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립 쉘드레이크. <미래로 열린 영성의 역사>의 책 7장 내용의 정리입니다.

함께 공부하고 고민하면서...

         혹시 책 내용중에서, 제가 오해하거나 오독한 경우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7장 모더니티에서 포스트모더니티로 (2/2)

더보기

1. 영성에 대한 영향

2. 예언적-비판적 유형

: 샤를 드 푸코, 에블린 언더힐, 디트리히 본회퍼, 시몬 베유, 도러시 데이, 토마스 머튼

3. 해방 영성 : 구스타보 구티에레스

4. 페미니스트 영성

5. 화해의 영성

6. 에큐메니컬 영성 : 떼제

7. 영성과 종교간 대화 : 비드 그리피스

8. 동방 정교회 영성

9. 영성의 민주화 : 피정 운동, 오순절 운동과 은사 운동

10. 결론

필립 쉘드레이크. <미래로 열린 영성의 역사>. 정병준 역. 한국장로교출판사.

 

4. 페미니스트 영성 (1880년대 시작)

. 유럽과 북아메리카에 광범위하게 영향 끼친 해방주의 영성의 다른 형태

(1) 서유럽, 북아메리카의 투표, 재산, 대학 학위 획득위한 여성운동

(2) 유럽의 정치적 혼란 및 미국 민권운동에서 여성의 두드러진 역할

(3) 1970~80년대 학문 분야로 등장 → 기독교 신학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 → 영성에 영향

. 대표 신학자 : (북아메리카) 샌드라 슈나이더스(영성에 민감한 성서연구), 조안 왈스키 콘, 로즈메리 류터, 엘리자베스 존슨(삼위 일체 신학에 대한 정교한 재해석), 캐서린 다크먼(『영신수련』의 여성들의 연구), 앤 카, 도로테 죌레, (독일) 엘리자베트 몰트만 웬델, (영국) 메리 그레이, 그레이스 잔첸(고전의 재해석, 기독교 신비주의 연구)

. 페미니스트 영성 근본 주장

   (1) 영적 실행에 대한 접근법이 성차에 의해 영향 받는다.

      . 성차 : 생물학적 성, 주어진 문화, 역사, 시대 안에서 구성되는 방법

   (2) 인간성과 가치가 훼손되는 근본적인 방식의 확인 : 전통적 영성의 중요한 요소들에 의해 제한됨

   (3)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 이해, 제자직의 실행에 대한 대안적 방법 재구성

      . 재구성의 방법

         A. 경험의 타당성을 우선으로 신학의 기초를 확증 : 하나님을 경험 할 때 하나님 깨닫기 시작 → 여성의 경험과 방법의 구체적인 특징이 영적 지혜의 핵심 원천

         B. 성경과 전통의 빛으로 경험을 성찰

 

4.1 여성주의 영성 : 아프리카계 미국인

4.2 무제리스타 영성 : 라틴, 히스패닉 여성

   . 이사시-디아스 : 윤리학으로 신학 전공하여 대학교수(쿠바 난민), 가톨릭에서 여성 서품위한 운동에 관여, 진정한 영성은 구체적 관계와 정의 위한 투쟁에 몰두하는 능력에 의해서 측정

 

5. 화해의 영성 : 기독교 신앙의 중심, 영성의 중심

. 전쟁, 후기 식민주의, 인종 갈등, 사회 정의와 해방 등으로 화해가 중요주제

. 존 드 구루취(남아프리카 신학자) : 화해 교리가 ‘기독교 신앙의 모든 교리의 영감이며 초점’

. 화해의 수평적 차원 : 타자를 위한 공간을 만들고 ‘타자’안에서 자신을 발견하는 것 (갈등의 극복 시도)

. 샬롬 : 영적, 물질적 조화와 웰빙의 상태 ∴ 부정의와 불화에 반대하는 비폭력 저항 위한 기독교 사역

(1) 마틴 루터 킹, 하워드 서먼(신비주의자, 급진적 사회적 행동의 영성을 발전시킴 : 기도와 고난이 기반)

(2) 피에르 테야르 드 샤르댕 (예수회 지질학자, 고생물학자) : 과학과 종교의 조화 노력

. 종교적 영역에서의 화해 이슈

(1) 20c 초 기독교 에큐메니즘

(2) 20c 세계화 과정에 태어난 종교간 대화 VS 폐쇄적인 기독교 영성의 영향력 증가

 

6. 에큐메니컬 영성 : 떼제

. 기독교 에큐메니즘 : 기독교 세계화와 교회의 정체성과 영성의 중심에 공동 선교가 있음의 이해

(1) 1910년 에든버러 선교 대회

(2) 세계교회 협의회 설립 (1948) vs 유엔 설립

(3) 가톨릭교회는 2차 바티칸공의회 이후 1960년대에 에큐메니컬 운동에 참여

. 로제 슈츠(개혁 교회 목사)의 떼제 공동체 (1940) : 기독교 에큐메니즘과 인간 화해의 영적 토대 가운데 상징적

   . 배경 : 프랑스와 독일 사이 유대인 난민 도우려는 소명으로 수도원 모델로 매일 기도하는 일과 시작

   . 1944년 화해의 선교에 헌신 : 범유럽 평화 → 종교, 사회, 세계적 전망

   . 초기에는 개신교에서 가톨릭 회원 들어온 이후로 광범위 기독교 출신의 100여명의 회원

   . 특징 『떼제 규칙』 (1953) : 관상과 사회적 참여의 연결 실습

      (1) 공동생활 안에서 화해의 가능성, 고통 증거 (각자 종교의 순전성 유지)

      (2) ‘잠정성’ : 신앙적 민감성으로 굳어진 태도와 고정 방식에 대해 이끄시는 하나님 방법에 자신을 개방하는 것, 하나의 큰 재단 대신 세계에 필요한 곳에 잠정적으로 작은 규모 공동체 이식

      (3) 적극적 참여와 관상적 삶으로 가난한 사람에게 헌신, 사회 정의와 화해 위한 투쟁

      (4) 청년들을 위한 순례와 영적 탐험의 장소 (EX) 반복 찬미, 영적 안내 등으로 화해 분위기 조성

 

 

7. 영성과 종교간 대화 : 비드 그리피스

. 종교간 대화 : 기독교&불교, 기독교&힌두교 → 토마스 머튼 : 수도원 생활은 종교간 만남과 영적 실천의 경험을 나누는 유익한 상황

   . 베네딕트회 데샤네 : 요가에 친숙, 명상중 신체의사용 회복에 기여

   . 베네딕트회 존 메인 : 힌두교의 만트라 암송과 고대 기독교 수도원 실행 하시 관계발견 (존 카시안)

   . 예수회 회원들이 일본 선의 권위자가 되어 선불교와의 대화에 참여

. 인도에서의 모델들

(1) (영국)베네딕트회 비드 그리피스 : 인도 영성 발전을 위한 대표적 기독교 집단

. 관상 공동체의 비전 → 서양의 합리주의에 맞서 직관적, 관상적 삶의 회복에 중점

. 이전 예수회 회원들이 설립한 아쉬람(암자, 샨티바남이라는 장소)에서 생을 마감

. 기독교와 힌두교 관계에 특별한 접근 방식 사용 : 양쪽 다 이해

   . 아드바이딕 : 보편적 조화와 통일성 강조하는 교리

   . 신성 안에 있는 궁극적 단일성에 대한 믿음과 삼위일체 교리 (불가해한 통일성이 구별 속에 균형)

   → 힌두교는 개인이 절대 정체성과 완전 하나가 된다고 보지만 기독교는 절대자의 깊음 안에서 자신을 잃어가는 관상적 과정에서 참된 자아를 발견하는 것

(2) 샨티바남 : 힌두교 아쉬람에 영감 받아 생활양식과 예배를 인도식 모델에 적용한 기독교 공동체

   . 환경과 예배는 모두 인도식

   . 기독교, 힌두교 방문자들에게 모두 인기

 

8. 동방 정교회 영성

: 아토스산의 수도원 개혁과 러시아 영성의 중요인물들로 혁명 전후

. 아토스 산 : 그리스 마케도니아 산악 반도, 남성 수도원 정착지

   . 헤지카즘(정교회 관상 전통)이 발전 → 1917년 러시아 혁명 결과로 수도원 감소 → 쇠퇴 → 세계대전 후 서방내에서 정교회 영성에 대한 관심 증가, 1960년대 그리스어 『필로칼리아』 → 아토스로 초심자들의 유입

. 러시아 영성 : 정치, 사회적 영향

1) 성 요한 (1829-1909) : 혁명 이전 정교회 평신도에게 중요한 영향

   (1) 매일의 성체성사는 삶의 중심이므로 평신도가 성찬에 참여하도록 함

   (2) 자선이 참된 기독교 경건의 본질 : 소외 계층위한 사역으로 표현

   (3) 개인기도의 실천을 세밀하게 기획하여 해박한 영적 일기를 남김

2) 블라디미르 로스키 (1903-1958) : 평신도 신학자,

   . 러시아신학연구소(파리) 설립, 『동방교회의 신비신학』

   . 신화(神化)를 기독교의 핵심으로 보고, 하나님의 생명 안으로 이끌려 들어가는 과정으로 이해

   . 신비주의와 신학은 떨어질 수 없고, 기도와 전례는 신학의 토대, 신학은 신앙생활 발전에 관한 것

3) 마더 마리아 스코츠소바 (1891-1945) : 러시아 귀족 출신, 문학가, 수녀, 2차 세계 대전 순교

   . 러시아에서 파리로 망명, 이혼 후 수도원 서원

   . 지적, 종교적 토론의 중심지, 가난하고 궁핍한 사람들을 위한 곳

   . 1940년 독일의 프랑스 점령 이후 레지스탕스가 되어 유대인 도피 돕다가 1945년에 가스처형

. 20c후반 이후로 정교회의 세계화 : 유럽의 종교, 영적 주류의 일부가 될 듯

→ 전례와 신비신학의 중요성을 알려줌

 

9. 영성의 민주화

: 피정, 오순절 운동과 은사 운동

. 영성의 민주화 : 성직자나 수사들 같은 종교 권력과 영적 엘리트만의 영성이 아님

 

9.1 피정 운동

. 기원 : 예수님이 휴식과 기도 위해 제자들 데리고 한적한 곳으로 가신 신약의 기록

. 『영신수련』 이후 제도화된 피정 개념, 17C 피정의 집, 19C 중반부터 성공회에서 피정 시작, 20C 미국의 평신도들에 의해 시작 → 사제들이 설교하는 다수를 위한 단체 피정

. 영적 안내 : 타인의 안내, 멘토, 동반자 역할을 하는 광범위한 영적 안내

   . 기원 : 초기 수도원 때부터 기원 → 중세 고해신부의 역할로 제도화 → 16C 트렌트에서 제도화

   . 비제도적 형태의 영적 안내 : 바론 폰 휘겔(가톨릭)과 에블린 언더힐(성공회) 같은 평신도

. 갱신 : 2차 바티칸공의회에서 피정과 영적 안내의 민주화 (진정한 영적 안내는 하나님의 은사)

 

9.2 오순절 운동과 은사 운동

. 기원 : 사도행전 성령 감동에서 셰이커 까지 발전

. 오순절 교회 : 1906년 LA 아주사 거리 윌리엄 시모어의 복음주의 부흥 운동으로부터 시작

  . 핵심요소 : 성령세례(방언), 예언의 은사 및 해석

   . 개인과 공동체 안에서 성령님이 적극적으로 활동하심

   . 과도하게 형식적, 건조하고 지성적 신앙에 대한 반작용으로 성령 충만의 경험이 정서적 형식에서 벗어나는 해방감을 주었다.

. 가톨릭에서의 은사 운동 : 대중적, 평신도적, 공동체적 영적 운동 (영적 민주주의)

 

10. 결론

. 20C 특징

1) 다양, 절충적, 에큐메니컬하고 근본적으로 다원적

2) 교인 수는 감소하지만 영적 지혜와 실행이 크게 요구됨

3) 서양에서는 세속화와 종교의 소멸에 관한 이론 유행

4) ‘후기 세속주의’, 영성의 뉴 에이지 시대 준비하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