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내용은  <영의 식별> 후반부를 읽는 동안 일어났던 상황에 대한 나눔입니다.

 책의 요약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저의 작은 경험이 여러분의 일상을 해석하는데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영의 식별> (갤러허) 6장-14장

티모시 갤러허. <영의 식별>. 김두진 역. 이냐시오 영성연구소

4장부터는 영적 실망의 상태에 대한 가이드 이다.

6장에서는 실망의 시기에 기도, 묵상, 더 깊은 성찰, 적당한 고행의 4가지 수단을 더 매진하라고 말한다. 나도 정말 그러고 싶다. 어려운 상황에서 하나님의 시각으로 ‘나는 할 수 있다’고 하고,

 

영적 실망에 빠진 나에서

그런 나를 바라보는 나가 되어

나를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에너지가 있으면 좋겠다.

 

머리로는 알지만 쉬운가...싶다. 하지만 지금 나는 영적 실망의 상황이 될 수도 있는, 이유를 알 수 없는 목이 자주 막히는 문제에 걸쳐 있다. 이 상황에서 기독교 영성 공부를 하면서, 육체적 고통 가운데서 더 깊이 기도하고 다양하게 기도하는 과정을 훈련 받는 듯 하다. 그래서 고난이 유익이고, 영적 실망을 통해 회개, 배움, 겸손으로 업그레이드 되는 것 같다. (책에서는 영적 실망이지만 현재 나의 상황에서는 건강의 문제로 자꾸 변형해서 읽힌다.^^)

 

영적 실망의 상태를 통해 ‘온 종일 주님을 찾는 일상(p259)’을 주님이 만들어 가신다고 했는데, 이번학기 중에 나는 통증을 통해서 매순간 주님을 찾을 수밖에 없게 되어서(이전에 아무리 혼자 훈련하려고 해도 안 되던 것이...) 감사하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었다.

 

지난 학기 『영신 수련』을 읽으면서는 다 맞는 말 인거 같은데 문맥간의 연결 없이 써 있어서 맥락이 이해가 안가거나, 너무 간단해서 ‘이게 쉽나’했었는데 이냐시오의 자서전을 참고 한 것이나 갤러허의 해석이 도움이 많이 되고 있다. 머리로는 알지만 그대로 살기 쉽지 않은 내용이지만, 계속 반복해서 읽다 보면 가랑비에 옷 젖듯이, 자신도 모르게 그렇게 점점 살아가게 되지 않을까?(너무 이상적인 생각일까...)

 

본인은 인식하지 못하고 ‘아직’이루지 못했다는 겸손한 자세로 점차 이루어 가는 생을 살아 갈 수 있기를 바래본다. "큰 바위 얼굴"(나다니엘 호손, Nathaniel Hawthorne) 주인공 처럼...

 

[질문] 『영신 수련』이 오래 읽히고 수도사들에게 정기적으로 훈련된 것으로도 아는데(피정? 등으로?) 그렇다면 개개인의 변화 등에 대해서 기록하거나 『영신 수련』의 반복학습에 대한 장기적 관찰 결과 등에 대한 자료들도 있지 않을까?

 

티모시 갤러허. <영의 식별>.

★ 아래의 내용은  <영의 식별> 전반부를 읽는 동안 일어났던 상황에 대한 나눔입니다.

 책의 요약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저의 작은 경험이 여러분의 일상을 해석하는데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영의 식별>(갤러허) 서론-5장

티모시 갤러허. <영의 식별>. 김두진 역. 이냐시오 영성연구소

‘내적 감지의 3가지 유형’을 말하는 17번의 심리적, 도덕적, 영적 감지의 갤러허의 설명에서 심리적 설명에서 ‘의식성찰’이 떠올랐다. 도덕적 감지가 마음에 가장 어려웠다. 행동, 말, 관계 “모든 것에 그리스도의 복음을 얼마나 충실히 따르는가“(p68)..라는 문장에서 매일 깨어 있고 싶으나, 그렇지 못한 나를 또 돌아보게 된다. 매순간 그렇게 예수님이 이 세상에서 살아가신 방법대로 살고 싶어서 어쩌면 나또한 이냐시오의 민감한 영적 감수성이 나의 매일의 목표이다. 신학을 시작하면서부터 목표에 집중하느라 사실 하루에 엄청나게 많은 일들을 해내던 내가 roaming의 나날을 보내느라 실적이 별로 없고 제한시간에 턱에 닿아 일을 끝낸다.

 

그래서 하나님께서 채우시는 매일을 경험한다.

그래서 나를 조금씩 더 알아간다.

내가 생각한 안전지대를 벗어나

예수님이 선택한 안전지대 안으로

조금이라도 더 가까이 가려고 훈련 중이다.

 

일상 중에도 관상적 태도를 유지하고 싶으나 수시로 본성이 먼저 나타난다.

 

『영신수련』을 읽을 때 너무 단문이어서 이해하는데 마음이 흡족하지 못했었고 여러모로 의문도 가고 했던 부분들이 많았다. 『영의 식별』을 구입하면서 『로욜라의 성 이냐시오 자서전』을 구매 할까 하다가 말았는데 『영의 식별』을 읽으면서 자서전을 근거로 한 설명들 때문에 『영신수련』이 더 이해되고 동의 되었다.

 

[생각해 볼 내용]

주님을 사랑하고 제자로 살아가고 많은 능력이 있어 많은 사람들을 옳은 데로 돌아오게 하지만, 도덕적 감지(p68-69)가 너무 높을 때도 있는 반면, 수시로 너무 선을 넘어 바닥으로 떨어진 경우들도 보았다. 이러한 경우는 인지의 문제일까? 어릴 때 상처의 문제일까?

 

[생각해 볼 내용]

이냐시오는 계속 세속과 거룩, 선과 악을 구분하는데 많은 에너지를 쓰고 있는 거 같다. 나 또한 그런 고민의 과정 중에서 정리된 것이 있어서 ‘이분법’은 인간이 편하자고 만든 기준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 이냐시오는 그 시대의 철학을 기반으로 생각해서 이분법으로 생각한 걸까? 아니면 지금의 우리도, 거룩과 세속, 선과 악을 열심히 분별하면서 ‘세속’의 것을 피하며 살아야 할까? 선과 악을 구분하고 선을 긋는 것도 어쩌면 내가 하나님의 자리를 대신해서 판단하는거 같아 때로는 불편할 때도 있다.

 

[생각해 볼 내용]

p28의 이냐시오의 ‘민감한 영적 감수성’에 집중하느라 지난 주중 ‘영성지도’ 실습과목 수행 중에 온전한 통로로 민감하고 싶어서 이성을 빼고 머리도 마음도 작동시키지 않았었는데, 통로가 되는게 아니라 혼돈이 되어 버렸다. 결국 피드백 시간에 되돌아 보니 ‘논리’대로 가면 되는 거 였는데 내가 논리를 버리고 진짜 통로가 되겠다고 다 버린거 였다. 이냐시오 자서전에 보면 생각의 길, 정감(감정?)의 길.. 이렇게 가는데, 생각(이성)을 비우는게 아니라 하나님 손에 나의 이성(생각)을 들려서 사용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하게 되었다..

 

티모시 갤러허. <영의 식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