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립 쉘드레이크. <미래로 열린 영성의 역사>의 책 7장 내용의 정리입니다.

함께 공부하고 고민하면서...

         혹시 책 내용중에서, 제가 오해하거나 오독한 경우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7장 모더니티에서 포스트모더니티로 (2/2)

더보기

1. 영성에 대한 영향

2. 예언적-비판적 유형

: 샤를 드 푸코, 에블린 언더힐, 디트리히 본회퍼, 시몬 베유, 도러시 데이, 토마스 머튼

3. 해방 영성 : 구스타보 구티에레스

4. 페미니스트 영성

5. 화해의 영성

6. 에큐메니컬 영성 : 떼제

7. 영성과 종교간 대화 : 비드 그리피스

8. 동방 정교회 영성

9. 영성의 민주화 : 피정 운동, 오순절 운동과 은사 운동

10. 결론

필립 쉘드레이크. <미래로 열린 영성의 역사>. 정병준 역. 한국장로교출판사.

 

4. 페미니스트 영성 (1880년대 시작)

. 유럽과 북아메리카에 광범위하게 영향 끼친 해방주의 영성의 다른 형태

(1) 서유럽, 북아메리카의 투표, 재산, 대학 학위 획득위한 여성운동

(2) 유럽의 정치적 혼란 및 미국 민권운동에서 여성의 두드러진 역할

(3) 1970~80년대 학문 분야로 등장 → 기독교 신학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 → 영성에 영향

. 대표 신학자 : (북아메리카) 샌드라 슈나이더스(영성에 민감한 성서연구), 조안 왈스키 콘, 로즈메리 류터, 엘리자베스 존슨(삼위 일체 신학에 대한 정교한 재해석), 캐서린 다크먼(『영신수련』의 여성들의 연구), 앤 카, 도로테 죌레, (독일) 엘리자베트 몰트만 웬델, (영국) 메리 그레이, 그레이스 잔첸(고전의 재해석, 기독교 신비주의 연구)

. 페미니스트 영성 근본 주장

   (1) 영적 실행에 대한 접근법이 성차에 의해 영향 받는다.

      . 성차 : 생물학적 성, 주어진 문화, 역사, 시대 안에서 구성되는 방법

   (2) 인간성과 가치가 훼손되는 근본적인 방식의 확인 : 전통적 영성의 중요한 요소들에 의해 제한됨

   (3)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 이해, 제자직의 실행에 대한 대안적 방법 재구성

      . 재구성의 방법

         A. 경험의 타당성을 우선으로 신학의 기초를 확증 : 하나님을 경험 할 때 하나님 깨닫기 시작 → 여성의 경험과 방법의 구체적인 특징이 영적 지혜의 핵심 원천

         B. 성경과 전통의 빛으로 경험을 성찰

 

4.1 여성주의 영성 : 아프리카계 미국인

4.2 무제리스타 영성 : 라틴, 히스패닉 여성

   . 이사시-디아스 : 윤리학으로 신학 전공하여 대학교수(쿠바 난민), 가톨릭에서 여성 서품위한 운동에 관여, 진정한 영성은 구체적 관계와 정의 위한 투쟁에 몰두하는 능력에 의해서 측정

 

5. 화해의 영성 : 기독교 신앙의 중심, 영성의 중심

. 전쟁, 후기 식민주의, 인종 갈등, 사회 정의와 해방 등으로 화해가 중요주제

. 존 드 구루취(남아프리카 신학자) : 화해 교리가 ‘기독교 신앙의 모든 교리의 영감이며 초점’

. 화해의 수평적 차원 : 타자를 위한 공간을 만들고 ‘타자’안에서 자신을 발견하는 것 (갈등의 극복 시도)

. 샬롬 : 영적, 물질적 조화와 웰빙의 상태 ∴ 부정의와 불화에 반대하는 비폭력 저항 위한 기독교 사역

(1) 마틴 루터 킹, 하워드 서먼(신비주의자, 급진적 사회적 행동의 영성을 발전시킴 : 기도와 고난이 기반)

(2) 피에르 테야르 드 샤르댕 (예수회 지질학자, 고생물학자) : 과학과 종교의 조화 노력

. 종교적 영역에서의 화해 이슈

(1) 20c 초 기독교 에큐메니즘

(2) 20c 세계화 과정에 태어난 종교간 대화 VS 폐쇄적인 기독교 영성의 영향력 증가

 

6. 에큐메니컬 영성 : 떼제

. 기독교 에큐메니즘 : 기독교 세계화와 교회의 정체성과 영성의 중심에 공동 선교가 있음의 이해

(1) 1910년 에든버러 선교 대회

(2) 세계교회 협의회 설립 (1948) vs 유엔 설립

(3) 가톨릭교회는 2차 바티칸공의회 이후 1960년대에 에큐메니컬 운동에 참여

. 로제 슈츠(개혁 교회 목사)의 떼제 공동체 (1940) : 기독교 에큐메니즘과 인간 화해의 영적 토대 가운데 상징적

   . 배경 : 프랑스와 독일 사이 유대인 난민 도우려는 소명으로 수도원 모델로 매일 기도하는 일과 시작

   . 1944년 화해의 선교에 헌신 : 범유럽 평화 → 종교, 사회, 세계적 전망

   . 초기에는 개신교에서 가톨릭 회원 들어온 이후로 광범위 기독교 출신의 100여명의 회원

   . 특징 『떼제 규칙』 (1953) : 관상과 사회적 참여의 연결 실습

      (1) 공동생활 안에서 화해의 가능성, 고통 증거 (각자 종교의 순전성 유지)

      (2) ‘잠정성’ : 신앙적 민감성으로 굳어진 태도와 고정 방식에 대해 이끄시는 하나님 방법에 자신을 개방하는 것, 하나의 큰 재단 대신 세계에 필요한 곳에 잠정적으로 작은 규모 공동체 이식

      (3) 적극적 참여와 관상적 삶으로 가난한 사람에게 헌신, 사회 정의와 화해 위한 투쟁

      (4) 청년들을 위한 순례와 영적 탐험의 장소 (EX) 반복 찬미, 영적 안내 등으로 화해 분위기 조성

 

 

7. 영성과 종교간 대화 : 비드 그리피스

. 종교간 대화 : 기독교&불교, 기독교&힌두교 → 토마스 머튼 : 수도원 생활은 종교간 만남과 영적 실천의 경험을 나누는 유익한 상황

   . 베네딕트회 데샤네 : 요가에 친숙, 명상중 신체의사용 회복에 기여

   . 베네딕트회 존 메인 : 힌두교의 만트라 암송과 고대 기독교 수도원 실행 하시 관계발견 (존 카시안)

   . 예수회 회원들이 일본 선의 권위자가 되어 선불교와의 대화에 참여

. 인도에서의 모델들

(1) (영국)베네딕트회 비드 그리피스 : 인도 영성 발전을 위한 대표적 기독교 집단

. 관상 공동체의 비전 → 서양의 합리주의에 맞서 직관적, 관상적 삶의 회복에 중점

. 이전 예수회 회원들이 설립한 아쉬람(암자, 샨티바남이라는 장소)에서 생을 마감

. 기독교와 힌두교 관계에 특별한 접근 방식 사용 : 양쪽 다 이해

   . 아드바이딕 : 보편적 조화와 통일성 강조하는 교리

   . 신성 안에 있는 궁극적 단일성에 대한 믿음과 삼위일체 교리 (불가해한 통일성이 구별 속에 균형)

   → 힌두교는 개인이 절대 정체성과 완전 하나가 된다고 보지만 기독교는 절대자의 깊음 안에서 자신을 잃어가는 관상적 과정에서 참된 자아를 발견하는 것

(2) 샨티바남 : 힌두교 아쉬람에 영감 받아 생활양식과 예배를 인도식 모델에 적용한 기독교 공동체

   . 환경과 예배는 모두 인도식

   . 기독교, 힌두교 방문자들에게 모두 인기

 

8. 동방 정교회 영성

: 아토스산의 수도원 개혁과 러시아 영성의 중요인물들로 혁명 전후

. 아토스 산 : 그리스 마케도니아 산악 반도, 남성 수도원 정착지

   . 헤지카즘(정교회 관상 전통)이 발전 → 1917년 러시아 혁명 결과로 수도원 감소 → 쇠퇴 → 세계대전 후 서방내에서 정교회 영성에 대한 관심 증가, 1960년대 그리스어 『필로칼리아』 → 아토스로 초심자들의 유입

. 러시아 영성 : 정치, 사회적 영향

1) 성 요한 (1829-1909) : 혁명 이전 정교회 평신도에게 중요한 영향

   (1) 매일의 성체성사는 삶의 중심이므로 평신도가 성찬에 참여하도록 함

   (2) 자선이 참된 기독교 경건의 본질 : 소외 계층위한 사역으로 표현

   (3) 개인기도의 실천을 세밀하게 기획하여 해박한 영적 일기를 남김

2) 블라디미르 로스키 (1903-1958) : 평신도 신학자,

   . 러시아신학연구소(파리) 설립, 『동방교회의 신비신학』

   . 신화(神化)를 기독교의 핵심으로 보고, 하나님의 생명 안으로 이끌려 들어가는 과정으로 이해

   . 신비주의와 신학은 떨어질 수 없고, 기도와 전례는 신학의 토대, 신학은 신앙생활 발전에 관한 것

3) 마더 마리아 스코츠소바 (1891-1945) : 러시아 귀족 출신, 문학가, 수녀, 2차 세계 대전 순교

   . 러시아에서 파리로 망명, 이혼 후 수도원 서원

   . 지적, 종교적 토론의 중심지, 가난하고 궁핍한 사람들을 위한 곳

   . 1940년 독일의 프랑스 점령 이후 레지스탕스가 되어 유대인 도피 돕다가 1945년에 가스처형

. 20c후반 이후로 정교회의 세계화 : 유럽의 종교, 영적 주류의 일부가 될 듯

→ 전례와 신비신학의 중요성을 알려줌

 

9. 영성의 민주화

: 피정, 오순절 운동과 은사 운동

. 영성의 민주화 : 성직자나 수사들 같은 종교 권력과 영적 엘리트만의 영성이 아님

 

9.1 피정 운동

. 기원 : 예수님이 휴식과 기도 위해 제자들 데리고 한적한 곳으로 가신 신약의 기록

. 『영신수련』 이후 제도화된 피정 개념, 17C 피정의 집, 19C 중반부터 성공회에서 피정 시작, 20C 미국의 평신도들에 의해 시작 → 사제들이 설교하는 다수를 위한 단체 피정

. 영적 안내 : 타인의 안내, 멘토, 동반자 역할을 하는 광범위한 영적 안내

   . 기원 : 초기 수도원 때부터 기원 → 중세 고해신부의 역할로 제도화 → 16C 트렌트에서 제도화

   . 비제도적 형태의 영적 안내 : 바론 폰 휘겔(가톨릭)과 에블린 언더힐(성공회) 같은 평신도

. 갱신 : 2차 바티칸공의회에서 피정과 영적 안내의 민주화 (진정한 영적 안내는 하나님의 은사)

 

9.2 오순절 운동과 은사 운동

. 기원 : 사도행전 성령 감동에서 셰이커 까지 발전

. 오순절 교회 : 1906년 LA 아주사 거리 윌리엄 시모어의 복음주의 부흥 운동으로부터 시작

  . 핵심요소 : 성령세례(방언), 예언의 은사 및 해석

   . 개인과 공동체 안에서 성령님이 적극적으로 활동하심

   . 과도하게 형식적, 건조하고 지성적 신앙에 대한 반작용으로 성령 충만의 경험이 정서적 형식에서 벗어나는 해방감을 주었다.

. 가톨릭에서의 은사 운동 : 대중적, 평신도적, 공동체적 영적 운동 (영적 민주주의)

 

10. 결론

. 20C 특징

1) 다양, 절충적, 에큐메니컬하고 근본적으로 다원적

2) 교인 수는 감소하지만 영적 지혜와 실행이 크게 요구됨

3) 서양에서는 세속화와 종교의 소멸에 관한 이론 유행

4) ‘후기 세속주의’, 영성의 뉴 에이지 시대 준비하기

  필립 쉘드레이크. <미래로 열린 영성의 역사>의 책 7장 내용의 정리입니다.

함께 공부하고 고민하면서...

         혹시 책 내용중에서, 제가 오해하거나 오독한 경우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7장모더니티에서 포스트모더니티로

더보기

1. 영성에 대한 영향

2. 예언적-비판적 유형

: 샤를 드 푸코, 에블린 언더힐, 디트리히 본회퍼, 시몬 베유, 도러시 데이, 토마스 머튼

3. 해방 영성 : 구스타보 구티에레스

4. 페미니스트 영성

5. 화해의 영성

6. 에큐메니컬 영성 : 떼제

7. 영성과 종교간 대화 : 비드 그리피스

8. 동방 정교회 영성

9. 영성의 민주화 : 피정 운동, 오순절 운동과 은사 운동

10. 결론

필립 쉘드레이크. <미래로 열린 영성의 역사>. 정병준 역. 한국장로교출판사.

 

[서론]

. 20C는 다방면으로 변화의 시기로, 포스트모더니티 시대로 불림

. 모더니티 (인간 이성의 힘에 대한 자신감) → 정돈된 세계관, 인간 발전에 대한 믿음, 낙관주의 출현

. 배경 : 계몽주의 시대, 산업 혁명의 진보로 강화된 세계관

. 위기 : 진화론, 마르크스의 도전, 심리학의 탄생, 세계대전, 전체주의, 홀로코스트, 히로시마

. 변화 : 유럽의 종말, 소련의 상승과 하락, 식민주의 종식, 유엔 유럽 연합 등 국제 기구 설립, 국제 여행, 통신 혁명

. 포스트 모더니티 : 단순한 낙관주의가 통하지 않는 문화, 고정된 사고와 행동 체계 붕괴, 다원적 이해,

 

1. 영성에 대한 영향

. 20C 상황의 변화는 기독교에 심각한 영향을 끼침,

(1) 유럽에서의 제도적 종교 감소 ← 신뢰 상실의 결과

(2) 기독교와 타종교 사이를 구분 짓던 경계 붕괴 : 에큐메니컬 운동에서 종교간 대화로 확장

(3) 기독교는 진정한 세계적인 종교가 됨

. 20C의 다양성 안에서 기독교 영성의 분위기 드러내는 소수 인물과 운동 추려보기

 

2. 예언적-비판적 유형

* 주석 : 미래로 열린 영성의 역사에서는 연대기별로, 4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수덕적-수도원적, 신비적, 능동적-실천적, 예언적-비판적 유형이다.

 

. 20C 영성의 특징 : 영성에 대한

    (1) 신비적 접근 (영적이지만 종교적이지 않은(Spiritual but not religious) SBNR)

    (2) 예언적-정치적 접근에 대한 추구가 두드러짐

[토론] 포스트 모더니즘의 영적 특징들을 종합한 것, 사회적 상황에 대한 부름, 정적주의적 해석으로는 어떻게 해야 할까....

. 사회적으로 비판적 영성을 옹호하여 종교나 국가 권력과 갈등이 있거나 주변부에 밀려난다.

. 샤를 드 푸코, 에블린 언더힐, 디트리히 본회퍼, 시몬 베유, 도러시 데이, 토마스 머튼

 

2.1 샤를 드 푸코 (1858-1916, 프랑스-사막-알제리, 샤를 드 예수 수사)

. 1901년 이후 영성에 영향

. 귀족, 쾌락주의, 불명예 제대 후 모로코 탐험

. 영적 안내자 아베 위블랭에 의해 회심 후 (시토회) 영적 절박함으로 나사렛에서 은수사로, 클라라 수녀원의 정원사, 사제 서품 받은 후 사하라 사막 베니 수도원을 거쳐 알제리의 투아레그족과 함께 살며 그들의 언어를 배우고, 사전 만들고, 문화를 배우며 그들 위해 봉사하는 삶, 묵상기도에 근거하여 홀로 관상적 삶을 살다 프랑스 식민 세력에 대항한 베두인에 의해 비극적 살해

. 새로운 수도 공동체 설립에 열망 있었으나 사후에 새로운 영적 운동에 대한 영감이 되어 사후 발전

  → (예수의 작은 형제회, 자매회) 세계대전 후, 4-5명씩 개발 도상국이나 가난한 지역에서 이웃과 함께 그들을 위해 사는 ‘관상적 환대의 현존’의 삶(공동기도와 침묵으로 시작과 끝, 생계 유지)

 

2.2 에블린 언더힐 (1875-1941, 영국, 성공회-가톨릭)

. 영어권에서 가장 널리 읽히는 신비주의 저자, 신비주의에 ‘대중적’이해 촉진 및 전달이 목표

. 영국 피정 운동 개척자, 국교회 첫 여성 유력자, 세계대전 사이에 성공회 영성 유지

. 사회주의에 대한 교감, 영성의 사회적, 윤리적 차원 주장, 헌신적 평화주의자

. 국교회에서 태어나 성공회 교인이 되고, 가톨릭 평신도 지성인 바론 폰 휘겔(신비주의 작가, 모더니스트, 신학과 영성을 현대와 대화하게 하려고 노력함 p266) 에게 영성지도 받음

. 긴밀한 영적 관계 : 서머셋 워드(성공회 영성 지도자), 존 채프먼(대수도원장)

. 『신비주의』(1911~1930년판), 『영성 생활과 현실 생활』 (1922, 삼위일체기반 신비주의 접근+심리학),『교회의 신비주의자』(1925), 『예배』 (1936, 공동, 전례적 예배, 에큐메니컬적 민감성)

. 특징 :

    (1) 세계 종교의 신비주의에 관심 갖지만 제도적 종교에서의 해석과 분리하지 않음

    (2) 기독교 신비주의를 탐구

    (3) 신비주의의 목적은 실천적임을 밝힘

 

2.3 디트리히 본회퍼 (1906-1945, 독일, 루터교, 나치의 정치적 순교자, 예언적-비판적 영성의 대표 예)

. 20세기 영성과 신학의 연결 대표인물

    . 가톨릭 : 칼라너, 한스 우르스 폰 발타자르,

    . 개신교 : 위르겐 몰트만, 판넨베르크,

    . 성공회 : 로완 윌리암스

. 『값비싼 제자직』 : 독일 교회가 루터의 기본 신학과 영적 통찰을 훼손한다고 독일 교회에 비판적, ‘오직 은혜’의 의미를 제자의 희생적 의무로부터 분리(정치 참여 없는 독일 기독교에 대한 예언자적 비판) → 기도와 공동체의 훈련이 있는 삶 + 정치적 현실에 참여하는 것

. 영국 미르필드(성공회 수도 공동체) 영향으로 핑켄발데에 수도 공동체 설립, 비공식 신학교 설립

. 『성도의 공동생활』 훈련 : 루터교회가 상실한 중요한 영적 도구의 회복 열정, 정기적 성경읽기 묵상

. “종교성 없는 기독교”, “미친 운전사가 모는 차에 희생되는 많은 사람들을 돌보는 것만이 나의 과제가 아니다. 이 미친 운전사의 운전을 중단시키는 것도 나의 과제이다”, “하나님 없이(ohne), 하나님 앞에서(vor), 하나님과 더불어(mit)” 사는 삶

 

2.4 시몬 베유 (1909-1943, 프랑스 유대인, 기독교 경계선의 무세례자)

. 1938년 조지 허버트의 시 “사랑은 나에게 환대하라고 명령했다”에서 그리스도의 신비적 체험

. 1942년 도미 후 런던에서 프랑스의 자유를 위해 싸우다 영양실조로 사망

. 『뿌리내림』, 『신을 기다리며』(‘주의(attention) 영성’ : 주의력은 기도의 핵심, 고통 받는 이웃에게 도움이 될수 있는 능력의 핵심, 기도는 하나님께로 향하는 (주의력) 경향, 구원은 기다림)

.‘자아

    . 자기 내어줌으로 온전해 지고 자율적 주체가 되는 것을 포기하는 계몽주의에 대한 저항

    . 진실한 자아의 발견 : 삼위일체의 자기 포기 안에서 발견

    . 참된 자아의 창조 : 성령이 영혼 안에 떨어진 씨앗이 되면 그 영혼 안에서 그리스도가 태어나 희생의 영성 발생 ∴ 그리스도 십자가 참여는 타자를 위해 자기를 희생하도록 부름 받은 것

. 프랑스의 동료 유대인들과 동일하게 살다가 영양실조로 사망

. 기독교는 고통에 대처하는 초자연적 도구

 

2.5 도러시 데이 (1897-1980, 미국)

. 사회 정의의 영성을 촉진시키는데 가장 영향 끼친 인물

. 노동 운동가, 언론인, 임신 중에 가톨릭 개종하므로 대인관계 단절

. 급진적 정치는 소외를 드러내고, 기독교의 가르침이 그 해결책을 제시함 (사욕 없는 사랑과 포괄적 공동체)

. 피터 모린(프랑스 철학자)의 영적 조언, 독서 지도 → ⌜가톨릭 노동자⌟ 운동 시작 (1933)

. 그리스도는 도움이 필요한 모든 사람이 경험할 수 있도록 나타나야 하는 분으로 사회 정의가 핵심이 되는 것이 진정한 기독교 영성

. 환대의 집 : 자발적 가난 수용한 회원(평신도)들, 성찬과 공동 기도가 생활 규칙 중심, 공식 교회 승인 없음 ← 베네딕트 『수도규칙』, 프란체스코의 자발적 가난, 리지유의 테레사의 “작은 길”

 

2.6 토마스 머튼 (1915-1968, 프랑스, 로마 가톨릭, 루이스 신부)

. 2차 세계 대전 중 아내와 자녀 사망 → 가톨릭 개종, 시토회(테라피스트) 입회 → 겟세마네 수도원

. 영성과 신학의 재통합, 현대인 위한 관상, 수도 생활, 기독교 신비 전통 명료한 소개, 문학적 재능있는 저자, 에큐메니컬 우정, 기독교와 불교간 대화에 공헌, 사회 정의와 세계평화 문제에 대한 헌신

. 『칠층산』(1948), 『통회하는 한 방관자의 생각』(1966) 세계를 관찰하는 탐구자, 방랑자의 삶

. 자서전식 글쓰기, 거짓 자아로부터 진정한 자아로 가는 여정에 대한 몰두, 개인주의에 맞서 타자와 교제와 연대를 통해서 존재한다는 신념으로 삶의 양식 재해석 (1960년대초 두 번째 회심)

∴ 영적 삶은 인류의 미래에 대해 공동 책임을 지는 관상적 자각

    i) 철저한 독거의 삶으로 은수 생활

    ii) 예언자적 입장을 강화한 저작 : 민권운동지지, 냉전 비판, 베트남 전 반대 로비

    iii) 아시아 종교(불교)에 대한 관심

 

3. 해방 영성

. 사회 정의에 관심 갖는 영성 (20C에 발생)

. 로마 가톨릭에서 사회 교육 시작 : 1891년 레오 13세의 노동회칙, 1931년 비오 11세 회칙에서 강화 1960년대 초 요한 23세 ‘시대의 징조 읽기’, 1971년 가톨릭 주교회의에서 모든 사역, 선교 및 영성의 핵심에 정의가 있다는 것을 확립 → 교회의 선교 중심에 사회 분석이 중요함을 지적

. 해방 신학과 영성의 특징 (1960년대 후반 라틴 아메리카 ~ 1970년대 발전)

    . 불의한 구조에 대한 비판과 극복하려는 투쟁에 근거한 성찰과 실천

    . 이러한 실천이 기독교 신앙에 필수적이며 사회 정의를 촉진시킨다

    . 특정 범주의 사람들의 존엄성 손상시키는 구조에 의문을 제기한다.

    . 경제적 빈곤, 인종 문제, 성 불평등, 지구 환경 책임 문제

    . 핵심 : 성경(새로운 출애굽으로 인도하시는 하나님, 십자가와 부활에서 발견되는 죽음에 대한 승리)

 

3.1 구스타보 구티에레스 (1928- , 페루, 도미티칸, 노트르담 대학교(Notre Dame)교수, 해방신학)

. 라틴 아메리카 해방 영성의 지도적인 대표자, 『해방신학』 (1971),

. 가톨릭 대학교와 리마 교구에서 가난한 사람들과 함께 생활한 경험을 신학적 성찰

. 2차 바티칸공의회의 사상을 사회 정의 촉진이라는 차원으로 적용 라틴 아메리카 메데인 주교회의

. 『우리의 우물에서 생수를 마시련다』 : 영성, 신학, 사회적 실천의 연속성(가난 안에서 말씀하시는 하나님 경험)

(1) 엘리트주의와 과도한 내면성의 경향과 라틴 아메리카에 존재하게 될 새로운 영성 탐구

(2) 모든 기독교 영성의 기초(제자직) 설명

(3) 해방영성의 특징 :

   ① 회심과 연대

   ② 호의와 효과가 있는 사랑

   ③ 기쁨(순교와 고통의 승리)

    ④ 영적 어린아이(가난한 이들에 대한 헌신)

    ⑤ 공동체

. 『욥기 : 무고한 자의 고난과 하나님의 말씀』 : 관상과 대면의 밀접한 연결

   . 신학과 사회 참여 연서에 있어서 기도와 관상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

    . 욥의 친구들 : 자신들의 생각에 근거해 추상적 원칙

    . 욥

        . 하나님과 대면하여 답변 추구 → 영적 추론으로 하나님께서 무상의 사랑으로 행하심 인지

        . 하나님의 사랑에 자신을 내어 맡기는 자기 포기로 하나님의 넓고 깊은 은혜 안에 정의(正義) 둠

        ∴ 기도와 관상은 실천에서 분리되지 않는 실천의 내적 요소

  필립 쉘드레이크. <미래로 열린 영성의 역사>의 책 6장 내용의 정리입니다. 함께 공부하고 고민하면서...

         혹시 책 내용중에서, 제가 오해하거나 오독한 경우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6장 이성 시대의 영성 (1/2)

필립 쉘드레이크. <미래로 열린 영성의 역사>. 정병준 역. 한국장로교출판사.

 

1675-1751 장 피에르 드 코사드 『하나님의 섭리를 향한 자기 포기』

1675 『경건의 열망』 필리프 야콥 슈페너

1694 아우구스트 프랑케, 할례 대학 설립

1700-60 폰 진첸도르프 백작 (독일 에큐메니스트, 경건주의자)

1709-91 존 웨슬리 (감리교 창설)

1703-58 조나단 에드워즈

1707-88 찰스 웨슬리 (찬송가 작가, 1780)

1724-1804 이마누엘 칸트 (독일 철학자)

1725-1807 존 뉴턴 (윌리엄 월버포스 협력자, 영국 복음주의 부흥 운동 지도자)

1759-1833 윌리엄 윌버포스 (복음주의 운동, 노예 제도 폐지 운동 지도자)

1773 교황의 예수회 해산 (1773-1814) p249

1774 셰이커 창설자 마더 앤 리의 미국 도착

1774-1821 엘리자베스 시튼 : 미국 최초 성인, 사랑의 시튼 수녀회 창설

1776-1791 미국 독립전쟁

1782 『필로칼리아』 러시아어 번역 (파이시 벨리치코프스키) p246

1800-1882 에드워드 퓨지 (옥스퍼드 운동 지도자)

1801-1890 존 헨리 뉴먼 (옥스퍼드 운동 핵심인물 → 로마 가톨릭 개종(1845), 추기경)

1801-1885 안토니 쿠퍼 : 복음주의 사회 개혁자

1803-1882 랠프 윌도 에머슨 (미국 초월주의 지도자)

1811 한나 모어 『실천적 경건』 출간, 여성 복음주의 지도자

1814 예수회 재설립

1834-1892 찰스 스펄전 (영국, 침례교 설교자)

1847-1924 스튜어트 헤드럼 (기독교 사회주의자, 성공회-가톨릭 ‘빈민 사목 사제’)

1853-1932 찰스 고어 (부활 공동체의 창설자(미드필드 사제단, 1892))

1858 베르나데타 수비루, 루르드에서 동정녀 마리아 출현 목격

1861-1918 윌터 라우션부시 (사회복음 운동의 창설자, 미국 침례교, 영성 저자)

1873-1897 리지외의 테레사 (카르멜회 수녀, 영성 저자)

1884 『순례자의 길』, 러시아 익명의 영성 저작 첫 출판

1889 기독교사회연맹(CSU) 창립 (성공회 사회복음 운동 조직)

1891 『레룸 노바룸』, 가톨릭의 사회적 가르침이자 회칙 (교황 레오 13세)

 

1. 18세기의 특징

1) 영성

. 영성의 역사 빈약 (비독창적, 중요한 영성운동 거의 없음)

. 19-20세기를 준비/태동

 

2) 사회 문화적 : 근대성의 토대(계몽주의, 프랑스와 미국의 정치 혁명, 산업혁명)→탈종교지배

. 근대성(모더니티) : 이성과 신앙의 분리

. 유럽의 종교 열광주의로 피폐, 종교의 권위로부터 이탈 → 의심, 불신 → 합리주의, 객관주의

. 종교 : 도덕적 의무의 차원으로만 설명됨

. 이마누엘 칸트 (계몽주의 철학자) : 신앙의 반대가 아닌 신앙을 위한 공간 만들자고 주장

. 고전적 신 존재 증명 무효화

. 양심 : 종교적 비전이 있는 곳, 하나님의 실재 → 종교≓윤리

 

2. 로마 가톨릭 전통의 영성

1) 도덕적, 수덕적 영성 우세 → 겸손, 순종의 덕에 몰두하므로 방법론적, 규율적 기도 생활 장려

2) 새로운 수도회 공동체들이 설립(구속주회, 수난회)

3) 주요 영성 저자들은 거의 없고, 실질적 가르침보다 행동으로 표현됨

(1) (이탈리아 예수회) 조반니 바티스타 스카라멜리 : 『수덕 지침서』, 『신비 지침서』

. 수덕신학(다수에게 훈련으로 발전가능), 신비신학(특정 소수에게 적용) 명칭 만든 최초 인물

. 피정과 영성지도 담당, 저서들이 영성 지도자 위해 사용됨 → ‘기독교인의 완덕’ 용어 확립

. 신비신학을 상세하게 분석한 결과 : 영성신학을 다른 신학으로부터 고립되고, 도덕신학의 하위 범주로 종속시키게 됨

 

(2) (프랑스 예수회) 장 피에르드 코사드 → “현 순간의 성례전”

. 17세기 프랑스 영성 황금기의 마지막 인물로 묘사되기도 함(이냐시오, 프란시스 드살...)

. 주로 영성지도자로 활동

. 『하나님의 섭리를 향한 자기 포기(or 현 순간의 성례전)』(1867) 출판 후 대중적 영성고전

. 평범한 개인에게 계시된 하나님을 향한 자기 포기에 기초한 일상생활의 신비주의 가르침

. 기도 : 하나님을 향한 집중과 기다림에 관한 것 (정적주의의 수동성과 다름)

 

3. 경건주의 : 마음의 종교, 일상에서 하나님의 현존 강조, 체험적 신앙의 회복, 삶의 거룩함

1) 독일 개신교에서 발생 : 합리주의적, 제도화된 종교에 대한 반발 (17C후 ~ 18C까지 번창)

. 루터교와 관련 있으나 네덜란드 개혁교회, 모라비아 형제단, 존 웨슬리(감리교) 등에 영향

. 1675년에 개시 : 『경건의 열망』, “경건의 모임”(collegai pietatis→경건주의 명칭이 나옴) 작은 모임의 발전(집에 모여 기도, 성경 읽으며 상호 영적 안내)

. 특징 : 죄를 극복하고 영적 삶에서 성장 할 수 있는 인간의 능력에 대해 낙관적

. 목적 : 교회내의 영적 활력의 결핍과의 전투

 

2) 주도적 인물 : 필리프 야콥 슈페너 & 아우구스트 프랑케

(1) 필리프 야콥 슈페너 : 『경건의 열망』

(2) 아우구스트 프랑케 : 1694년 할례 대학 설립, 18~20세기 선교사 파송

 

3) 모라비아 형제단(15C 복음주의 개혁운동 보헤미아 형제단의 후손) : 루터교, 칼뱅주의와 동맹

. 친첸도르프 백작의 영향으로 헤른후트 공동체와 융합

. 존 웨슬리의 헤른후트 방문 : 찬송가, 정기적 애찬식 등의 특징에 영향을 받음

. 영성의 특징 : 평화주의, 규율, 단순성, 마음이 종교, 그리스도의 인성과 고난에 초점을 맞춘 헌신적 요소

 

4. 웨슬리주의 영성 (감리교 영성)

1) 시작 : 성공회 사제 존 웨슬리 & 찰스 웨슬리 형제 사역

. 성공회의 형식주의와 합리주의에 반대해 복음주의적이며 헌신적 반응으로 발생

. 독일 경건주의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음

 

2) 존 웨슬리 : 1730년대 초, 옥스퍼드 대학 재직중 강렬한 개인 영성을 기르기 위해 ‘홀리 클럽’ 이라는 청년 공동체 조직

. 홀리 클럽 : 기도와 연구에 대한 진지하고 규율적 제도로 ‘방법주의자’(Methodists)라는 별명이 이름이 됨

. 1738년 올더스게이트 모임에서 회심경험(신비적 조명)

. 독일 경건주의, 초대 교부, 청교도, 성공회 신비주의자 윌리엄 로, 유럽의 가톨릭 종교개혁자들(프란시스 드 살, 신비주의 대표자들), 예수회의 저술 등의 광범위한 부분의 영향을 받음

. 중점 → 말 타고 선교여행 (1760년 북아메리카에 도달)

   (1) 개인의 거룩에 주의 기울이기

   (2) 성공회가 영향 끼치지 못하는 사람들, 무지한 사람들(노동자 계급)향한 복음화의 열정

. 성경적 성결의 전제 조건 : 가난, 궁핍한 사람을 향한 사랑과 봉사, 기도와 실천의 영성(속회)

. 『대연회록』 웨슬리주의 영성을 위한 기본 체계 : ① 개인, 집단적 기도, ② 성경읽기와 묵상, ③ 잦은 성찬, ④ 금요일의 금식, ⑤ 영적 회심

. 메소디스트들도 교구 교회의 일반 예배에 참여했지만 웨슬리 사후, 성공회로부터 분리

 

3) 영성의 특징

. 찬송가 : 성경적 사상과 이미지를 개인적, 정서적 반응과 혼합 (존 웨슬리 7천곡 이상 작곡)

. 『감리교인을 위한 찬송가 선집』 : 전투, 기도, 노동, 고난 (기독교인 삶과 거룩의 모든 면 다룸)

 

5. 미국 청교도주의와 대각성운동 (18C 중요한 영적 운동 : 대각성 운동, 셰이커(the Shakers) 출현)

- 조나단 에드워즈 (목사, 복음주의 설교자, 칼뱅주의신학자, 철학자, 윤리학자)

. 종교 체험과 건전 교리 사이 연결 위한 노력 : 부흥 운동이 성령의 사역이라고 지지하면서 부흥 운동 안에 있는 감정주의를 반대하기도 함

. 『신앙감정론』(1746)에서 성령의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표지 제시

 

6. 셰이커 영성 (셰이킹 퀘이커, 그리스도 재림신자연합회) : 영국서 시작, 북아메리카 (미국 영성 전통)

1) 퀘이커 : 영국 맨체스터, 황홀경에 빠지고 천년왕국 믿는 조직

. 앤 리(1736-1784) : 문맹의 직조공, 58년 가입, 1774년 제자들과 미국으로 이동

. 환상 체험, 공동체 생활, 성령 충만한 예배(황홀경의 춤), 독신 주의 → 마더 앤

. 부흥 운동 이후 개종자 감소로 현재 하나의 셰이커 공동체가 남아있음

 

2) 셰이커의 영적 관점

(1) 그리스도와 연합하는 신비적 경험 : 은혜를 공유하는 모든 사람을 포함(집단적)

(2) 그리스도의 재림을 기대하면서 시작되었으나, 재림의 변화에 대한 상세한 이해가 없으므로 내적인 빛의 증가가 영적 완성을 암시한다고 믿음으로 내적 준비를 위해 무언의 노래, 방언, 황홀경의 춤 등의 형태

(3) 인간 본성의 완성에 대해 낙관적 믿음 선포 : 죄와 용서의 반복 적인 예배형태를 거부했으나, 개별적 비밀 고해를 영적 훈련으로 함.

(4) 장인정신 : 노동을 예배의 한 형태로 이해

(5) 재림 : 모든 사람이 결합된 상태의 경험 → 명칭 : 그리스도 재림신자연합회

(6) 하나님의 실재 : 양성을 포괄하는 관점

(7) 그리스도의 정체성 : 공동체의 유형적 삶으로 공유 → 독신주의 주장(최선의 헌신을 가족에 제한하지 않고 모든 사람을 품는 것을 의미함)

(8) 공동체의 최종 목표 : 타인을 향한 절대적인 평화, 평등, 철저한 재화의 공동 나눔 (토마스 머튼이 시토회와 셰이커의 삶, 가치가 비슷하다고 언급)

 

[각주]

모라비아 형제단

더보기

보헤미아(현재 체코에 해당)에서 박해당하여 독일로 탈출한 개신교 신자들 (위키백과 : 니콜라우스 루트비히 폰 친첸도르프)

 

친첸도르프 백작

더보기

니콜라우스 루트비히 폰 친첸도르프(Nikolaus Ludwig von Zinzendorf)는 독일 작센의 법률가, 종교가, 선교운동가, 그리고 시인이다. 정부의 법률 고문관이었으나 젊어서 신앙 생활에 귀의할 것을 결심한다. 모라비안(Moravia)을 옹호하였고, 재조직자가 되어 관직을 버렸다. 모라비안들은 작센 지방에서 또 추방되었으나, 그는 단신으로 영국으로 간 후 다시 스위스나 미국, 캐나다 등지를 순회하면서 전도하였다. 추방령이 해제되자 귀국하여 헤른후트에 거주하면서 건전한 교의를 지키면서 모라비안의 외국전도에 힘썼다. (위키백과 : 니콜라우스 루트비히 폰 친첸도르프)

 

 

독일 경건주의 

더보기

17세기 개신교 정통주의(Protestant Orthodoxism)는 점점 교리화되면서 스콜라 주의적 경향을 띠게 되었다. 성서주의적, 지성주의 교리를 확신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따라서 마르틴 루터가 강조하였던 하나님과 성도 간의 생명력인 관계가 상실되게 되었다. 그래서 경건주의는 교리에 반대되는 생명, 사무적인 것에 반대되는 영적인 것, 경건의 모양에 반대되는 경건의 능력을 강조한다.

. 슈페너는 '교회 안의 작은 교회운동'을 전개

. 프랑케는 1694년 할레(Halle)에 경건주의 대학교인 할레대학교를 설립하였고, 할레시는 경건주의 운동의 중심이 되었다. 할레대학을 중심으로 많은 젊은이들이 해외선교 지망생이 되어 18, 19, 20세기 세계 선교에 수만 명의 선교사들로 파송되었다.

. 진젠도르프는 경건주의 안에서 자랐다. 그는 프랑케가 세운 고등학교와 할레대학교를 다녔다. 그는 30년 전쟁 때 보헤미아에서 피난 온 형제들에게 자기 소유의 땅 삭소니(작센?)의 헤른후트를 내어주면서 그들과 함께 경건운동을 하다가 이 그룹의 지도자가 되었다. 그리고 그 형제들의 출신 지역 모라비아의 이름을 따서 모라비안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 (나무 위키 : 경건주의)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