- 조나단 에드워즈의 『신앙과 정서』를 중심으로 -

 

더보기

Ⅰ. 들어가는 말

Ⅱ. 조나단 에드워즈

Ⅲ. 『신앙과 정서』에서 참된 부흥의 정서와 거짓 부흥의 정서

Ⅳ. 참된 부흥 이후의 특징

Ⅴ. 나가는 말

  본 논문에서는 기독교 역사에서 두 번의 부흥을 경험하고 부흥에 나타나는 경험들을 하나님께 속한 거룩한 증상과 거짓 증상들로 분별하는 표지를 제시한 조나단 에드워즈의 『신앙과 정서』에서 참된 신앙의 부흥이 있을 때 나타나는 정서의 증상을 살펴본다. 먼저 조나단 에드워즈가 말하는 정서를 정의하고, 그가 말하는 하나님께 속한 거룩한 증상과 거짓 증상을 정리한 후에, 참된 부흥의 결과 나타나는 특징을 보도록 한다.

 

주제어 : 조나단 에드워즈, 신앙과 정서, 개인, 참된 부흥의 정서, 참된 부흥의 결과

 

조나단 에드워즈. <신앙과 정서>. 서문강 역. 지평서원.

Ⅰ. 들어가는 말

 

  기독교 역사에서 신앙의 경험(영적 경험)과 그에 대한 분별에 대해서 정리한 것은 가톨릭의 이냐시오 로욜라의 『영신수련』이 대표적이다. 개신교에서는 역사적으로 부흥의 시기를 생애에 두 번이나 경험했던 조나단 에드워즈가 부흥을 경험하는 개인과 공동체를 관찰하면서 참 신앙 체험과 거짓 신앙 체험을 가리는 기준에 대해서 논했다. 이냐시오와 조나단 에드워즈를 비교 연구한 논문들이 국내에 많이 있다. 이 두 사람은 모두 기독교의 지식을 갖춘 사람들이었고, 특별한 신앙 체험들을 바탕으로 자신의 글들을 정리했다. 이냐시오는 지성과 체험을 바탕으로 진정한 신앙 경험의 분별과 그에 따라 진정한 신앙을 위해 어떻게 훈련 하는지 가이드를 하고 있고, 조나단 에드워즈는 부흥의 결과들을 보고 참과 거짓을 분별하면서 진정한 신앙의 체험 증상들을 분류했다.

 

  먼저는 조나단 에드워즈가 왜 이런 연구를 하게 되었는지 그 배경을 알아보고, 그의 대표 저서인 『신앙과 정서』에서의 진정한 신앙 체험의 증상과 그 결과들의 특징을 정리한다.

 

Ⅱ. 조나단 에드워즈 (Jonathan Edwards, 1703-1758)

 

  조나단 에드워즈의 뿌리는 청교도에 있다. 청교도들은 설교를 중시했으며, 개인의 영적, 윤리적 신앙 모델을 제시하고 있었다. 이러한 신앙을 뒷받침 하는 사상은 켈빈주의였다. 에드워즈의 부친은 청교도인 디모데 에드워즈로서, 이스트윈저 회중교회의 목사로 61년간 시무했다. 어머니 에스더 솔로몬 스타다드와의 사이에서 11남매 중 5번째 이면서, 독자로 태어났다. 외할아버지 솔로몬 스타다드는 뉴잉글랜드에서 영향력 있는 교회인 매사추세츠의 노샘프턴에서 목회를 하고 있었다.

 

  에드워즈는 13살에 예일 대학에 입학하고, 20세가 되기 전에 일생의 지침이 될 70 가지 결심문을 만들어 매주 한 번씩 읽으며 주님의 뜻에 합당한 삶을 살고자 고민했다. 늑막염으로 목숨을 잃을 뻔한 경험 이후로 구원의 문제를 주된 과제로 삼았다. 청교도들은 일기를 썼는데 1723년 1월 2일 일기에서 그는 하나님에 대한 헌신과 자기 포기를 맹세했다. 1726년 외할아버지가 시무하는 노샘프턴 교회에 외할아버지의 동역자로 부름 받았다. 뉴잉글랜드에서 청교도 신앙이 점차 사거라 들고 있었지만 에드워즈는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는 데 열심을 쏟았고, 1차 대 각성 운동의 주요 인물 중 한명으로 뽑힌다.

  에드워즈는 영미 권에서 지적이고 영적인 신학자로서, 청교도 기반의 켈빈주의 신학자 이면서, 회심과 하나님의 주권을 강력히 주장하는 설교자이며, 저술가, 철학자이다. 1734-1735년에 노샘프턴 교회를 중심으로 코네티컷 강변의 마을들을 따라 코네티컷 부흥이 있었다. 에드워즈는 코네티컷 부흥에 대한 이야기를 『놀라운 부흥과 회심이야기』(1737)로 출간했다. 1740-1742년의 제1차 대 각성 운동은 뉴잉글랜드 전 지역에 퍼졌다. 대 각성 운동의 주역인 조지 휫필드가 1740년 10월 7일부터 4일간 노샘프턴에서 설교를 하는 동안 1734-1735년과 같은 부흥이 일어났다. 두 번의 부흥을 경험하는 동안 영적 체험들과 부흥의 소멸을 관찰하면서, 에드워즈는 참된 신앙의 체험과 그렇지 않은 경우를 연구하여 정리했다. 에드워즈가 이렇게 정리하게 된 이유는 영적 부흥이 진행되는 그 시대에 영적인 증상들이 동반되며 나타나는 부흥을 반대하는 이성주의자들과 영적 증상들에 열광하는 열광주의자들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드워즈는 이성주의자들에게는 부흥을 변증하고, 열광주의자들에게는 이성을 강조함으로 극단으로 치우치지 않고 부흥의 상황들을 연구하고 중재하였다.

  에드워즈는 계몽주의와 자연과학에 대해서도 열린 자세로 연구하였다. 1720년 에드워즈는 뉴턴이나 존 로크의 영향을 받아 “원자에 대하여”(Of Atoms, 1722), “존재에 대하여”(Of Being, 1722), “마음”(The Mind, 1724) 등의 과학적 저술을 했다. 존 로크의 경험주의를 기반으로 지식들이 감각이나 경험으로 만들어 진다고 했다. 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예방접종을 적극적으로 하게 해서 1758년 1월 뉴저지 대학 학장으로 취임한지 한 달 만에 천연두 예방 접종의 부작용으로 사망했다.

 

Ⅲ. 『신앙과 정서』에서 참된 부흥의 정서와 거짓 부흥의 정서

 

  조나단 에드워즈는『신앙과 정서』를 크게 3부분으로 구성했다. 1장은 “정서의 본질과 신앙에서의 정서의 중요성에 관하여“ 마음의 정서와 참된 신앙을 이루는 여러 가지 정서들을 논하고 기독교 교리를 기반으로 정리를 한다. 2장은 은혜에 속한 정서임을 확증하지 못하는 경우와 3장에서는 은혜롭고 거룩한 정서들의 특징들을 제시한다. 에드워즈가 본서를 작성하게 된 경위는 2번의 부흥의 시기를 경험하면서, 동시에 거짓 신앙도 함께 일어난 것을 보면서 말라기 3장 18절의 말씀으로 참 신앙과 모조품을 분간 할 것을 주장한다. 그는 사도시대, 종교개혁 시대 뿐 아니라 미국에서 있었던 두 번의 부흥이 제압되는 과정들을 보면서 사탄의 방법을 알게 되었다. 그러므로 신앙 부흥의 시기 마다 참과 거짓 신앙을 구분하라고 경고한다. 사탄은 사람들을 스스로 괜찮은 사람이고 거룩하다는 확신을 갖게 함으로 타락 시킨다. 사탄은 ‘이 방법’으로 신앙을 모호하게 만들고 성도의 신앙 정서를 변질되게 만들기도 하고 하나님을 섬긴다는 이유로 의도적 죄를 짓게도 한다. 또한 하나님을 향한 열심이라고 생각하고 서로 대적하는 일을 하게 만드는데, 『신앙과 정서』를 통해 성령의 역사의 ‘구원하는 본질’과 표증들을 보여주고자 한다.

 

   “정서의 본질과 신앙에서의 정서의 중요성에 관하여”인 1장에서 하나님께서 “사람의 영혼에 두 가지 기능을 부여하셨습니다.”라고 했다. 알아서 깨닫고, 생각으로 사물의 옳고 그름을 가려낼 수 있는 ‘지성(understanding)’과 영혼이 좋아하든지 싫어하든지 마음을 기울어지게 하는 ‘성향(inclination)’이다. 사람의 성향에 따라 어떤 ‘행위(action)’를 하게 되는데 그것을 ‘의지(will)’라고 부른다. 위의 두 가지 기능들이 행사되는데 관련된 ‘마음(mind)’을 ‘심정(heart)’이라고 정의한다. 영혼의 성향과 의지의 방향과 강도는 다양한데 에드워즈는 강하고 예민하게 반응하는 것을 ‘정서(affections)’라고 부른다. 그러므로, 정서란 감정(성향)과 의지가 내포된 의미로 행위의 기반이 된다.

 

  1장에서 베드로전서 1:8절 말씀(예수를 너희가 보지 못하였으나 사랑하는 도다 이제도 보지 못하나 믿고 말할 수 없는 영광스러운 즐거움으로 기뻐하니)을 근거로 그리스도인들이 고난 가운데서도 누리는 기쁨과 영광을 설명하면서, “참된 신앙의 큰 부분이 거룩한 여러 정서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전제를 제시한다. 그러므로, 신앙은 먼저 내면적 감정과 의지에 나타나고 더불어 ‘경건의 능력’(딤후 3:5)이 나타난다. 경건의 능력이 나타나는 이유는 자기 영혼에 관심을 갖게 되고, 행실에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참된 신앙의 부분으로 저자가 주장하는 정서는 다음과 같다.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두려움의 정서, 하나님의 약속에 대한 소망의 정서, 죄를 싫어하고(미움) 하나님과 그 백성인 인류에 대한 사랑의 정서, 거룩함을 쫓는 거룩한 소원과 기쁨, 슬픔의 정서, 은혜에 감사하는 감사의 정서와 긍휼의 정서 그리고 그리스도가 인류 구원을 위해 자신을 내어주셨던 열심의 정서가 참된 신앙을 가진 성도의 정서라고 주장하며 이 모든 정서를 포함하고 계신분이 그리스도라고 정리 한다. 부드럽고, 경건한 정서에 의해 마음은 쉽게 감동을 받게 되고, 마음이 굳은 사람은 경건한 정서가 결핍된 마음이므로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않고 떠나게 된다. 성경의 예에서는 출애굽 당시의 바로 왕과, 에스겔과 이사야서에서의 이스라엘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서는 신앙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거룩한 정서 없이는 참된 신앙도 존재하지 않음이 명백“하지만, 모든 정서가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것은 아니므로 정서를 분별해야 한다. 그러므로 에드워즈는 참된 신앙적 정서임을 확증하는 표지가 될 수 없는 12가지 경우를 나열한다.

(1) 신앙적 정서가 고조 된 것이라고 해서 참된 신앙적 정서는 아니다.

(2) 정서가 몸에 미치는 영향력으로는 참된 신앙적 정서인지 알 수 없다.

(3) 유창하고 열정적으로 말하는 것으로는 알 수 없다.

(4) 인위적이지 않다고 해서 진정한 신앙적 정서인지 알 수 없다.

(5) 정서와 성경 말씀이 함께 임하는 것이 참된 신앙 정서의 표지가 될 수 없다.

(6) 사랑의 모습이 나타난다고 해서 참된 신앙적 정서인지를 알 수 없다.

(7) 여러 신앙적 정서들이 같이 나타나는 것이 진정한 신앙적 정서인지 알 수 없다.

(8) 회개 후에 느끼는 위로와 기쁨이 무조건 신앙적 정서라고 확정 할 수 없다.

(9) 예배에 열심을 보이고, 신앙의 일에 많은 시간을 보낸다고 해서 참된 신앙적 정서라고 확정 할 수 없다.

(10) 찬양한다고 그것이 참된 신앙 정서의 표지는 아니다.

(11) 자신의 상태가 좋고, 경험이 영적이라는 것이 표증은 아니다.

(12) 사람들을 감동시키더라도 그 정서들이 참된 신앙적 정서인지 확언할 수 없다.

 

  여기까지의 12가지 표지들은 에드워즈 당시 부흥을 왜곡하여 모든 정서적 경험을 성령의 역사라고 믿는 열광주의자들을 겨냥하고 정리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학자들은 보고 있다.

 

  책의 세 번째 부분에서는 은혜롭고 거룩한 정서들의 확실한 표지를 설명한다. 에드워즈는 회심의 개념을 “마음의 감각“에 대한 변화라고 했는데 에드워즈 자신이 변화 가운데 신학적, 철학적, 심리학적 성찰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진다. 확실한 표지 12가지는 개인 경건과 회심의 연구 결과이다. 12가지는 다음과 같다.

(1) 참된 신앙의 정서는 마음에 신령하고 초자연적이며 거룩한 작용들로부터 발생한다.

(2) 이기심이나 자기 애착이 아닌 하나님의 하나님 되심에 대한 인식이 기반이 된다.

(3) 거룩한 정서는 하나님의 아름다우심에 대해 인식하므로, 도덕적 탁월성이 동반된다.

(4) 하나님에 대한 것들을 이해하고 인식하는 마음이 동반되는 정서이다.

(5) 진리에 대한 합리적이면서도 영적인 확신이 함께 한다.

(6) 정서들이 복음에서 오는 겸손을 수반한다.

(7) 성품에 변화가 온다.

(8) 그리스도의 성품을 닮아간다.

(9) 마음을 부드럽게 하며,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마음이 동반된다.

(10) 거룩한 정서들은 균형이 맞혀진다.

(11) 현재의 영적 상태에 만족하지 않고 하나님을 향해 더 갈망하는 마음이 있다.

(12) 신앙이 실천으로 열매를 맺어 행위로 나타나게 된다.

 

  상기의 12가지 중 1-4의 표지는 정서가 발생하게 되는 근원에 대한 설명이며, 5-12는 정서의 결과로 나타나는 행위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에드워즈는 표지 12를 가장 길게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기독교인의 실천”이 중요한 표지임을 알려준다. 참된 신앙적 정서는 기독교인의 본성과 행위가 내주하시는 성령에 의해 변화 되어 실천적으로 “열매”를 맺는 삶임을 보여준다.

 

 

아래 논문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원본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독교 영성학 방법론과 그 적용 (2/2)

샌드라 슈나이더스(Sandra M. Schneiders)와

Graduate Theological Union의 기독교 영성 박사 과정의 경우

 

이강학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 실천신학/기독교영성

 

더보기

Ⅰ. 들어가는 말

 

Ⅱ.기독교 영성학 : 샌드라 슈나이더스를 중심으로

1. 기독교 영성

    1) “자신이 인식하게 된 궁극적 가치를 지향하는”

    2) “자기 초월을 통한”

    3) “삶의 통합 프로젝트에”

2. 기독교 영성학의 연구 대상

3. 기독교 영성학의 특징

    1) 간학문성 (inter-discipilinarity)

    2) 자기 함축성 (self-implication)

4. 기독교 영성학의 방법론 : 해석학적 접근 (the Hermeneutical Approach)

 

Ⅲ. 지티유(Graduate Theological Union) 기독교 영성 박사과정 프로토콜 (Protocol)

1. 기독교 영성 박사과정 필수 항목

2. 일반 종합시험

    1) 기독교 영성의 성경적 기초

    2) 기독교 영성사

3. 특별 종합시험

    1) 기독교 영성 영역

    2) 기독교 영성과 관련된 다른 학문 영역

    3) 기독교가 아닌 다른 영성 영역

4. 실습

 

Ⅳ. 나가는 말

 

Ⅲ. 지티유(Graduate Theological Union) 기독교 영성 박사과정 프로토콜 (Protocol) (2011)

. GTU : . 9개의 신학교가 연합하여 석, 박사 학위과정 만든 학교.

. 기독교 영성을 독립적인 한 분야로 한 최초의 신학 교육 기관 (다양한 교단과 전공 배경)

. 슈나이더스의 기독교 영성학 방법론을 GTU박사과정 프로토콜에 반영, 박사 배출

. 박사과정 프로토콜 : 박사과정 이수 요건, 일반 종합시험, 특별 종합시험, 기독교 영성 실습

 

1. 기독교 영성 박사과정 필수 항목

  . 기독교 영성 특징 설명 : 기독교인의 종교적 경험 연구

  . 종교적 경험 : 포용적 성격의 공동체 안에서 인간이 하나님과의 관계를 살아가는 것

  . 종교적 경험을 학문화 하므로 간학문적이며, 포용적이면서도 초점이 분명해야 한다.

 

. 박사과정 4가지 요소와 제한 시간

(1) 선행요건 : 신학 석사, 모국어 외의 연구 언어 2개 이수, 진단 인터뷰에서 신학 연구 준비상태, 성경 연구 상태, 언어 준비 상태, 기독교 영성 연구 관심 분야, 실습 방향 파악

(2) 종합시험 : 2개 일반 종합시험(4학기 이내), 3개 특별 종합시험(승인 후 1년 이내)

(3) 실습 : 개인이나 그룹위해 리더쉽 제공하도록 슈퍼바이저의 지도

(4) 논문 : 구두 시험으로 완결 (특별 종합 시험 종료 후 시작, 박사과정 시작 후 7년 내에 마무리)

. 특기사항 : 종합시험 마지기 전까지 자신의 연구주제와 관련 있는 조직신학(구성적, 문제적 학문) 두 과목 이수 필수

 

2. 일반 종합시험 : 기독교 영성의 성경적 기초, 기독교 영성사

1) 기독교 영성의 성경적 기초

  (1) 성경에 대해 박사과정 수준의 지식 (성경 내용, 비평적 방법론적 주석 도구 사용 능력, 현대 해석학적 이론 사용 할 수 있는 능력)

  (2) 진단 인터뷰에 성서학 교수 포함되어야 함

  (3) 신약 세미나 수업 통과 : 방법론과 해석을 사용한 18-25쪽의 페이퍼(B 이상 받아야 함)

  (4) 구약 세미나 수업 통과 : 방법론과 해석을 사용한 18-25쪽의 페이퍼(B+ 이상 받아야 함)

     . 신약, 구약 세미나 : 기독교 영성과 관련된 성경 본문과 주제들을 잘 알고 이해해야 한다.

     . 원래 성경 종합시험이었으나 슈나이더스 은퇴 후 수업으로 바뀌었음.

     . 슈나이더스(신약) : 기독교 영성의 관점에서 신약에 접근하는 방법론과 요한복음에 적용

     . 바바라 그린(구약) : 기독교 영성의 관점에서 요나서에 적용

     . 존 엔드레스(구약) : 기독교 영성의 관점에서 시편에 적용

     . 성서학(구성적 학문) : 기독교 영성학자가 기독교적 경험을 이해하는 데 반드시 참고

 

2) 기독교 영성사

. 목적 : 기독교 영성의 폭넓은 역사 숙지, 연구 주제와 관련 있는 시기에 더 깊은 지식(2개)

. 네개 주요 시기 : 

  ① 고대 기독교 영성 

  ② 중세 기독교 영성

  ③ 르네상스/종교개혁 기독교 영성 

  ④ 현대 기독교 영성

. 기독교 영성사 시험 준비할 내용 (네 시기 각각에 대하여 일차 자료들과 이차 자료들이 제시)

  ① 네 개의 시기 중 자신의 연구 주제에 맞는 두 개의 시기를 선택

   자신이 선택한 두 개의 시기에 포함된 일차 자료 읽기

   자신이 선택하지 않은 두 개의 시기에 포함된 일차 자료들 중 두 권을 읽기

   네 개의 시기에 포함된 이차 자료들 중 필독서로 표기된 책들은 모두 읽기

   다른 이차 자료들의 경우 반드시 읽을 필요는 없지만, 자신이 선택한 외국어로 된 논문을 한 편 또는 책 한 권은 반드시 읽기

. 이틀에 걸쳐서 4시간씩 필기시험 (3시간 선택 시기 문제, 1시간 선택 하지 않은 시기 문제)

. 기독교 영성사의 폭넓은 이해와 선택 시기의 인물, 영성 고전에 전문지식 습득

. 아더 홀더 : ⌜성 베다: 아가서 주석 및 선집⌟ 기독교 영성 관점에서 기독교의 역사를 보는 방법론의 예

. 교회사(구성적 학문) : 자신의 연구 주제가 되는 기독교적 경험을 이해

 

3. 특별 종합시험

. 일반 종합시험 통과 후 특별 종합 시험 준비

. 목적 :

  (1) 특정 영역에서 강의, 연구 할 수 있는 능력 기르기

  (2) 논문 작성 준비 (연구와 작문 기술)

. 심사 교수 위원회 (3-4인)

  . 의장은 기독교 영성분야 교수, 조직신학자 한명을 권한다.

  . 기독교 영성 분야 교수 회의에서 통과 되어야 함

 

. 과목

1) 기독교 영성 영역 : 30-40쪽 분량의 연구 논문 쓰기

   (1) 기독교 영성 영역에 해당하는 연구 주제를 적절하게 파악하기

   (2) 특정 주제와 이슈와 관련된 영역에서 참고문헌을 꾸리는 능력

   (3) 방법론적인 통합성을 지니고, 자신의 연구 주제를 다루는데 성경, 영성사, 그리고 조직신학 및 적절한 학문들을 통합하는 능력

   (4) 해당 영역에서 기본적인 연구 도구에 대한 지식

   (5) 중요한 장치들(각주, 참고문헌 등)을 올바르게 사용하며, 효과적인 글쓰기를 통해, 연구를 수행하고 연구 결과를 조직하는 능력

 

2) 기독교 영성과 관련된 다른 학문 영역

  . 다른 학문 영역을 포함하는 이유 : 기독교인의 삶의 경험을 연구하는 것이므로 경험의 이해를 위해서 인간의 경험을 이해하는데 도움 주는 일반 학문을 참고하고 배워야 한다.

   (1) 다른 학문 영역 : 인문과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문학과 예술

   (2) 해당 영역에서 하위 학문 선택 (예) 발달심리, 문화인류, 사회, 우주, 의학, 생물학, 건축학

   (3) 시험방법 : 둘 중 하나 선택

        A. 선택한 하위 학문 안에서 두 과목 이수하고 박사과정 수준의 페이퍼 쓰기

        B. 선택한 하위 학문 안에서 특정한 시험 주제 잡고 필기시험 치르기

            . 시험주제 잡는 방법 : 집단→영역→하위학문→시험주제

 

3) 기독교가 아닌 다른 영성 영역

. GTU 기독교 영성 박사과정의 독특성을 가장 많이 담은 항목

. 목적 : 기독교 전통 안에 있지 않은 영성을 넓고 깊게 이해하도록 하려함

    . 다른 영성이 어떻게 존재 하고, 기능하고, 사람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이해하기 위함

    . 영성 영역에서 간문화적(cross–cultural) 대화에 잘 참여 가능

. 대화의 상대로의 프로토콜 3집단

    (1) 민속 영성(예, 아메리카 인디언, 아프리카 종족, 에스키모, 호주 토착민, 마오리 등)

    (2) 세계 종교 영성(예, 유대교, 이슬람, 힌두교, 도교, 불교, 등)

    (3) 현대 비종교 영성(예, 여성주의, 남성, 생태, 뉴에이지, 열두 단계, 등)

. 프로토콜이 제시하는 다른 영성 선택 지침은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이 되는 영성은 전문적인 가르침이나 미래에 연구가 가능한 영역으로 중요한 것

    (2) 책임 있는 연구를 위해 GTU나 버클리 대학에 자료가 있어야 한다.

    (3) 연구 대상은 그 종교 또는 운동의 신학이나 사회학 같은 것이 아니라 영성

    . 시험 방법 : 대상 영성 전통 안에서 두 과목의 수업 듣고 박사과정 페이퍼 or 필기시험

    . 시험의 기대 효과 :

    (1) 슈나이더스의 해석학적 방법론의 세 단계를 경험할 수 있게 함

        (현상의 서술–비평적 분석–구성적 해석의 과정)

    (2) 다른 영성을 공부해보면 기독교 영성의 장점과 단점이 더 잘 이해됨

 

4. 실습 (석사과정에 적합하다는 슈나이더스의 의견)

. 목적 : 학생들이 실제적인 리더십을 행사해 볼 기회 제공, 연구 대상이 되는 경험 이해

. 실습 종류와 슈퍼바이저는 교수회의에서 승인

. 특별 종합시험 이전에 완료되어야 함

. 슈퍼바이저와 학생이 학생의 경험에 대해 보고서 제출

 

Ⅳ. 나가는 말

. 슈나이더스의 이론에 동의한 GTU동료 교수들의 실험으로 기독교 영성학 토론을 확산 시킴

. 교회일치 운동에 적극적, 다른 종교와의 대화에 개방적인 분위기, 재정적 뒷받침에서 가능

. 현재 GTU차원에서 기독교 영성학 실험은 축소되는 듯 보임

. 미국종교학회(American Academy of Religion)내 기독교 영성학 그룹(Christian Spirituality Group, 기독교 영성학회의 모체)은 영향력이 커지고 있음

. 한국 교회와 신학에 주는 도전 (기독교 영성학을 독립적인 학문 분야로 여기기 시작)

  (1) 슈나이더스의 기독교 영성학이 정체성을 부여해 주는 역할 기대

  (2) 서로의 경험 존중, 진지하게 대화하려는 태도 강조 (한국 교회에 대화하는 분위기 형성에 기여)

  (3) 간학문성이 본질적 특성이므로, 기독교 신학, 일반과학의 여러 분야에도 관심

  ∴ 한국 교회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의 문제들을 해석하는데도 도움 될 것

 

 

아래 논문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원본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독교 영성학 방법론과 그 적용 (1/2)

샌드라 슈나이더스(Sandra M. Schneiders)와

Graduate Theological Union의 기독교 영성 박사 과정의 경우

 

이강학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 실천신학/기독교영성

 

더보기

Ⅰ. 들어가는 말

 

Ⅱ.기독교 영성학 : 샌드라 슈나이더스를 중심으로

1. 기독교 영성

    1) “자신이 인식하게 된 궁극적 가치를 지향하는”

    2) “자기 초월을 통한”

    3) “삶의 통합 프로젝트에”

2. 기독교 영성학의 연구 대상

3. 기독교 영성학의 특징

    1) 간학문성 (inter-discipilinarity)

    2) 자기 함축성 (self-implication)

4. 기독교 영성학의 방법론 : 해석학적 접근 (the Hermeneutical Approach)

 

Ⅲ. 지티유(Graduate Theological Union) 기독교 영성 박사과정 프로토콜 (Protocol)

1. 기독교 영성 박사과정 필수 항목

2. 일반 종합시험

    1) 기독교 영성의 성경적 기초

    2) 기독교 영성사

3. 특별 종합시험

    1) 기독교 영성 영역

    2) 기독교 영성과 관련된 다른 학문 영역

    3) 기독교가 아닌 다른 영성 영역

4. 실습

 

Ⅳ. 나가는 말

 

Ⅰ. 들어가는 말

. 기독교 영성학(the Study of Christian Spirituality) : 학문화 된지 40여년

 

(1) 미국에서 영성학의 성립 과정

  . 1975년 캘리포니아주 버클리 시에 있는 GTU라는 신학교 연합 학위 과정에  최초로 기독교 영성학이라는 박사학위

  . 1991년 미국 종교학회(AAR) 산하에 기독교영성학회(SSCS)가 가입

  . 1992년 GTU에서 기독교 영성학이 별도 분야로 독립

 

(2) 국내의 영성학 연구 현황

  . 한국실천신학회 영성분과 학자들이 ‘기독교 영성학회’설립위해 노력 중

  . 1988년 ⌜기독교신학논총⌟ 특집 ‘오늘의 영성신학’

  . 2009년 ⌜기독교신학논총⌟ 기독교 교육학 분야(손원영)와 상담 분야(정연득) 논문

  . 영성학을 본격적으로 다룬 논문

  . 1999년 “영성학의 연구방법론 소고”(유해룡)

    - 안셀름, 어거스틴, 보나벤투라의 영적경험 모델화

  . 2014년 “영성학 방법론 탐구: 샌드라 슈나이더스(Sandra M. Schneiders)를 중심으로”(최승기)

     - 샌드라 슈나이더스의 영성학 방법론 정리

 

(3) 본 논문의 목적 : 신학교육에 적용된 슈나이더스의 기독교 영성학 방법론 검토

   a. 슈나이더스의 영성학 방법론 요약

   b. GTU 기독교 영성 박사과정에 반영된 내용

   c. 한국 기독교 영성학 발전을 위한 제언

 

Ⅱ.기독교 영성학 : 샌드라 슈나이더스를 중심으로

. 샌드라 슈나이더스 : 기독교 영성학의 대표적인 주창자 (정의, 특징, 방법론)

 

1. 기독교 영성

. 보편 영성의 정의 : “자신이 인식하게 된 궁극적 가치를 지향하는, 자기 초월을 통한 삶의 통합 프로젝트에, 의식적으로 참여할 때 일어나는 경험” (the experience of conscious involvement in the project of life–integration through self–transcendence toward the ultimate value one perceives)

 

1) “자신이 인식하게 된 궁극적 가치를 지향하는”

  . 기독교 영성에서 ‘궁극적 가치’ : 하나님 경험

    (1) ‘궁극적 가치’ : 삼위일체 하나님

    (2) ‘지향’ : 하나님을 향해 믿음을 갖고 행하는 것

    (3) 궁극적 가치인 하나님을 삶의 목표로 ‘인식’하는 것이 성령의 역사이고 은혜

       → 은혜로 삼위일체 하나님을 인식하고 믿음을 갖게 된다.

  . 하나님 경험의 구체적 예

    (1) 창조의 영성(자연의 영성) : 자연 속에서 창조주 경험

       (예) 아씨시의 프란치스코, 아일랜드 켈틱 영성

    (2) 성자 예수의 일생

        - 성육신으로 인한 성자 하나님의 겸손과 일상을 소중히 여기시는 하나님을 알게 됨

        - 성자의 십자가 죽음 : 죄 사함의 자유를 경험하고 고난의 의미를 재해석 할 수 있게 됨

        - 성자의 부활 : 죽음의 두려움으로부터 자유 경험

          (예) 토마스 아 켐피스 ⌜그리스도를 본받아⌟, 로욜라의 이냐시오 ⌜영신수련⌟

     (3) 성령

         - 조명과 지혜의 성령 : 마음 눈을 밝혀서 하나님과 나를 아는 지식을 갖게 함

         - 연합의 성령 :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 되게, 공동체 안에서 성도들이 하나 되게 함

         - 생명의 성령 : 생명을 존중하고 사모하는 마음, 하나님의 일 위해 생명의 능력 소유케 함

           → 하나의 믿음 이지만 다양한 영적 경험으로 영성 운동은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 될 수 있음

 

2) “자기 초월을 통한” (자기 초월의 경험)

. 기독교인에게 ‘자기 초월‘

  (1) 육신적, 정신적 한계를 넘어 예수의 삶과 인격에 가까이 가는 것

   (2) 예수 그리스도를 지향 : 인간의 한계(육체, 시공간의 제약, 고통, 죽음)를 초월하려는 갈망이 은혜 안에서 영적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음

 

. 영적 성장 (여정 journey, 등정 ascent, 사다리 ladder) : 자기초월 경험을 잘 묘사하는 3단계

   (1) 정화(purification) : ‘마음의 청결’통해 내외적 죄악 된 습관을 버림

   (2) 조명(illumination) : 하나님 아는 지식과 나를 아는 지식이 형성 됨

   (3) 일치(unification) : 하나님과 깊은 사랑의 교제 단계

   → 자기 초월은 영적성장의 변화가 동반되므로 이타적 하나님 사랑(∋이웃 사랑)으로 성장

 

3) “삶의 통합 프로젝트에” : “삶을 통합하는 프로젝트 안에서의 경험

   . 기독교 영성은 “경험” (‘궁극적 가치’ : 하나님 경험)

   . 삶의 통합은 예수 그리스도를 지향 : 통합의 궁극적 모델은 예수 그리스도

   . ‘삶을 통합하는 프로젝트 ’ : 그리스도를 닮아가기 위한 내,외적인 삶의 모든 영성훈련들

   . 영성 훈련

     - 삶이 하나님 안에서 새로운 질서를 갖도록 함으로 삶의 통합을 이루게 함

     - 삼위일체 하나님께 기독교인의 주의를 집중케

     - 자신의 삶을 하나님의 관점에서 돌아 볼 수 있게 된다.

   → 현대 ‘영성‘의 중요한 의미는 비인간화와 분열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마이클 다우니)

 

4) “의식적으로 참여할 때 일어나는 경험” : “삶을 통합하는 프로젝트 안에서의 경험

   . 의식적 참여 : 자발적, 의지적, 인격적인 참여 (집중하는, 깨어 있는 마음 가짐이 필수)

   . 신학적 기초 : “자유의지”

 

. 슈나이더스의 ‘영성’ 정의에 대한 기독교 영성에 적용

1) “삼위일체 하나님을 믿는 믿음으로 영적 성장을 위한 영성훈련에 의식적으로 참여 할 때, 은혜로 얻게 되는 경험과 그 경험에 대한 개인적이고 공동체적인 반응들”

2) 장점

    (1) 다양한 초월적 경험을 학문적 주제로 만들어 준다.

    (2) 영성 개념을 바탕으로 기독교 영성을 쉽게 정의

    (3) 기독교의 다양한 영성 운동을 ‘기독교 영성’이라는 이름으로 묶어 줌

    (4) 교리보다 경험을 강조하는 아래로부터의 접근으로 영성은 일상의 경험에서 출발함 인식

 

2. 기독교 영성학의 연구 대상 : 기독교인의 영적인 삶(spiritual life)

. 영성학의 연구 대상인 기독교인의 영적인 삶의 특징 4가지

  (1) 연구대상으로서의 ‘삶’은 세상 안에서 경험되는 ‘삶’으로 자기 통합적인 성격

  (2) 연구대상으로서의 ‘영’은 하나님의 영과 교류하는데 자기 초월적 역량을 지닌 의미

  (3) 연구대상으로서의 ‘경험’은 모든 것을 포괄하는 복합적인 성격(교리/역사/상황을 넘어 연구)

  (4) 연구대상으로서의 ‘기독교적’ 경험은 신학적 규명 이전에도 발생해서 신학에 영향을 미침

    → 기독교인이 영적인 삶이라는 경험은 조직신학, 교회사적 지식으로만 이해되지 않음

    ∴ 기독교 영성학은 두 개 이상의 학문을 사용하는 간학문성(interdisciplinarity)의 특징

 

. 연구대상 선정 예 : 이세종의 영성연구라면 이세종의 영적인 삶(영적 경험)에 연구 초점

  : 이세종의 기독론(조직신학)+한국교회에 끼친 영향(교회사)+회심/기도 경험(영성학)

  : 이세종의 회심 경험 = 회심에 대한 성경적, 교회사적, 조직신학적, 심리학적 이해 등 다각적 연구

 

3. 기독교 영성학의 특징

1) 간학문성 (inter–disciplinarity)

. 기독교적 변화의 경험은 하나의 관점으로 그 경험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기 불가능

. 연구에 사용할 학문들을 2개의 층으로 나눔

  (1) 구성적 학문들(constitutive disciplines) : 경험과 해석에 자료제공 (성경&교회사)

   (2) 문제적 학문들(problematic disciplines) : 현상의 문제를 관찰하는데 도움 되는 학문

   (심리학, 사회학, 인류학, 문학, 과학 등)

∴ 기독교 영성학자는 구성적 학문에 해당하는 성경, 교회사, 조직신학에 전문적 지식 필요

(문제적 학문도 필요에 따라 지녀야 한다.)

 

2) 자기 함축성 (self-implication, 자기 개입성)

. 기독교 영성학자의 경우

   (1) 대상 연구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유사 경험 있어야 하므로 연구 주제로부터 중립을 지킬 수 없다. (아빌라의 데레사 기도 경험 연구의 경우 기도 안 해본 사람은 해석도 안됨)

   (2) 연구 주제 선정 시에 개인의 관심사가 반영 되게 된다.

   (3) 연구도중 연구의 영향을 받아 연구자 자신이 변화를 경험한다.

 

4. 기독교 영성학의 방법론 : 해석학적 접근 (the Hermeneutical Approach)

. 기존의 연구 방법 : 조직신학과 교회사 (가톨릭에서는 영성신학(신비신학, 수덕신학) ∊ 조직신학)

. 기독교 영성학 : 독립된 학문이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이름 (from 조직신학)

. 슈나이더스가 제시하는 경험연구의 방법론 : 해석학적(hermeneutical) 방법론

  - 조직신학적 방법론 : 경험을 규범으로 제한하므로 경험 그대로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음

  -  교회사적 방법론 : 역사적 기록물 확보가 거의 불가능함

  -  해석학적 방법론 : 영적 삶의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해석 필요(해석학적 순환의 3단계)

   (1) 현상의 서술(description of the phenomenon) : 역사, 사회, 개인, 신학, 교회적 상황

   (2) 비평적 분석(critical analysis) : 각 상황에 대한 질문

   (3) 구성적 해석(constructive interpretation) : 연구 주제가 연구자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이해하고 발견 하므로 연구자는 자신이 이해한 경험을 수용하므로 자신을 변화시키고, 존재를 확장 시킨다.

 

 

조나단 에드워즈와 윌리엄 제임스의 종교 체험 비교 (2/2)

더보기

Ⅰ. 들어가는 말

Ⅱ. 조나단 에드워즈

Ⅲ. 윌리엄 제임스

Ⅳ. 조나단 에드워즈의 ‘신앙과 정서’에서의 부흥 경험

Ⅴ. 윌리엄 제임스의 종교 경험

Ⅵ. 공동점과 차이점

Ⅶ. 나가는 말

 

윌리엄 제임스.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 김재영 역. 한길사.

 

Ⅴ. 윌리엄 제임스의 종교 경험

 

  고대 그리스 철학은 경험을 이성보다 덜 중요한 것으로 여겼으나, 르네상스와 현대 과학의 등장은 체험과 경험을 중시하게 되었다. 근대에 와서는 경험주의가 강조되었고 이러한 변화는 종교 연구와 종교 철학의 문을 열었다. 종교의 그리스어와 라틴어의 어원을 보면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하나는 의식을 가진 공동체로서 그리스어로는 threskeia, 라틴어로는 cultus이다. 종교의 교리적 측면으로 종교를 따르는 공동체가 가진 신앙 체계를 말한다고 볼 수 있다. 또 다른 하나는 의식(앞서 말한 교리적 측면)을 고려한 삶의 방식으로 라틴어의 religio다. 이것은 종교의 기능적 측면으로, 사회적으로 종교가 하는 기능인데 기독교에서는 경건으로 나타나는 삶 일 수 있겠다.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에서 제임스는 종교의 토대가 되는 것이 ‘철학’이 아니라 ‘경험’이라는 것을 알리고자 한다. 다양한 개인들의 종교 경험 사례들이 그들의 언어로 기록되어 있는데 종교적 경험은 건강한 육체와 정신을 소유한 사람들이 경험 할 수 있는 “내적 종교 현상”이며, 종교를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이다. 이러한 종교 경험은 유한한 인간이 무한한 초월자를 경험하는 것으로 초월자와의 만남을 통한 개인의 “근원적 변화”가 동반된다. 

 

제임스는 종교 경험의 본질은

첫째, 초월자와의 관계 속에서 일어나며, 

둘째 경험 이전과 완전히 다른 삶의 변화를 보여주며, 

셋째, 예술 보다 훨씬 차원이 높은 아름다운 삶을 보여주며, 

넷째, 그 변화는 매우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성격을 띄고 있다고 밝힌다. 

 

또 제임스는 이 책을 통해 종교가 인류에게 중요한 것이라는 것을 알리려 하고 있다.

 

  제임스는 종교적 경험들의 특징을 형언 불능성(Ineffability), 순이지적 특성(Noetic quality), 일시성(Transiency), 수동성(Passivity)의 4가지로 본다. 형언 불능성은 신비적 상태를 표현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타인과 나눌 수도 전이될 수도 없는 (지적 상태 라기 보다는) 감정에 가까운 것이다. 둘째는 신비의 경험을 지적 상태 라기 보다, 감정 상태로 분류 할 수 있다고 했지만 그 상태를 경험하는 사람에게는 깊이 있는 진리를 통찰하게 되는 상태이므로 순수지성 상태 이다. 상기의 두 가지가 주된 신비적 상태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다. 더불어, 신비적 상태가 일상에서 계속 유지되는 경우는 없으므로 일시성이라는 특징이 있다. 또한 수행자의 노력이나 일정 방법에 의해 자발적으로 신비의 실행이 촉진 될 수는 있지만 특정 신비 상태의 경우는 항상 어떤 (초월적) 힘에 지배되는 느낌을 갖게 되므로 수동적인 특징이 있다. 신비 경험 부분에서 제임스는 신비를 경험하지 못한 사람들이 신비를 경험한 사람들에게 부여되는 초월적 권위에 복종해야 할 의무가 없다는 것을 여러 번 강조한다.

신비 경험에 대한 종교적, 심리적 연구를 통해, 그 신비 경험의 원초적 차원을 찾아낸다면 경험에서 시작하는 신학이 가능하다고 제임스는 주장한다.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종교에서 철학이 우선적 일 수 없다. 우선순위로 보자면 감정이 우선이고, 철학은 부차적이다. ‘종교학’은 종교적 신조를 제시 할 뿐 종교에서 큰 소리를 낼 수 없다는 것이 제임스의 주장이다. 감정은 개인의 경험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개인화된 경험들만이 구체적이며, 종교는 그 구체적인 것들에 의해 유지된다. 이는 기독교가 개인 경험으로 계속 이어져 오고, 개인의 경험에는 항상 삶을 역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감정이 동반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종교에서 철학이 차지하는 비중은 ‘종교학’으로서 종교를 도와주는 것 정도로 정의 한다. 그러므로 제임스는 교의 신학이나 조직신학 등의 원리들에 비중을 크게 두지 않지만, 이미 2강에서 본서는 제도적 종교가 아닌 개인적 종교 연구에 한정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책의 전반에 걸쳐서 제임스는 종교의 가치에 확신을 가지고 있다. 종교의 신조와 이론들이 맞지 않아 보일 때에라도 종교는 인류에게 중요한 것 중의 하나이다. 신비적 경험이후 (특히 9-10강의 회심관련 장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고차원적 힘에 대한 감각으로 그 삶에 변화들이 수반된다. 윌리엄의 책에서 여러 종교의 사람들의 사례를 다루지만, 종교 경험 이후의 사람들은 그들의 삶을 통해 자신의 종교를 가치 있게 하며, 삶에 긍정적 에너지를 수반하므로 윌리엄이 말하는 ‘열매’들을 보이고 있다.

 

  신비주의 전체를 놓고 보면, 종교적 신비주의는 신비주의의 일부분에만 해당한다. 정신이상 관련 자료와 종교적 신비주의 외에, 편집증인 망상적 정신이상에서 ‘악마적 신비주의(diabolical mysticism)’를 언급한다. 이는 일종의 종교적 신비주의 이고, 종교적 신비주의와 동일한 증상을 보이기도 하지만 비관적인 정서를 동반함으로 악마적인 신비주의라고 저자는 기록한다.

 

Ⅵ. 공통점과 차이점

 

1. 경험의 중요성

   에드워즈와 제임스의 소개에서 확인 한 것처럼, 에드워즈는 감각이나 경험이 지식을 만들어 간다는 기반으로 부흥의 시기에 사람들의 경험들을 연구하므로 참된 신앙과 거짓 신앙을 분별하는 지표를 제시했다. 제임스도 인식과 경험을 종교의 기반으로 생각했다. 그래서 개인적 신비경험과 종교와의 관계를 연구했다. 이와 같이 두 사람 모두 개인의 경험이 종교와 관계가 있음을 전제로 연구했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최근의 많은 학자들 또한 종교 경험이 개인의 감정, 정서, 지적 차원과 관련이 있다고 말한다.

 

2. 감정의 중요성

  에드워즈는 감정과 의지를 포함하는 의미인 정서가 의지에 영향을 주며, 신앙은 의지가 표현되는 곳이므로 신앙과 정서가 연결되어 있음을 주장한다. 제임스 또한 감정으로 표현된 부분을 종교 경험에서 주요하게 다룬다. 결국 종교 경험이란 감정과 무관 할 수 없다.

 

3. 두 종류의 구분 : 바른 증상과 바르지 않은 증상

   에드워즈는 미국에서의 두 번의 부흥이 사거라 드는 것을 보면서 모든 정서가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것이 아님을 알고, 참된 신앙의 정서인지 거짓 인지 판단하도록 했다. 참된 신앙의 정서인지 아닌지의 가장 중요한 기준은 회심을 통한 본성의 변화였다. 제임스 또한 종교적 신비주의와 ‘악마적 신비주의(diabolical mysticism)’을 구분했다. 종교적 신비주의를 경험한 사람들은 대부분 성숙한 성품으로 변화되었다. 그리고 신비주의를 경험하는 순간에 초월적 지식을 인지하게 되기도 한다. 그러나 ‘악마적 신비주의’의 경우는 신비주의의 경험의 시간동안 부정적 정서들이 지배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4. 경험의 결과

  부흥의 참된 은혜의 정서들을 경험한 사람들에게는 변화가 있었다. 한 지역에 부흥이 임하게 되면, 범죄율이 줄어들고, 술집이 문을 닫았고 길에서도 기도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제임스는 이것을 “열매”를 보고 안다고 표현했다. 제임스가 연구한 대부분의 종교 경험을 한 사람들에게서도 윤리적, 도덕적, 인류애 적으로 선한 “열매”가 나타났다. 부흥의 결과도 그 열매가 하나님과 인류를 사랑하는 마음이 커지는 등 긍정적인 정서들이 개인과 사회에 편만하게 된다. 두 사람의 연구 결과 모두 종교의 경험을 통해서 본성의 변화로 인한 삶의 “열매”가 맺혀진다. 좀 더 자세히 설명 하자면, 에드워즈가 말하는 참된 부흥의 정서의 12가지 중 1-4의 표지와 5-12의 표지로 분류한 것과 제임스의 종교 경험의 4가지 특징이 비슷하다. 에드워즈의 1-4의 표지는 정서 발생의 근원에 대한 설명이며, 5-12의 표지는 정서의 결과인 행위 부분으로 에드워즈는 ”기독교인의 실천”인 표지 12를 가장 중요한 표지로 설명한다. 제임스의 종교 경험 4가지 중 첫째는 둘째부터 넷째 까지의 특징의 발생의 기반이 되는 초월자와의 만남이다. 그리고 둘째부터 넷째까지는 에드워즈의 5-12 표지와 같은 행위 부분의 특징을 보여준다. 결국 에드워즈도 제임스도 종교 경험을 통해 개인의 “근원적 변화”가 동반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Ⅶ. 나가는 말

  제임스는 신학 안에 신비주의 “독특한 정서적 분위기를 위한 자리”를 만들게 된다면 철학과 신학이 기반이 되어 신비주의를 통해 신학이 더 긍정적으로 발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시한다. 이것은, 1750년대 청교도이자, 정통 칼빈주의 신학자인 조나단 에드워즈가 종교와 심리학, 신학을 종합한 작품인 『신앙과 정서』로 이미 시작 한 것은 아닐까?

 

  결론을 염두에 두고 시작한 논문이 아니었다. 조나단 에드워즈와 윌리엄 제임스 둘 다를 잘 모르는 상황에서 연구를 시작했다. 둘 사이의 차이점이 어떤 것이 있을지 궁금했었는데, 긍정적인 결과가 나온 것 같다. 종교의 증상에 대해서 연구한 두 사람의 대표적 작품에서 일치 되는 부분을 찾게 되어 하나님의 경륜을 본 듯하다. 정통 칼빈주의와 심리학자의 연구 결과가 비슷하다는 것에서, 지혜의 주인이신 하나님께서 솔로몬의 성전 앞에서 하신 “이 모든 것이 다 내 손으로 지은 것이 아니냐”(행7:50) 말씀이 생각났고 이방인 고넬료에게 보내시기 위해 고정된 틀에 박혀있는 베드로를 세 번이나 설득하신 하나님의 열심이(행 10:1-48) 생각났다. 우리는 유대인과 이방인, 정통신학과 경험주의 심리학 이렇게 구분하고 나누지만 이 모든 것을 만드신 분이 하나님이시다. 이번 논문 또한 모든 학문가운데서 하나님의 경륜이 드러난다는 것을 보여준 예가 되길 바란다. 학문이 문제가 아니고 항상 오용하는 우리 인간의 욕심이 문제인 듯하다.

 

  일차자료로 사용한 책들은 모두 중요한 책들 이었는데, 완독하거나 충분하게 이해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충분히 조사하고 연구하지 못해서 용어와 개념의 정의를 명확히 못하고 시간에 끌려 진행한 부분이 아쉽다. 『Religious Affections』은 국내에 『신앙과 정서』와 『신앙 감정론』으로 두 권이 번역되어 있는데, 처음에는 두 책이 같은 책인지 모르고 진행했다. 두 권을 같이 두고 비교하면서 보았으면 더 풍성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 일차자료의 원본이 아닌, 번역본을 참고한 관계로 많은 소논문들의 도움을 받아야 했으며, 그러는 중에 본 논문의 주요 주제와는 거리가 있지만 더 깊이 있는 세계를 만나기도 했다. 논문을 써야 하는 시점에 와서야 너무 방대한 자료를 두 개나 다루고 있었다는 때늦은 주제파악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원하는 만큼의 결과를 보이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있지만, 이제 윌리엄 제임스의 종교 경험과 조나단 에드워즈를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 조금 감을 잡은 것 같다. 이번 논문에서는 기독교와 종교의 차원에서 부흥의 시대에 영향을 끼친 청교도 신학자 조나단 에드워즈와 심리학의 대가인 윌리엄 제임스의 연구 방법과 결론에 대해서 간단히 다루었다. 기회가 된다면 두 대가를 조금 더 깊이 연구하여 한국 기독교와 목회자 분들께 도움이 될 만한 자료들을 정리 할 수 있으면 좋겠다.

 

 

 참고문헌 

 

[일차자료]

James, William.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 김재영 역. 파주: 한길사. 2019.

Edwards, Jonathan. 『신앙과 정서』. 서문강 역. 서울: 지평서원. 2009.

Edwards, Jonathan. 『성령의 역사 분별 방법』. 노병기 역. 서울: 부흥과개혁사. 2015.

 

[이차자료]

가요한. “종교적 경험의 발달적 이해.”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8/2(2017). 9-43.

김재영. “윌리엄 제임스의 종교이론.” William James.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 김재영 역. 파주: 한길사. 2019.

김정두. "경험과 영성과 신학의 관계성에 관하여-윌리엄 제임스의 종교심리학을 바탕으로." 「신학과 실천」 35(2013). 485-506.

백금산. “영적 체험의 분별 기준을 제시한 명작.” Jonathan Edwards. 『성령의 역사 분별 방법』. 노병기 역. 서울: 부흥과개혁사. 2015.

송준화. “조나단 에드워즈의 신앙사상 연구.” 이론신학과 조직신학 석사학위 논문. 호서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 2011.

유재경. "종교 경험의 형성과정과 내용의 해석학적 고찰." 「신학과 목회」 41(2014). 129-152.

이강학. “기독교 영성학 방법론과 그 적용.” 「한국기독교신학논총」. 102(2016). 221-245.

이상웅. “신앙감정론.” 「신학지남」. 81/4(2014), 292-294.

조한상. “조나단 에드워즈의 『신앙 감정론』에 나타난 영적분별.” 「신학과 실천」. 44(2015). 255-278.

조현진. “조나단 에드워즈 신학의 계몽주의와 과학의 수용성 연구 : 관계적 존재론을 중심으로.” 「ACTS 신학저널(구 ACTS Theological Journal)」. 42(2019). 53-81.

차옥숭. “종교경험과 종교연구.” 「종교연구」. 36(2004). 1-31.

 

Green, Barbara. “기독교 영성에서의 구약.” 62-90. Holder, Arthur. 『기독교 영성 연구』. 권택조 외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17.

 

“경험.” 「표준국어대사전」 https://ko.dict.naver.com/#/search?query=경험. 2021년 5월 10일 접속.

조나단 에드워즈와 윌리엄 제임스의 종교 체험 비교 (1/2)

더보기

Ⅰ. 들어가는 말

Ⅱ. 조나단 에드워즈

Ⅲ. 윌리엄 제임스

Ⅳ. 조나단 에드워즈의 ‘신앙과 정서’에서의 부흥 경험

Ⅴ. 윌리엄 제임스의 종교 경험

Ⅵ. 공동점과 차이점

Ⅶ. 나가는 말

 

 

  본 논문에서는 기독교에서 부흥시기의 신앙 체험과 타종교에서 말하는 종교 경험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기독교를 대표하여, 기독교 역사에서 두 번의 부흥을 경험하고 부흥에 나타나는 경험들을 하나님께 속한 거룩한 증상과 거짓 증상들을 분별하는 표지를 제시한 조나단 에드워즈의 『신앙과 정서』에서 살펴본다.

  심리학적으로 종교 체험을 연구한 미국의 심리학, 종교학, 철학자인 윌리엄 제임스의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에서 종교 경험과 그 증상들을 알아본다. 조나단 에드워즈가 말하는 거룩한 정서의 결과들과 윌리엄 제임스의 종교적 경험과 그 결과들 사이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주제어 : 조나단 에드워즈, 신앙과 정서, 윌리엄 제임스, 종교 경험 *

*본 논문에서는 종교 경험신비 경험/체험을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 있음을 알린다.

 

윌리엄 제임스.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 김재영 역. 한길사.

Ⅰ. 들어가는 말

 

  GTU에서 기독교 영성학 박사과정 프로토콜의 기초를 닦은 샌드라 슈나이더스(Sandra Schneiders)는 “한 개인이 인식하는 궁극적 가치의 지평을 향한 자기 초월을 통하여, 삶의 통합을 위한 과제에 의식적으로 참여하는 경험” 이라고 영성을 정의했다. 그러므로 영성에는 경험이 수반된다. 그러나 신학에서 경험은 지극히 주관적이면서, 우연적인 경우들이 많으므로 학문적으로 많이 논의 되지는 못했다. 심리학자이자 종교철학자인 윌리엄 제임스는 종교심리학적으로 각 개인의 신비체험들을 심층적으로 연구 했다.

  기독교 역사에서 영적 경험과 그에 대한 분별에 대해서 기록한 것은 가톨릭의 이냐시오 로욜라의 『영신수련』이 대표적이다. 개신교에서는 역사적으로 부흥의 시기를 생애에 두 번이나 경험했던 조나단 에드워즈가 부흥을 경험하는 개인과 공동체를 관찰하면서 참 신앙 체험과 거짓 신앙 체험을 가리는 기준에 대해서 논했다. 이냐시오와 조나단 에드워즈를 비교 연구한 논문들이 있다.

  윌리엄 제임스와 조나단 에드워즈는 종교 체험 자체를 연구하고 결과를 분류한 경우 이므로 본 논문에서는 두 사람의 대표적인 저서에서 나타나는 종교 경험들을 통해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비교해 보고자 한다. 『신앙과 정서』의 내용이 부흥 경험에 대한 해석이었으므로, 윌리엄 제임스의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에서도 주로 종교적 경험의 해석에 집중해서 보도록 하겠다.

 

  먼저는 윌리엄 제임스와 조나단 에드워즈가 왜 이런 연구를 하게 되었는지 그 배경을 알아보고, 그들의 대표 저서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을 분석해 본 후에 둘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정리하도록 한다.

 

Ⅱ. 조나단 에드워즈 (Jonathan Edwards, 1703-1758)

 

  조나단 에드워즈의 뿌리는 청교도에 있다. 청교도들은 설교를 중시했으며, 개인의 영적, 윤리적 신앙 모델을 제시하고 있었다. 이러한 신앙을 뒷받침 하는 사상은 칼빈주의 였다. 에드워즈의 부친은 청교도인 디모데 에드워즈로서, 이스트윈저 회중교회의 목사로 61년간 시무했다. 어머니 에스더 솔로몬 스타다드와의 사이에서 11남매 중 5번째 이면서, 독자로 태어났다. 외할아버지 솔로몬 스타다드는 뉴잉글랜드에서 영향력 있는 교회인 매사추세츠의 노샘프턴에서 목회를 하고 있었다.

  에드워즈는 13살에 예일 대학에 입학하고, 20세가 되기 전에 일생의 지침이 될 70 가지 결심문을 만들어 매주 한 번씩 읽으며 주님의 뜻에 합당한 삶을 살고자 고민했다. 늑막염으로 목숨을 잃을 뻔한 경험 이후로 구원의 문제를 주된 과제로 삼았다. 청교도들은 일기를 썼는데 1723년 1월 2일 일기에서 그는 하나님에 대한 헌신과 자기 포기를 맹세했다. 1726년 외할아버지가 시무하는 노샘프턴 교회에 외할아버지의 동역자로 부름 받았다. 뉴잉글랜드에서 청교도 신앙이 점차 사그라들고 있었지만 에드워즈는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는 데 열심을 쏟았고, 1차 대각성 운동의 주요 인물 중 한명으로 뽑힌다.

  에드워즈는 영미권에서 지적이고 영적인 신학자로서, 청교도 기반의 칼빈주의 신학자이면서, 회심과 하나님의 주권을 강력히 주장하는 설교자이며, 저술가, 철학자이다. 1734-1735년에 노샘프턴 교회를 중심으로 코네티컷 강변의 마을들을 따라 코네티컷 부흥이 있었다. 에드워즈는 코네티컷 부흥에 대한 이야기를 『놀라운 부흥과 회심이야기』(1737)로 출간했다. 1740-1742년의 제1차 대각성 운동은 뉴잉글랜드 전 지역에 퍼졌다. 대각성 운동의 주역인 조지 휫필드가 1740년 10월 7일부터 4일간 노샘프턴에서 설교를 하는 동안 1734-1735년과 같은 부흥이 일어났다. 두 번의 부흥을 경험하면서 영적 체험들과 부흥의 소멸을 관찰하면서, 에드워즈는 참된 신앙의 체험과 그렇지 않은 경우를 연구하여 정리했다. 에드워즈가 이렇게 정리하게 된 이유는 영적 부흥이 진행되는 그 시대에 영적인 증상들이 동반되며 나타나는 부흥을 반대하는 이성주의자들과 영적 증상들에 열광하는 열광주의자들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드워즈는 이성주의자들에게는 부흥을 변증하고, 열광주의자들에게는 이성을 강조함으로 극단으로 치우치지 않고 부흥의 상황들을 연구하고 중재하였다.

  에드워즈는 계몽주의와 자연과학에 대해서도 열린 자세로 연구하였다. 1720년 에드워즈는 뉴턴이나 존 로크의 영향을 받아 “원자에 대하여”(Of Atoms, 1722), “존재에 대하여”(Of Being, 1722), “마음”(The Mind, 1724) 등의 과학적 저술을 했다. 존 로크의 경험주의를 기반으로 지식들이 감각이나 경험으로 만들어 진다고 했다. 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예방접종을 적극적으로 하게 해서 1758년 1월 뉴저지 대학 학장으로 취임한지 한달 만에 천연두 예방 접종의 부작용으로 사망했다.

 

Ⅲ. 윌리엄 제임스 (William James, 1842-1910)

 

  미국의 심리학, 종교학, 철학자 이다. 어려서 그림을 그렸으나 부친의 반대로 그림을 계속하지 못했지만 그림에 대한 아쉬움을 가지고 있다. 학창 시절 몸이 너무 약해서 똑바로 앉아서 독서도 할 수 없어서 주로 누워서 책을 봤던 자신의 자화상이 있다. 하버드 대학의 과학부 화학과에 입학했다가 의과대로 진로를 바꾸어 1869년 의학 박사 학위를 받고 1875년에 미국의 대학 최초로 심리학을 강의했다. 하버드에서 생리학과 철학교수를 지내며 실험에 기초한 심리현상 연구로 영어로 씌어진 최초의 완벽한 심리학 연구서로 평가받는『심리학 원론』을 1890년에 출판했다. 이후 제임스는 인간의 근원적 현상인 종교와 철학 문제에 집중하게 된다. 이 시기에 에든버러의 기포드 강연의 초청을 받아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을 20개 주제로 나누어 강연한 것이 책으로 출판되었다. 그 이후로는 급진적 경험론에 대해 자신만의 사상을 확립하면서 강연과 저술을 펼쳤다. 대표적으로 1908-1909년에 옥스퍼드 히버트 강연이 있다. 이 시기에는 『프래그머티즘』, 『다원적 우주』, 『진리의 의미』등을 저술했다.

제임스 자신이 어린시절 미국과 유럽을 옮겨다니고, 다양한 분야를 공부한 경험에서 오는 정체성으로 인한 방황과 신체적, 심리적 질병으로 고통 받던 아픈 영혼이었다. 1870년 초부터 영적 고통을 경험하게 되면서 “여호와는 나의 피난처”, “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자들아 다 내게로 오라”,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니”같은 성경 구절 들로 고통의 상태에서 나오게 된 신비 경험이 있다. 자신의 영적 체험들과 기독교 문화에서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제임스는 예배에 적응하지 못하면서 다양한 영혼의 갈등들과 고통당하는 사람들의 삶에 공감하게 되었다. 이런한 경험적 바탕으로 제임스는 종교학(A Science of Religions)을 종교적 경험을 전인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인식과 경험이 종교의 기반이자 주요 내용이기 때문에, 종교심리학을 이용하여 종교의 신비 상태들을 분석하는데 각 개인의 신비적 경험들을 연구하면서 경험과 종교의 관계를 생각해 본다. 제임스는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에서 형이상학적인 종교의 본질을 밝히는 것이 아닌, 종교 현상의 다양한 자료들을 분석하여 종교현상의 주요 특징들을 경험론적으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Ⅳ. 조나단 에드워즈의 ‘신앙과 정서’에서의 부흥 경험

 

  조나단 에드워즈는『신앙과 정서』를 크게 3부분으로 구성했다. 1장은 “정서의 본질과 신앙에서의 정서의 중요성에 관하여“ 마음의 정서와 참된 신앙을 이루는 여러 가지 정서들을 논하고 기독교 교리를 기반으로 정리를 한다. 2장은 은혜에 속한 정서임을 확증하지 못하는 경우와 3장에서는 은혜롭고 거룩한 정서들의 특징들을 제시한다. 에드워즈가 본서를 작성하게 된 경위는 2번의 부흥의 시기를 경험하면서, 부흥의 시대에 동시에 거짓 신앙도 함께 일어난 것을 보았다. 그는 말라기 3장 18절의 말씀으로 참 신앙과 모조품을 분간 할 것을 주장한다. 그는 사도시대, 종교개혁 시대 뿐 아니라 미국에서 있었던 두 번의 부흥이 제압되는 과정들을 보면서 사탄의 방법을 알게 되었다. 그러므로 신앙 부흥의 시기 마다 참과 거짓 신앙을 구분하라고 경고한다.

사탄은 사람들을 스스로 괜찮은 사람이고 거룩하다는 확신을 갖게 함으로 타락 시킨다.

사탄은 ‘이 방법’으로 신앙을 모호하게 만들고

성도의 신앙 정서를 변질되게 만들기도 하고

하나님을 섬긴다는 이유로 의도적 죄를 짓게도 한다.

 

또한 하나님을 향한 열심이라고 생각하고 서로 대적하는 일을 하게 만드는데, 『신앙과 정서』를 통해 성령의 역사의 ‘구원하는 본질’과 표증들을 보여주고자 한다.

 

  신앙에서의 정서의 중요성을 정리한 1장에서 “마음의 정서(affections of mind)”란 “한 인간의 영혼을 구성하고 있는 의지와 성향이 지닌 더 활기차고 감지할 수 있는 활동” 이라고 정의했다. 조나단 에드워즈는 정서란 감정과 의지가 내포된 의미로 행위의 기반이 됨을 주장한다. 그러므로 신앙은 먼저 내면적 감정과 의지로 나타나고 참된 신앙은 ‘경건의 능력’(딤후 3:5)이 나타나는데, 이는 자기 영혼에 관심을 갖게 되고, 행실에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렇게 참된 신앙의 부분으로 저자가 주장하는 정서는 다음과 같다.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두려움의 정서, 하나님의 약속에 대한 소망의 정서, 죄를 싫어하고(미움) 하나님과 그 백성인 인류에 대한 사랑의 정서, 거룩함을 쫓는 거룩한 소원과 기쁨, 슬픔의 정서, 은혜에 감사하는 감사의 정서와 긍휼의 정서 그리고 그리스도가 인류 구원을 위해 자신을 내어주셨던 열심의 정서가 참된 신앙을 가진 성도의 정서라고 주장하며 이 모든 정서를 포함하고 계신분이 그리스도 라고 정리 한다. 부드럽고, 경건한 정서에 의해 마음은 쉽게 감동을 받게 되고, 마음이 굳은 사람은 경건한 정서가 결핍된 마음이므로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않고 떠나게 된다. 성경의 예에서는 출애굽 당시의 바로 왕과, 에스겔과 이사야서에서의 이스라엘과 같다고 볼수 있다. 이와 같이 정서는 신앙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거룩한 정서 없이는 참된 신앙도 존재하지 않음이 명백“하지만, 모든 정서가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것은 아니므로 정서를 분별해야 한다. 그러므로 에드워즈는 신앙적 정서임을 확증하는 표지가 될 수 없는 12가지 경우를 나열한다.

(1) 신앙적 정서가 고조 된 것이라고 해서 참된 신앙적 정서는 아니다.

(2) 정서가 몸에 미치는 영향력으로는 참된 신앙적 정서인지 알 수 없다.

(3) 유창하고 열정적으로 말하는 것으로는 알 수 없다.

(4) 인위적이지 않다고 해서 진정한 신앙적 정서인지 알 수 없다.

(5) 정서와 성경 말씀이 함께 임하는 것이 참된 신앙 정서의 표지가 될 수 없다.

(6) 사랑의 모습이 나타난다고 해서 참된 신앙적 정서인지를 알 수 없다.

(7) 여러 신앙적 정서들이 같이 나타나는 것이 진정한 신앙적 정서인지 알 수 없다.

(8) 회개 후에 위로와 기쁨이 무조건 신앙적 정서라고 확정 할 수 없다.

(9) 예배에 열심을 보이고, 신앙의 일에 많은 시간을 보낸다고 해서 참된 신앙적 정서라고 확정 할 수 없다.

(10) 찬양한다고 그것이 참된 신앙 정서의 표지는 아니다.

(11) 자신의 상태가 좋고, 경험이 영적이라는 것이 표증은 아니다.

(12) 사람들을 감동시키더라도 그 정서들이 참된 신앙적 정서인지 확언할 수 없다.

 

여기까지의 12가지 표지들은 에드워즈 당시 부흥을 왜곡하여 모든 정서적 경험을 성령의 역사라고 믿는 열광주의자들을 겨냥하고 정리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학자들은 보고 있다.

 

  책의 세 번째 부분에서는 은혜롭고 거룩한 정서들의 확실한 표지를 설명한다. 에드워즈는 회심의 개념을 “마음의 감각“에 대한 변화라고 했는데 에드워즈 자신이 변화 가운데 신학적, 철학적, 심리학적 성찰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진다. 확실한 표지 12가지는 개인 경건과 회심의 연구의 결과이다. 12가지는 다음과 같다.

(1) 참된 신앙의 정서는 마음에 신령하고 초자연적이며 거룩한 작용들로부터 발생한다.

(2) 이기심이나 자기 애착이 아닌 하나님의 하나님 되심에 대한 인식이 기반이 된다.

(3) 거룩한 정서는 하나님의 아름다우심에 대해 인식하므로, 도덕적 탁월성이 동반된다.

(4) 하나님에 대한 것들을 이해하고 인식하는 마음이 동반되는 정서이다.

(5) 진리에 대한 합리적이면서도 영적인 확신이 함께 한다.

(6) 정서들이 복음에서 오는 겸손을 수반한다.

(7) 성품에 변화가 온다.

(8) 그리스도의 성품을 닮아간다.

(9) 마음을 부드럽게 하며,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마음이 동반된다.

(10) 거룩한 정서들은 균형이 맞혀진다.

(11) 현재의 영적 상태에 만족하지 않고 하나님을 향해 더 갈망하는 마음이 있다.

(12) 신앙이 실천으로 열매를 맺어 행위로 나타나게 된다.

 

상기의 12가지 중 1-4의 표지는 정서가 발생하게 되는 근원에 대한 설명이며, 5-12는 정서의 결과로 나타나는 행위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에드원즈는 표지 12를 가장 길게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기독교인의 실천”이 중요한 표지임을 알려준다. 참된 신앙적 정서는 기독교인의 본성과 행위가 내주하시는 성령에 의해 변화 되어 실천적으로 “열매”를 맺는 삶임을 보여준다.

 

기독교 영성 연구_26장 해석 (2/2)

필립 쉘드레이크(Phillp E. Sheldrake) 박사

더럼대학교 신학부 교수

더보기

목차

1. 역사에 지혜가 있는가?

2. 정황과 문화의 중요성

3. 정황과 선택

4. 해석과 의식화

5. 영적 “고전”의 본질

6. 해석 과정

7. 의미의 본질

8. 텍스트의 배후에 있는 것

9. 텍스트의 구성

10. 텍스트가 무용지물이 될 수 있는가?

11. 잠재적 독자 공동체란 무엇인가?

12. 결론

 

 

아서 홀더. 기독교 영성 연구. 권택조 외 역. CLC.

 

6. 해석 과정

  해석의 결과가 적용되는 것을 의미할 경우 문제점은 저자의 의도를 무시하고 오늘날에 맞는 내용으로만 단순하게 해석하는 경우와 저자의 의도에만 집중하고 독자의 상황을 무시하는 경우이다. 이런 경우를 극복하기 위해 ‘텍스트에 대한 수용적인 태도와 비판적 태도를 가지고 텍스트와 대화를 나누는’ 방법을 저자는 제시한다.

 

  텍스트와의 대화를 한다면 텍스트의 역사적 정황은 중요한 출발점이다. 쓰여진 시대와 읽혀지는 시대 사이의 용례도 현 시점의 해석에 영향을 미친다. 역사적 지식을 이용한 해석이 어느 정도 가이드가 될 수 있지만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노르위치의 줄리안의 ⌜계시⌟의 경우는 실제 경험이후 시간이 흐른 뒤에 ‘사후적 관점‘으로 한 해석의 기록이므로 역사적 지식이 해석에 큰 변수가 아니다.

 

  저자는 해석에 대한 전통적 접근으로 근대 독자들은 이미 고전에 부여한 가치나 경험을 가지고 있으므로 바른 이해에 문제가 된다고 주장한다. 현대 해석학에서는 종교적 세계에 의해 저자의 원래 의도를 넘는 텍스트의 가능성을 독창적인 방식으로 알아가는 다양한 접근법을 연구중이라고 한다.

 

  로완 윌리엄스는 프랑스 신학자 리쾨르가 텍스트의 ‘계시적 본질‘에 너무 집중해서 해석 과정의 ’계시적 특징‘에 대해 다루지 않았음을 지적한다. “현재 독자와의 교감이 이루어지고 있는 텍스트가 계시의 장”이라고 그는 주장한다. 그러므로 종교적 텍스트의 해석을 위해서는 지적 정밀과 인격적 접근이 둘다 필요하다는 것이다.

 

  영적 고전에 대한 해석은 음악에 대한 해석처럼 새로운 연주자를 만날 때 마다 새로운 면이 드러날 수 있다. 원저자의 의도안에서 텍스트에 대한 시야를 확장하므로 새로운 의미를 발견한다. 이는 ‘해석학적 순환’이라고 하는데 텍스트에 가진 의문을 텍스트에 의해 재형성 하는 것이다. 해석학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가다머는 ‘텍스트는 애초에 독자에게 출발점을 제공한 전제들의 “마법 주문을 깨야”한다’고 강조 한다. 그는 텍스트가 저자의 의도를 넘어 “풍성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는데 그것이 고전을 현재적으로 되살리는 것이 된다. 독자의 현재 상황은 텍스트에 영향을 미치고, 텍스트는 독자의 현재 이해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가다머는 이해와 해석, 적용은 ‘순간들’이 아니라 ‘통합된 과정’이라고 주장한다. 지혜가 텍스트로 기록되는 순간 저자와의 ‘거리두기‘가 시작되면서 텍스트 자신이 의미의 매개체가 된다. 텍스트는 동시대(원래적) 청중들에 대해서 ’거리‘를 둠으로 본질적으로 그것을 읽는 자를 위해 사용된다. 텍스트는 원래적 정황에서 ’거리‘를 둠으로(탈상황화) 후대의 다른 정황과 관련 시킬 수 있다.(재상황화) 이러한 텍스트의 ’거리두기‘는 자신의 원래 상황에서의 한계를 초월하게 된다.

 

  텍스트와 독자의 대화는 새로운 의미의 해석이 되므로 두 상황을 하나로 묶는다. 독자는 이런 만남으로 새로운 자기 이해를 갖게 된다.

 

7. 의미의 본질

  해서의 과정을 통해 이르게 되는 의미를 관찰하자. 로완 윌리암스에 의하면, 신학적 관점에서 ‘해석’은 ‘실재가 드러나고 지속되는 세상의 점진적 형성(점진적으로 형성되는 세상?)’이다. 점진적으로 형성되는 실재가 드러나는 세상이 지속된다.

 

  오늘날은 “공감의 해석학”, “의심의 해석학”으로 불리는 해석학적 접근을 한다.

  “공감의 해석학”은 ‘잠재적 독자 공동체’안에서 형성된 공감대가 사적 목적을 위해 텍스트를 임의로 사용 할 수 없게 하는 규범적 역할을 했다는 점에 공감한다.(가톨릭, 성공회의 기도문?)

 

  “의심의 해석학”은 현대적 상황에 의해 야기된 질문이 텍스트의 측면과 그것의 신학적 또는 문화적 가정에 비판적일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위장된 의미를 해석하려는 것을 “의심의 해석학”이라고 한다면, 우리는 텍스트가 쓰여진 사회의 정황에 대해 많이 알고 있으므로 텍스트에 드러난 내용 뿐 아니라 침묵하고 있는 부분과 배후의 내용, 언급되지 않은 부분이나 배제된 부분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통을 회복하려는 시도를 하는 경우 ‘기독교 역사 전체에 대해 근본적으로 의심하는 신학을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신학적 식민지주의, 여성의 영적 지혜를 무시하는 경향, 일상적 영성보다 성직자의 영성을 우위에 두는 것들을 고려해야 한다고 한다.

 

8. 텍스트의 배후에 있는 것

  오늘날의 해석과 관련된 사항들을 검토해 보면, 첫째는 텍스트 배후의 내용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이다. 예를 들어 예수회의 ⌜헌법⌟은 그 배후에 ⌜영신수련⌟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둘째 ‘텍스트’를 넘어서는 넓은 이해와 관련되는데 ⌜헌법⌟은 법적인 문서라기 보다 영적 경험을 돕는 문서라는 것이다. 셋째 고전적 텍스트는 원칙대로 사용될 수 없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헌법⌟의 경우에서 보면 이 책은 목회자들을 향한 책이었으나 그들은 별로 관심이 없이 이그나티우스의 경험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중요하다. 넷째, 누가 ‘잠재적 독자 공동체’를 형성하며 영적 텍스트에 접근할수 있는 자인지 살펴 보는 것이다.

 

  저자는 아시시 프란시스의 “태양의 노래”를 사례로 해석한다. 이 텍스트는 자연에 대한 달콤한 사랑으로 볼 수 있으나 이 노래의 핵심은 모든 피조물이 형제 자매이며 그리스도를 반영한다는 것을 말한다. 프란시스는 창조 자체가 하나님의 계시인데, 만물이 그에 의해 만들어지고, 그는 피조물로 우리에게 오셨다는 것이 프란시스의 사색의 기초이다. 이 시에서 세계는 ‘화해의 공간’이다. 이 시의 배후에 있는 다른 텍스트로 ⌜증언⌟을 기초 할수 있는데 그 책에서 프란시스는 나병환자와 만났던 순간에 대해 말하는데 그것이 이 시에서 말하는 ‘타인’의 특별한 의미이다. 신체적 질병, 영적어두움으로 나병환자는 추방되었지만 프란시스는 그와의 만남을 통해 고통과 소외속에 있는 인간(‘타인’)으로 오신 그리스도를 통해 계시된 하나님의 성육신의 핵심을 깨닳았다.

 

9. 텍스트의 구성

  트레이시는 ‘고전’을 문서에만 한정하지 않는다. 인간은 ‘상징’안에 존재 한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건물이나 그림 등은 넓은 의미에서의 ‘텍스트’가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상징을 읽고 의미를 해석 할수 있다. 중세 성당은 예배를 위한 공간이었지만 그 자체가 예배하는 행위로 인식되고 고딕 양식의 건축물들은 하나님의 본성에 관한 개념을 함축한다. 12세기에는 3층 구조의 삼위일체적 상징이 있었고 고딕의 벽돌 대신 유리를 사용하므로 창을 통해 들어오는 빛으로 빛이신 하나님을 표현했다. 위-디오니시우스나 아우구스티누스의 미학은 하나님의 조화와 질서가 주제였다. ‘질서’는 건물과 예배 공동체 둘 다를 가리키며, 아우구스티누스는 ‘우주의 조화로운 아름다움’을 질서로 표현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통합’을 그리스도의 몸을 구성하는 믿는 사람들의 공동체로서 교회로 이해했다. 이들은 장소가 필요했고 이 장소는 예식을 위한 곳으로 건물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예식을 위한 장소인 건물은 또 하나의 텍스트로서의 역할을 하면서도 그 기능을 만족시킬 수 있어야 했다.

 

10. 텍스트가 무용지물이 될 수 있는가?

  고전의 텍스트는 현대인들의 지식이나 가치관에 맞지 않기도 하다. 14세기에 기록된 ⌜미지의 구름⌟은 여러 가지로 현대인들에게 받아들이기 어색한 부분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앞서 제시한 고전 텍스트와 오늘날 독자 간의 대화로 텍스트의 의미가 읽을 때마다 독자에게 재해석 될 수 있는 것으로 풀어간다. 저자와, 텍스트 시대와 거리를 둠으로써 원래 저작당시의 제약을 벗어나 해석 될 수 있다.

 

  건물을 텍스트로 보는 경우도 중세의 대성당들이 ‘공동체의 기억과 열망을 간직한 곳’으로의 상징이 된다. 그러므로 고전적 텍스트의 ‘의미’는 고정되지 않고 재해석 된다.

 

  ‘고전’이라는 정의를 위해 트레이시가 주장한데로 ‘텍스트가 인간의 기본적 요구를 충족 시키는가’인 적합성의 준거와 ‘텍스트는 존재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에 충실한가’(the text is faithful to a specifically Christian understanding of existence)의 적용의 준거에 따르는 것에 저자는 동의하지만 여전히 이 준거를 해석하고 적용하는 것은 미결인 채로 진행됨을 인정한다.

 

11. 잠재적 독자 공동체란 무엇인가?

  누가 텍스트를 해석할 것 인가에 따라 텍스트의 새로운 의미를 드러내는 결과가 달라진다. 이러한 ‘잠재적 독자 공동체’는 시대에 따라 변하게 된다. 예로 들었던 ⌜영신수련⌟의 경우 작성되던 시기에는 남성이나 성직자 수도회 사람들이었지만 이제는 그 시대에 해석을 받아들이기만 해야 했던 여성들도 해석하고 있다. 결국 ⌜영신수련⌟을 통해서 유익을 얻었던 자들이 모두 ‘잠재적 독자 공동체’에 포함된다.

 

  종교 건물의 경우 현대에 중세 대성당을 방문하는 방문자들까지도 확장된 독자 공동체라고 할 수 있을까?

 

12. 결론

  이 글의 대부분은 고전 텍스트의 해석, 역사의 역할과 관련되고, ‘잠재적 독자 공동체’의 본질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영성 분야에서 해석은 권한의 문제와 관련이 있는데 저자는 일부 학자에게만 허용되어 해석 분야가 신비화 되는 것에 반대한다. 저자는 해독 작업을 ‘신학적 의무’로 정의한다. 교육 철학 및 신학을 아우르며 텍스트와 전통에 대한 통찰력을 잘 전달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기독교 영성 연구_26장 해석 (1/2)

필립 쉘드레이크(Phillp E. Sheldrake) 박사

더럼대학교 신학부 교수

더보기

목차

1. 역사에 지혜가 있는가?

2. 정황과 문화의 중요성

3. 정황과 선택

4. 해석과 의식화

5. 영적 “고전”의 본질

6. 해석 과정

7. 의미의 본질

8. 텍스트의 배후에 있는 것

9. 텍스트의 구성

10. 텍스트가 무용지물이 될 수 있는가?

11. 잠재적 독자 공동체란 무엇인가?

12. 결론

 

 

아서 홀더. 기독교 영성 연구. 권택조 외 역. CLC.

 

  해석이란 ‘이해를 위한 탐구가 되어야’하기 때문에 사실 뿐 아니라 ‘의미’를 고려해야 하므로 복잡한 작업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영성 연구는 모든 학문에서 처럼 정보를 제공하지만 더불어 그 ‘의미’와 ‘적용’의 질문이 뒤따라 간다. 이는 영성이 연구자에게 적용되어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영성 연구에서의 해석을 위해서는 학제간 연구가 필요하다. 고전적 해석의 방법인 역사, 언어, 문화적 방식 뿐 아니라 해석 대상인 영성의 특징으로 신학적 도구와 철학, 사회 과학, 심리학적 방법론 등도 고려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도구인 영적 전통 및 성경은 그 자체에 깊은 의미가 있다. 영적 전통 및 성경에서 제시하는 것은 우리의 ‘인식적 지혜’를 넘어서지만 우리가 따를 경우 우리를 변화시키므로 지적 접근 뿐 아니라 사색적 접근이 필요하다.

 

1. 역사에 지혜가 있는가?

  영성 연구를 위해 해석해야 하는 텍스트와 전통들은 해석하려는 우리와 역사, 문화적으로 거리가 멀다. 그러므로 ‘역사’의 본질이나 가치를 어떻게 보는가가 해석에 기본적인 영향을 미친다. 현재 서구문화에서는 ‘역사는 단지 지나간 과거에 불과하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역사를 버려야 하는 보수 세력으로 인식하는 사람들과 신속성(immediacy)에 길들여진 세대들에게 역사는 의미가 없어졌다. 그러나 역사는 자기 정체성의 한 부분이고 이것은 ‘전통’으로 각 세대에 맞는 역사를 전할 뿐 아니라 현재와 연결하여 나타난다.

  역사에 대한 이런 점에도 불구하고 역사는 영성과 영적 가치관 해석의 기본적 요소이다. 영성 연구에서는 영적 텍스트와 저자의 시대의 정황, 오늘날 해석자의 정황을 고려하여 해석한다. 그러나 영적 고전의 경우는 저자의 명확한 의도에만 초점을 맞추었다.(p672, [질문] 이문단은 성경과 고전의 해석법을 다르게 한다는 의미일까요? 영적 텍스트는 성경이고 영적 고전은 ‘고백록’같은?)

 

2. 정황과 문화의 중요성

  1960년 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교황 요한 23세는 역사 자체가 하나님을 인식 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했다. 신앙과 역사, 종교 역사와 세계역사는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영성은 역사의 영역 안에 있다. 13세기 탁발 운동(아시시의 프란시스, 클라라)의 가난에 대한 강조는 가난한 사회의 상황에 대한 영적, 사회적 반응일수 있다. 그러므로 영적 전통의 해석을 위해 역사적 정황을 연구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 이렇듯 성경을 역사를 고려하여 비판적으로 연구하면, 성경의 가치를 정황(정황은 어느 정도 문화에 의해 결정된다.)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다양하게 적용 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전통을 발전시키거나 기록 할 수 있게 된다. (비판적 연구에서 ‘문화’란 세계관 뿐 아니라 그 시대에 상징들로 만들어진 패턴이며 그 패턴을 발전시키는 수단까지를 포함한다. (ex)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문화 자체가 여러 의미를 가지는 ‘잠재적 텍스트’일수 있다. 그러므로 해석이 더 복잡해 지는데, 문화를 형성하는 여러 관점들은 사람을 모으게 하고 각각 일정한 기능을 하게 한다. 결국 문화는 세계관을 형성하고 그 세계관의 산물인 텍스트는 문화의 표현이 된다.

 

  믿음의 행위는 문화 속에 있에 있으므로, 기독교 영성에 있어서 정황은 영성의 형식을 만들어내는 본질적 요소가 됨에도 로욜라의 이그나티우스는 모든 시대에 본이 될 수 있는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칼라너와 그 형제들이 분석했다. 그러므로 영성 역사의 연구에서 종교적 태도와 가치관이 문화의 지배를 어떻게 받았는가에 대한 협소한 연구를 지향하지 말고, 신학적 이론과 사회적 정황이 고려된 중도적 입장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3. 정황과 선택

  영적 전통에 대한 해석에는 정황으로 인한 비판적 질문들이 필요하다. 첫째는 거룩에 대한 관점이다. 거룩한 사람들의 범주나 장소나 사물등을 생각해 볼수 있다. 둘째는 영성을 만드는 사람드이 소수 계층의 사람들의 경험을 고려했는지, 셋째는 어떤 것을 영성으로 선택하고 거부했는지 검토해 볼수 있다. 예를 들어 중세 여성운동(베긴수도회)을 거부했는데 그에 대한 동기를 검토하므로 그 당시에 선택한 것이 거부한 것보다 절대적이었나 검토해 볼 수 있다. 넷째, 그 시대에 영성과 어울리지 않는 집단들이 어떤 부류였는지, 왜 그랬는지 등을 관찰해 보아야 한다.

 

  역사 연구에는 선택 사항들이 많다. 우리가 어떤 기준을 선택했느냐에 따라 해석에 영향을 끼친다. ‘시간적 영역의 선택’은 각 시대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은 것과 여러 세대사이에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고려해야 한다. ‘지리적인 영역의 선택’도 마찬가지인데 연구 하는 주제의 시대의 ‘변방’과 ‘중심’이 해석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켈틱 영성(아일랜드 영성)은 지금까지는 그 자체 연구보다 라틴 전통으로 흡수된 관점에서 연구되었다. 마지막으로 ‘특정 증거의 선택’인데 하나의 자료에만 너무 배타적으로 초점을 맞출 경우 그것은 그 시대와 지역을 아우르는 대중적인 신앙이 아닐수 있다.

 

4. 해석과 의식화 (Interpretation and Commitment)

  영적으로 중요한 성경과 특정 텍스트에 대해서는 그 해석을 위해 특별한 통찰이 필요하다. 텍스트를 해석하는 방법은 독자들이 그 텍스트를 읽는 이유와도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성경이나 특별한 영적 텍스트(이하 지혜문헌)의 해석을 위해 독자가 그 글을 읽는 이유를 고려한다. 그래서 지혜 문헌의 해석에서 “활용방식“을 적용한다. 독자가 텍스트를 이해하려는 이유는 지식을 위한 것이 아니라 활용하기 위한 것이므로 텍스트를 읽는 독자들의 목적은 자신의 ‘변화’이다. ‘지식 및 해석에 대한 변화적 접근’은 데이비드 트레이시 및 로완 윌리엄스 같은 철학적 신학자들도 지지한다.

 

5. 영적 “고전”의 본질

  오늘날의 삶에도 적용되는 고전에 대한 해석은 중요하다. 영적 고전들은 역사적 제약에도 불구하고 현재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그 중요성이 강조된다. 이것이 “고전”의 의미이다. 고전은 설득력이 있고 독자에게 도전을 주며, 변화를 이끌어 낸다.

 

  영적 고전의 중요한 요소는 committed text라는 것이다. 이들은 성경처럼 특별한 해석으로 이끌어 독자로 하여금 ‘commitment’하게 한다. 트레이시는 “고전적 텍스트”는 시대물과 질적 차이가 있으며, 같은 text가 특정 상황에서 새로운 적용이 가능하며, 해석자에게 변화를 주어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는 힘이 있다고 제시한다. 고전에는 이와 같은 “특수성”과 독자에게 변화를 요구하는 “보편성“이 모두 존재하며, 저자는 ”고전“을 인물이나 사건, 건물까지도 고전의 텍스트로 다루고 있다.

 

기독교 영성 연구_18장 심리학 (2/2)

 

자넷K.러핑(Janet K. Ruffing) 박사

포덤대학교 영성신학 교수

 

더보기

목차

1. 영성 정의에 관한 문제

2. 정신 분석 이론들

3. 하나님에 대한 표상들

4. 인지 이론가들

5. 분석적이고 초인격적인 심리학

6. 초월성

7. 영성을 측정하는 임상적 도구의 발달

8. 기독교 영성 연구에서 질적 연구 방법

9. 결론

 

아서 홀더. 기독교 영성 연구. 권택조 외 역. CLC.

 

5. 분석적이고 초인격적인 심리학

1) 프로이트 : 종교는 리비도에 대한 방어적 왜곡이며, 욕망을 성적으로 해석

2) 융

. 프로이트의 위 두 가지를 동의하지 않고, 리비도를 ‘열정적 갈망’으로 해석

. 심리적 치유는 영적 차원을 통해 발생한다고 여김

. 분석 심리학 : 중년 이후에 일어나는 심리발달에 초점 맞춤 (본질적으로 영적인 문제로 믿음)

 

. 영성과의 관계 : 영적 체험을 꿈과 상징을 신적인 것과 관련하여 해석하므로 간학문 대화 가능

  . 융이 학문적 저술에서 하나님과 성령의 존재 가능성에 대해 모호하게 남김으로, 개념의 모호함이 도리어 융의 이론적 기반을 기독교에 적용하는 여부에 대한 많은 연구를 하게 만듦

. 분석 심리학 : 개인들의 의식적 이해를 통하여 내적 정신의 과정을 묘사 하려고 시도

  (1) 단점 :

    - 직관적이고 관계적인 삶을 무시하거나, 지성적이고 추상적이 될 경향

    -  실세계에서의 활동과 결과보다 내부의 의식의 결과에만 초점 둘수 있음

    -  어떤 이들에게는 영성의 영지주의적 형태로 보이기도 함

  (2)  기대되는 점 : 그리스도인의 의식을 형성하고 정신 에너지를 조직하는 기독교 상징들과 예식, 이미지들의 탐구 방법을 풍부하게 한다.

3) 로베르토 아싸졸리(Roberto Assajoli, 초인격적 심리학(Transpersonal psychology) ) :

. 분석 심리학의 상징들을 실질적 방식으로 발전 시킴. 중간 무의식에서 잠재력을 분해하고 통합 (자아도 무의식의 어떤 일부도 아님)

. 깨어있는 상상의 안내를 통해서 통합되지 않은 이미지를 만남으로 종합적 이미지로 변형될 때까지 계속 수정하면서 초인격(?) 주위로 통합된 정신적 성장이 촉진 가능

. 상징을 이용한 방법과 정신 에너지의 분해와 통합의 방법은 기도 혹은 환상이나 신비적 상태로 나타날 때 이 과정들이 이해되고 점차 자라날 수 있다.

→ 이미지, 정신건강, 신체 건강의 관계성에 관한 문헌

 

4) 아브라함 매슬로우(Abraham Maslow) : 초인격적 심리학(Transpersonal psychology, 자아초월심리학)

. 윌리엄 제임스 : 종교 경험 모델 발견한 선각자

. 아브라함 매슬로우 : 자아실현과 절정 경험(peak experiences)

  - 둘 다 종교적 경험에 대한 설명을 사유화하여 특정 종교적 전통에서 탈피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이러한 한계 내에서 건강한 영적 발전에 대한 설명을 제공 (p469, 아래서 8번째 줄 재해석)

 

. 초인격적 심리학(Transpersonal psychology, 자아초월심리학)

  - 심리학에서 자기 초월을 퇴행적으로 해석하여 축소하려는 시도에 저항

  -  세계의 다양한 영적 전통과 형식들을 인정

  -  사명선언문의 내용 : “meta-need, 궁극적 가치, 합일 의식, 절정의 체험, 황홀경, 신비적 체험, 존재 가치, 본질, 행복, 경외, 경탄, 자아 실현, 궁극적 의미, 가지 초월, 영, 일상의 신성화, 일제감, 우주적 경외심...관련 개념과 경험과 활동에관한 이론적 연구와 응용 연구,, 독창적 기여, 임상 논문과 소논문의 출판“

  -  영적 비상상황들(spiritual emergencies) : 삶에서 초인격적 부분이 체험될 때, 이해하고 통합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이 필요한 혼란스러운 의식 및 상태 (익숙하지 않은 의식 상태로 들어가는 ‘돌파’(breakthrough) 체험을 약물치료로 분류했었으나 영적 상황으로 해석)

  -  신비적 경험과 병리학적 증상의 구분 시도(성격 발달의 종류를 이해) : (p470, 중간)

    ① 정신적 분열 없이 (일시적 또는 영구적) 강렬한 의식 또는 감각 박탈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 신비의 시간이 끝나면 병적 증상이 없는 사람들은 자신들이 신비로운 경험을 했음을 인식

    ② 신비적 특징과 정신적 특징이 동시에 존재할 때 : 둘 사이를 구분하기 위해 필요한 성격 발달의 종류를 이해하려고 함 (Lukoff 1985).

 

  - 고난, 고통, 학대의 경험으로 인해 영향 받는 영적 자리는 심리학적 자각 아래에 있음(by 기독교 신비주의자들)에도, 모든 관계와 일상적 경험 모두에 변형을 준다.

  - 관련 문헌 : 동양종교나 영적 실천에 초점

 

5) 켄 윌버 (Ken Wilber) : 의식의 파장 (spectrum of consciousness)

. 의식 지도(map)의 틀에 종교 경험들을 맞추려 함

. 불교가 개인 성장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수준의 의식 설명 (심리치료는 개인 성장과 관련)

  - 오랜 심리적 문제를 영적 실천만으로 처리 불가능

  -  영적 수준의 의식은 심리 치료로 처리 되지 않음 (심리학의 한계)

  -  심리학적 훈련은 특정 종교 전통의 영적 발달과 다름

 

A. 과학과 영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통일된 이론 제작 시도

  (a) 다양한 심리적 치료가 정신의 한 층(layer)만 다룰 수 있다 (ex) 어린 시절 상처는 정신 분석

  (b) 심리학 작업이 영적 발전 앞에 존재 (영적 성장 이전에 심리학적 성장이 있다.)

    cf) 영적 각성이 아이들에게도 발생, 일생의 어떤 시점에서도 발생 가능성 있음

B. 전/전이 오류(pre/trans fallacy) : 초인격적 상태들은 성찰적 자아를 넘는 발달 상태임

 

6) 짐 마리온(Jin Marion) : 윌버의 이론을 기독교에 적용하려는 시도 “기독교 영성의 내적 작업”

. 자신의 경험한 내적 상태 (윌버의 구조 안에서 마리온의 영적 여정 세움)로 제한

. 문제점 : 기독교적 울타리 안에 있는가? 공동체에서는 어떤일이 생길까

 

7) 마이클 워시번(Michael Washburn) : 초인격적 신비주의 대표 서양 신비주의자

. 십자가의 요한, 아빌라의 테레사의 배타적 언급

  - ‘어두운 밤‘을 평범한 중년의 문제로 해석, 모든 중년 경험이 ’어두운 밤‘의 과정을 격지 않음

. 가장 큰 통찰 : 초월이 주는 퇴행에 관한 묘사

(“자아가 소외되거나 일반 집착에서 거리 두는 것을 스스로 발견하는 시기“)

. 대상 관계 및 자기 심리학이 영적으로 어떻게 작용하는지 인식하는 데 도움

 

6. 초월성 (Walter Conn)

. 기독교 영성 연구 목표 : 인간 발전(인간 발달)

. 심리학적 이념이 기독교적 이념과 조화 될 수 있을까 (by 월터 콘)

  - 심리학적 자기 실현은 진정한 자기 성취이고 기독교의 자기 부인이 “진정한 자기 실현을 방해하는 자기에 대한 관심과 갈망과 소망을 거부하는 것”이라면 둘은 조화를 이룬다.

  - 진정한 자기 실현 : 타인을 이롭게 하면서 자신을 초월하는 움직임에서 온다.

. 자기 초월의 사례 : 책임감 있는 결정, 관대한 사랑 등

. 자기 실현의 척도 : 이웃에게 봉사하도록 하는 인지, 도덕, 정서적 자기 초월

. 관계안에서 반복적인 나선형 구조로 성장(억압적이지 않음)

. 자기 초월 방해 : 과거 상처로부터 온 부자유, 전체적 상호 관계적인 상황 고려 없이 자기에게만 초점을 맞추는 것 등

 

7. 영성을 측정하는 임상적 도구의 발달

. 영성 측정 도구 개발 : 과거 동양 묵상 실천에서의 심리적 효과 → 현재 MRI, 뇌스캔 등

 

1) 힐과 후드(hill and hood) : 17가지 범주로, 종교와 영성에 관한 125가지 측정 도구 평가

- 믿음, 태도, 종교적 방향, 신앙 발달, 근본주의, 죽음에 대한 태도, 회중 참여, 만족

 

2) 펫쪄연구소(고령화 특성화 연구소) : 건강 관련 연구자들이 사용 할 수 있는 12가지 영역, 종교/영성을 다층적으로 측정하는 도구 개발

- 영적 체험, 의미, 가치, 믿음, 용성, 개인적 종교 실청, 종교적/영적 극복, 종교적지지, 종교적/영적 내력, 헌신, 조직화된 종교, 종교적 선호도

 

3) 힐과 파가멘트(hill and pagament) : 측정도구 개발에 주의할 점

- 영성 : 종교적 체험의 개인적, 주관적인 측면 – 개인, 주관, 정서, 내적, 비체계, 자유로운 표현

- 종교 : 관념이나 이념적 헌신의 고정된 체계 – 기관의, 형식적, 외적, 교리적, 권위적, 역제된표현

→ 영성과 종교의 양분으로 인해 기관과 개인 영역(영성의 사유화)의 측정 도구를 만들게 됨

→ 영적 표현이 사회적 상황에서 발생되는 것과 조직화된 신앙 전통은 공동체와 개인 영역 모두에 영향을 끼치는 것은 간과한 것

→ 영성은 긍정적 요인, 종교는 부정적 요인으로 추정함으로 영성의 부정적 부분과 종교의 긍정적 부분 간과

 

- 주의점 :

  . 종교, 영성 구분되나 관련된 개념이며, 둘다 성스러움을 추구한다는 것 간과

  . 종교 심리학자들의 연구나, 건강한 종교가 심리학에 잘 제시되지 않으므로 생긴 결과

- 정신건강에 관련된 영성개념과 측정도구 개발에 진보는 계속되고 있음

- 종교적, 영적 변화를 측정하는 도구 개발을 소망함

 

- 제안 :

A. 횡적 연구(cross-sectional)보다는 종적 연구(longitudinal)의 측정 도구가 개발이 요구됨

B. 영성과 임상적 종교 심리한 연구사이의 측정도구 개발 부분은 더 많은 연구의 영역

C. 임상에 기초한 정보와 기독교 영성의 이해 사이의 소통을 위한 제안도 영성 연구 분야를 풍부하게 할 수 있음

 

- 연구결과들로 인한 질문들

  . 영성 이해에 어떤 변화가 생길까?

  . 기독교 영성 연구자들이 기독교 경험과 실천에 맞는 측정도구의 개발에 기여 *

 

* 과연 측정 할 수 있을까? 현상이 기독교 인지 아닌지 검증 할수 있을까... 이러한 이유로 뇌신경과 상담과 협연하지 못하고 기독교에서 연구가 뒷쳐지고 있을수 있겠다는 생각이 듦. / 백상훈. "불완전의 영성을 향한 제언." 신학과 실천 46 (2015): 361-384. 그레고리의 완덕 :하나님의 무한성과 무제한성 ∴완덕의 불가능성, 하나님을 향한 욕망에 사로잡혀 살아가는 과정 자체 / 쉘드레이크의 ‘불완전의 영성’

 

8. 기독교 영성 연구에서 질적 연구 방법

. 질적(qualitative) 연구 방법이 다용되어지고, 기독교 영성의 새로운 길 제공

  - 양적 연구로 결과 되는 연구의 출발점

  - 제안 사항이 많고, 연구 대상자의 경험을 다양하게 탐구 *

  - 연구자의 통찰과 이해를 끌어냄 (통계적으로 신뢰할 수는 없으나 인간 경험에 대한 새로운 통찰)

  ∴ 기독교 영성 학자들을 위한 적절한 연구 방법

 

* 윌리엄 제임스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 

 

9. 결론

1) 심리학에서 치료는

  - 자신을 알게, 심리적 상처 고치고, 자유를 증진시킴으로 자아를 더 잘 통합하고 작용하게 한다.

  - 인간적 방법으로 제한된다.

 

. 묵상과 기도가 건강에 미치는 결과를 보여주는 심리학적 연구들은 기독교 영성 학자들에게 도움

 

2) 기독교의 기도와 묵상의 주요목적은 하나님과 개인의 관계의 문제

  . 반복된 기도와 묵상으로 개인 삶과 의식에 변형 발생 → 하나님과 인간의 상호작용의 결과

  . 심리학처럼 인간의 기술로 예상된 것으로 제한 될 수 없다.

 

- 영적 투쟁과 변화중의 기도는 스트레스 감소가 아니고 발생 요인일수 있음

- 치유가 죽음을 막을 수 없으나 삶의 의미나 가치 추구를 위한 연구는 평생의 과제

- 요지

  . 심리학적 도구(언어, 개념, 치료방법)들은 중요 하지만 기독교 영성 연구의 도구일 뿐 기독교 영성 연구의 단독 연구 방법일수 없다.

  . 구체적 연구 분야에서 문제의 어떤 현상들을 적절하게 이해하는데 어떤 심리학적 연구와 관점들이 가장 큰 가능성을 제공하는지 발견하기 위해 새로운 학파들과 관점들을 취사 선택 함이 필요

 

기독교 영성 연구_18장 심리학 (1/2)

 

자넷K.러핑(Janet K. Ruffing) 박사

포덤대학교 영성신학 교수

 

더보기

목차

1. 영성 정의에 관한 문제

2. 정신 분석 이론들

3. 하나님에 대한 표상들

4. 인지 이론가들

5. 분석적이고 초인격적인 심리학

6. 초월성

7. 영성을 측정하는 임상적 도구의 발달

8. 기독교 영성 연구에서 질적 연구 방법

9. 결론

 

아서 홀더. 기독교 영성 연구. 권택조 외 역. CLC.

 

 

  기독교 영성에 있어서 연구는 의미와 실천부분이 연구된다. 그러므로 기독교 영성에서 학제간 연구는 기독교 영성사, 성경, 기독교 전통의 역사와 신학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영성학자가 문제를 풀기위해 여러 추가적 학문을 도입 할 수 있다. 영성과 심리학은 모두 인간의 내면에 초점을 둔다. 두 분야의 이러한 유사성으로 인해 두 학문 사이는 점차 협조와 존중으로 변하고 있다. 심리학에서 내담자의 영성이 치료에 미치는 여러 결과로 인해 심리학에서 영성은 현대에 주요한 연구 주제가 되었다.

  심리학에서의 영성과 관련된 많은 임상 데이터로 인해 심리학 분야에서는 개인의 영성, 묵상의 실천, 사회 활동과는 괴리된 영성과 종교 체험에 대한 개인화된 해석을 인정한다. 하지만 기독교 영성을 연구를 하는 학자들은 ‘기독교 영성 연구에서 심리학의 사용’에 있어서 심리학자들이 신학과 신비의 부분에 정통하지 못 하므로 비평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약 15년간의 심리학 분야의 많은 연구는 두 학문 간의 대화의 여러 시작점을 제시한다.

심리학의 영향은 영성의 어떤 부분을 측정하는 정신력 측정 도구 뿐 아니라 건강과 관련된 연구에서도 영적 실천과 행복사이의 관계에 관한 자원을 제공한다. 그 외에도 관련된 많은 주제(의식연구, 전이이론 등)들이 있다.

 

1. 영성 정의에 관한 문제

  심리학에서는 기독교의 관점과는 맞지 않는 극적인 방식으로 영성을 이해하기도 한다.

. 기독교에서의 정의 : (신학적 관점) 하나님의 실재, 자기 초월의 영의실재, 초월자와의 관계 경험, 의미, 신자 공동체, 개인의 경험 뿐 아니라 하나님의 기준으로 이웃 사랑에 헌신하는 것 포함

→ “세계영성”에서 에워트 커슨즈는 사람의 내적 차원을 영이라 부르고 영적핵심은 사람의 가장 깊은 중심이라고 말했다. 자넷은 추가로 ‘영성은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이며, 예수 안에서 하나님에 대한 경험의 결과로서 우리의 삶을 사는 방식이라고 정의했다. ‘거룩함’에 대한 우리의 반응과 모든 관계와의 경험의 결과를 어떻게 표현하는 것(삶의 방식)을 말한다고 했다. 이것은 역동적인 사랑의 관계로서, ‘세계 거주민’을 돌보는 분(궁극적 사랑의 원천)과의 사랑을 교환하는 것도 포함된다.

. 심리학에서의 정의 : 영성을 기능적으로 정의 (신념을 구성하는 요소, 가치로 영성의 의미를 만들고, 영적 경험을 영성의 구성 요소로 정의)

 

2. 정신 분석 이론들

  프로이트가 종교와 영성을 ‘환상’이라고 하면서, 정신분석 이론은 종교와 적대 관계로 시작 되었지만, 프로이트가 발견한 대부분의 것들은 인간 이해의 일부분이 되었다. 정신병리학에 있어서 개인의 정신적인 부분에 잘못된 것을 발견하는데 도움이 되었고, 정상적인 성장에 관해 설명하는 정신 이론으로 확장되었다. 예를 들어 말러는, 의존 대상을 아버지로 하는 프로이트의 이론을 어머니로 수정하며 의존이 퇴행은 아니라고 수정하셨다.

  에릭슨은 인간의 생애로 확장되는 발달 단계를 제시하며, 신앙이 병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 연구하는 학문(병리학)이 아님을 제안하였고, 그의 발달 단계는 기독교 영성 연구에서도 적용되고 있다.

  대상관계이론과 자기 심리학은 또한 기독교 영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기독교 신앙과 신비적 경험에서 자기/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도움이 된다. 기도는 두 개 주체가 서로 영향을 미치는 의식 상태에 들어가는 것으로 이해 될 수 있다. 기도를 통해 하나님을 만나, 긍정적 성장과 자기 발전이 일어나고 대상과 하나님에 대한 이해를 돕게 된다. 심리 발달에 대한 관계이론은 “관계 맺으시는 하나님”인 기독교 영성에 부합한다.

  스티븐 미첼은 인간이 자기 조절(내적 심리)과 동시에 환경을 조절(인간 관계)하는데 그 과정은 서로를 강화시키기도 하고 상충되기도 하면서 상호 침투하는 영역이라고 소개한다.

  하인즈 코후트(코헛, Heinz Kojut)의 자기 심리학은 자기대상(예: 부모)과의 경험을 통한 건강한 자기의 발달과 주관적 경험에 대한 공감으로 통합적 자기를 발전시켜 나가는 이론으로 코후트의 ‘자기애’는 병적이라기 보다 발전적인 개념이다.

  위니컷(D. W. Winnicott)은 엄마가 아이의 필요를 잘 채워주는 환경을 제공함으로 아이가 ‘주관적 전능감’을 느끼지만 아이는 점차 엄마를 하나의 존재로 인식하므로 엄마가 없어도 엄마와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는 ‘과도기적 현상’을 경험한다. 이 과정에서 ‘대상과의 사이의 공간’을 인지하고 타인과 구분되고 자신을 홀로 있을 수 있게 하는 수용력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윌리암 마이스너(William W. Meissner)와 마이클 에이건(Michael Eigen)은 ‘과도기적 현상/공간/대상’에서 종교 혹은 신비적 해석의 가능성을 적용하여 마이스너는 신앙, 상징, 기도에 적용했다. 에이건은 신비에 대한 이해에 적용했고, ‘진정한 자기와의 소통 단절’들 자아에 대한 재 감각 작업과 관련하여 제시했다. 악타르와 파렌스는 종교 체험과 ‘과도기적 현상/공간/대상’이 일체감과 모호함이 일어나는 곳으로 종교적 신념과 느낌과 관련되어 질수 있다고 말한다.

 

3. 하나님에 대한 표상들

. 아나 마리아 리주토(Ana-Maria Rizzuto) : 하나님에 대한 표상, 이미지에 관한 정신 분석학 연구

. 내담자의 주관적 하나님 경험을 탐구 : 삶의 내력, 대상관계, 자애적 균형, 자기 방어적 구조, 치료적으로 작용될수 있는 무의식/의식적 하나님에 대한 표상 형성 방식에 집중함 – 시간에 따라 변화방식 묘사 (치료사들에 의한 변수 발생 하지 않음)

. 하나님에 대한 내적 표상이 시간에 따라 발달, 변화하는 방식의 묘사

∴ 하나님과의 관계가 내담자에게 도움 일 수도 해일수도 있다. (관계적 역동성에 달려있음)

. 하나님 표상

  - 부모 이미지 포함 (때로는 심각하게 병리학적)

  -  의미있는 타자 혹은 상상속 대상 들의 모음

  -  내적으로 표상화된 하나님은 타자와의 만남의 결과로 수정

  -  기독교 전통이나, 가르침, 사건들이 개인이 가지고 있는 하나님의 이미지를 초월하는 경우, 하나님을 재형성하는 것이 일생의 과정에 일어남

  [긍정적인 면]

   - 사랑 많고 응답하시는 하나님은 친밀함을 원하는 인간의 갈망에 안정감을 주므로 ‘항상 거기 계시는’ 하나님은 존재 자체로 아이에게 평안을 주는 위니컷의 ‘충분히 좋은 엄마’이미지와 유사

   -  부모가 하나님을 믿을 경우 아이에게는 부모 보다 더 능력있으신 하나님으로 인해 더 위안과 희망을 갖게 됨

  [부정적인 면]

   -  기도하면서 생성되는 하나님의 표상도 있지만, 무의식의 역동으로 나타나기도 함

   -  하나님의 표상들은 전이과정의 일부나 저항 혹은 방어로 사용되기도 함

  [치료사의 역할]

   -  치료사가 내담자의 방식들을 온전히 따라가다 보면 내담자는 오래 부담되던 짐들로 부터 자유케 되는 새로운 유형의 믿음을 획득 할 수 있게 됨.

   -  내담자 과거 삶의 내력과 현재에 근거해서 하나님과 종교를 찾도록 돕기

   -  하나님의 표상이 발전되고 변형된 것을 연구하지 않은 치료사에게는 어려운 분석작업

 

. 하나님을 보는 시각에 관한 임상적 연구 (조셉 키아로치 Joseph Ciarrocchi) : 내적 관계의 다양한 요소 발견을 위해 깊은 탐구를 필요로 한다는 자료가 많아지고 있음 (신학자들도 비평적으로 다룰 것이 필요)

 

4. 인지 이론가들

. 심리학에서 정의하는 영성은 ‘인생의 의미와 목적에 대한 감각’

. 발달심리학 : 피아제(Piager) 인지 발달(Cognitive development)등 다양한 발달 단계 이론

. 발달단계 : 단계들은 순차적이며, 이전 단계를 성취해야 함

  - 변화를 경험하게 하는 환경과 보측자(변화 증진시키는 도전의 종류)에 의해 촉진됨

. 이론가들과 이론

  -   로렌스 콜버스 : 도덕적 추론으로 도덕 발달 단계연구

  -   캐롤 길리건 : 여성들에게 관계적 돌봄의 윤리가 전형적

  -   제임스 파울러 : 보편적 단계이론을 신앙 발달에 적용

  -   로버트 키건 : 이미 알고 있는 자기를 잃고 새로운 자기를 재구성하는 정서적 과정에서 인지발달 이론 개발

  -   엘리자베스 리벳 : 키건의 인지발달과정 + 여성을 바탕으로 자아 발달에 관한 내용

  -   프레드릭 허드슨 : 성인기 자기재생(self-renewing)에 추가된, 통합된 성인발달 이론 제안

      . 생애의 사명 : 생애의 새로운 시기, 자기에 대한 다른 변화를 일으키게 하는 안정적 지점

      . 영적 발전, 영적 지도, 목회상담에 적용 가능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