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내용은 <백투더 클래식> 14장를 읽는 동안 일어났던 상황에 대한 나눔입니다.
책의 요약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저의 작은 경험이 여러분의 일상을 해석하는데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
갈망 살펴보기
르네 지라르의 이론은 타인의 욕망이나 소유를 모방해서 자신도 욕망하는 모방 욕망이 문화를 형성하고 사회적으로 주류가 되는 것이 희생양을 만들어 갈등을 해소 하는 구조에 대해서 말한다.
히브리어 어원의 ‘인간’에서 인간이 욕망의 존재이고 그 욕망을 억제 하는 것이 아니라 바른 방향으로 욕망을 사용(?) 하도록 하는 헨리 나우웬과 본 회퍼의 이야기로 모방 욕망 보다 자신의 욕망을 바로 보도록, ‘예수님의 고난에 동참’하기를 욕망하도록 권고한다.
아.. 고난에 동참하는 욕망.
그런 의도에서 시작된 교회 사임의 과정이었는데, 결국 시점 등이 문제가 되어 예수님의 뜻이 이뤄지는 것은 잘 모르겠고, 여러 가지 상채기 들과 오해들을 남기게 되었다.
강의에서는 이론에 집중하게 되었는데, 책을 읽으면서 ‘나의 갈망은 무얼까’에 집중하게 된다. 나의 게으름 때문인가, 젊을 때 너무 뛰어다녀서인가...내 갈망의 초점이 ‘하나님과 머물기’로 모아진다.
주변에서는 나에게 사역해야 한다고 한다.(여기서 '사역'이란 교회에서 전도사로 교육부서에서 일하는 것으로 제한된 의미이다.) 과연 내가 해야 한다는 사역이 하나님 나라를 위한 사역인가 ‘나의 입신과 세속적 영달을’ 추구하는 걸까. 나는 오로지 하나님께 집중해서,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기도들로 나의 시간을 채우는 것만으로도 만족하는데...
며칠 전 지인의 지인이 자살했다는 소식, 여전히 전쟁으로 괴로운 시간을 보내는 우크라이나 국민들... 아버지의 마음이 있는 곳에 내 마음이 있어 아버지와 함께 동역하고 싶은데, 한국 교회의 틀에 나를 ‘맞춰’ 넣으라는 말들에 대해 거부하는 것이 혹시 내 욕망이 내 게으름에서 발로한 건가 싶어 자꾸 들여다 보게 된다.
갈망, 기질... 방법.. 인간론을 공부하면서 그리고 나의 사건들을 통해서 인간의 복잡 미묘한, 다양한 부분을 프레임화 할수 없다는 생각을 한다. 그런데 우리의 교육체계나 교회에서 조차 각자의 부르심을 개발하기 보다 프레임 안에 넣으려고 한다. 프레임에서 벗어나면 불편하고 불안하니깐... 각자 부르심을 향한 개인의 갈망을 교회 공동체라는 프레임 안에서 조절하려는 건 아닐까....생각해 보게 되었다.
B. 헨리 나우웬(Henry Nouwen 1932-1996) : 신부, 작가, 미국 하버드대학교 강사, 미국 예일대학교 교수(목회신학, 영성), 전 세계를 대상 교구로, 마지막에 캐나다 토론토 소재 라르쉬(L’arche) 공동체인 데이브레이크(Daybreak)에서 정신지체 장애인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기독교 영성 작가로서의 삶을 살았음. [저서] 상처입은 치유자, 예수님의 이름으로, 영적 발돋움, 영성 수업, 마음의 길, 분별력 등 다수..
. 통합된 인격과 영성을 함께 추구하는 일은 일시적 깨달음, 고속 성장, 자기 실현, 자기 강화, 통합을 향한 욕망(현대의 문화적 특징들)으로 이루어 질수 없다. 나우웬은 항상 번민했고(분별력), 외로워했고, 자신의 목회에 만족하지 못했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 가까이 가기 위해서 “묵상, 저술, 그리고 공동체의 삶 가운데 애를 썼으며,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점증하는 신뢰를 가지고 불완전의 삶을 살아갔음“
∴ 영성 : 완덕의 성취가 아니라 불완전에 대한 인식과 수용
. 어두운 측면, 분열된 마음, 욕망과 같은 인간의 물질 혹은 현실과 직면하게 도움
. 전통적 금욕주의와 달리 욕망(desires)과 정념(passions)의 인식, 수용으로 하나님을 알아감
2. 욕망의 영성 (spirituality of desire) *욕망 : 쉘드레이크의 불완전의 영성에서 중심적인 위치
. 욕망 :
. 인간 인격의 심층에서 일어나는 자신에 대한 가장 정직한 경험
. 자신의 욕망에 관심을 두는 것은자신에 대한 존재적 자각의 시작
. 하나님은 인간의 영혼(존재)의 심층에 거하므로 욕망에 대한 관심과 인식은 하나님 경험
. 욕망이 진실해질수록 우리의 정체성과 우리 존재의 중심에 있는 하나님의 실재와 접촉
. 진실한 욕망 : 하나님을 향한 갈망이 자유롭게 운동하는 곳(깊은 내적 우물)
. 가장 깊은 욕망은 자기-중심성(self-centeredness)을 넘어 자기-희생(self-giving)으로 인도
ex) 기독교 영성을 전공으로 선택한 우리, 문지영 피아니스트
. “본질적 자기” : 욕망이 진실할수록 하나님의 실재와 만날 가능성이 커짐
. 진실한 욕망과 접촉 : ‘내적 우물’ 여정에서 필수, 하나님을 향한 갈망(‘아가페 사랑’)의 표현
. 하나님의 신비 경험 안에서 ‘에로스 사랑’과 ‘아가페 사랑’은 일치
(기독교 전통에서는 분리하므로 하나님에 대한 신비적 경험을 방해함.)
. 폴 틸리히의 「사랑, 권력, 그리고 정의」 (Love, Power, and Justice)
. “하나님 사랑의 에로스적 특성을 받아들이지 않을 때 하나님을 향한 사랑은 불가능한 개념이 되고 마침내 그것은 하나님에 대한 단순한 순종으로 대체될 수 있다. 참된 사랑, 참된 성애(eroticism)는 언제나 ‘하나님 안에서의’ 경험이다. 하나님은 본래적인 의미에서의 성애적 힘이요(God is erotic power) 인간 사이의 성애적 힘이다.”
. 인간적인 욕심이 섞이면서 사랑에 문제가 있기는 하지만, 성애적 힘에의 끌림(친밀함으로의 초대, 자기 개방(?))은 인간적 사랑의 모험 안에서 보편적인 하나님 사랑(아가페 사랑)을 발견
예) 성(성적 결합)은 성만찬의 특성(예전) : 사랑의 관계에 있는 사람들을 치유하고 회복시켜서 영적인 중심으로 안내 (ex) 바베트의 만찬 : 맛있는 음식, 풀어지는 마음
. 쉘드레이크의 하나님 이미지 : 한정될 수 없는 하나님의 실재
. 인간의 심층(depth, 무의식 까지 포함, 원초적인 욕동을 포함하는 상징적 장소)
- 하나님의 실재와 접촉할 수 있는 곳 : ‘내면의 우물’(심층), ‘마음’(the heart, 기독교 영성 전통)
but 하나님의 실재는 이성 or 사랑 감수성으로도 알 수 없고 오직 하나님을 향한 사랑 만 남는다.
∴ 부정의 하나님 인식이 하나님을 향한 중단 없는 사랑의 욕망과 역동적 영적 여정 조성
- 욕망의 정의 : 자신이 아닌 혹은 가지지 않은 것 ∴ 불완전함이라는 조건이 내재되어 있음
∴ 욕망의 영성 = 불완전에 대한 감각, 무한을 향한 개방 (영구적 한계선 상태 )
3. 신비적 방랑자의 삶
. 한계선상에서 살아가는 영성은 불안한 상태에서도 과감하게 헌신 가능
.“모세식 사유 학파”(Moses school of thinking) 영성 (cf) “다윗왕 학파”
: 안정(정착)에 대한 영적인 유혹을 민감하게 인식하므로 불안정한 상태에서 하나님을 신뢰
. 신비가 : “알 수 없고 소유될 수 없으며 고정되거나 최종적이지 않은 것에 의해 이끌려서... 욕망의 삶을 사는 사람” (「신비주의 우화」(The Mystic Fable), 드 세르토/실레시우스의 ‘방랑자’)
. 신비적 방랑자
. “일상에서 지속적으로 타자와 만남에서 자기초월을 경험하면서 계속해서 어딘가를 향하여 걸어가지만 한 곳에 정주하지는 않는 사람” (p377) (ex) “텅 빈 무덤“으로 상징
. 경계선 혹은 한계 위에서 살아감
. 성령(신비가를 끊임없이 욕망에 끌려가게 하는 힘, 존재의 힘과 의미 통합)에 사로잡힌 사람
. “성령의 힘에 사로잡혀 자기를 초월하여 경계 지어진 영역 너머의 세계를 살아가는 자”(p377)
C. 불완전의 영성은 완덕에 이르는 일이 불가능하다는 인식론적 전제 아래 자기의 불완전을 인정하고, 인간적 욕망을 점증적으로 인식하면서, 신비적 방랑자의 삶을 살아가는 과정이다.(불안정의 안전성 : 피조물인 인간으로 불안정(죽음, 두려움)을 막기/피하기 위해 몸부림 치는 것이 아닌 불안정한 상태를 인정하고 받아들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