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성

기독교 영성 연구에 대한 접근방식 (샌드라 슈나이더스)

by 말씀묵상과 영성지도 2023. 7. 29.

  아서 홀더. <기독교 영성 연구>의 1장 내용의 정리입니다. 함께 공부하고 고민하면서...

         혹시 책 내용중에서, 제가 오해하거나 오독한 경우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더보기

 목차

 

1. 연구 분야로서의 영성

   1) 내용적 대상 : 실존적 현상으로서의 영성

   2) 형식적 대상 : 종교적 경험으로서의 영성

 

2. 기독교 영성 연구에 대한 세 가지 접근

   1) 역사학적 접근

   2) 신학적 접근

   3) 인류학적 접근

   4) 세 가지 접근의 상호작용

 

3. 자기 참여(self-implicatiion)의 문제

   1) 경험의 비판적 사용

   2) 자료로서의 개인적 경험

   3) 영성 연구가 가져다 주는 변화의 가능성

 

 

1_기독교 영성 연구에 대한 접근방식 (샌드라 슈나이더스)

1. 연구 분야로서의 영성

1) 내용적 대상 : 실존적 현상으로서의 영성

(1) 일반 영성 정의 : 초월을 위한 인간의 기본적 가능성의 실현

. 자신이 인식하게 된 궁극적 가치를 지향하는, 자기 초월을 통한 삶의 통합 프로젝트에, 의식적으로 참여할 때 일어나는 경험

     (a) 의식적이고 의도된 삶의 방식 (영성=영적 삶)

     (b) 사적인 만족을 넘어 궁극적 선(최고의 가치)으로 지향

     (c) 성장으로 유인하는 기능 (영적 삶은 역동적)

     (d) 제외 : 중독, 개인의 유익을 구하는 착취, 공격적 과제, 돈으로 얻을 수 있는 것 들

(2) 기독교 영성

     (a) 궁극적 가치의 지평 : 예수그리스도 안에서 계시된 삼위일체 하나님

     (b) 주제 : 전체로서의 인간 (영, 정신, 몸,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정치적 책임)

           . 믿음과 제자도의 삶 : 기독교 영성의 실존적 현상을 구성

     (c) 개인적이지만 내면적이지만은 않다. : 자기(self) 전체가 실재(reality)와 관련

 

아서 홀더. 기독교 영성 연구. 권택조 외 역. CLC.

2) 형식적 대상 : 종교적 경험으로서의 영성

     . 신학 : “경험에 뿌리를 둔 믿음에 대한 탐구

     . 연구 분야로서의 영성의 특징 : 기독교 신앙의 생생한 경험 연구

     . 경험

     (a)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것 : 텍스트(, 문자, 예술, 행동)로 표현되므로 전달 가능

     (b) 어떤 것에 관한 경험 : 연구 분야의 대상 (이해하고자 하는 것)

     . 심리학과 영성 연구의 예 -> 영성 : 신학 = 섹스피어 전집 연구 : 문학 이론 연구

  심리학 : 걱정 영성 연구 : 테레사의 기도
주관적 인식 걱정에 대한 직간접적인 경험 테레사 개인의 기도
어떤 것 이론이 아닌 특정한 경험인 걱정 신학적 기도가 아닌 테레사의 기도

     . 영성 연구 : 구체적 영적 삶을 조사 (ex) 테레사, 베네딕트 수도원등의 개별적 (실천)

     . 영성의 초점(대상) : 영적 삶의 경험 - 신학이론과 경험의 상호작용

     ex) Dorothy Day 평화주의자 영성 팔복과의 실존적 만남

 

2. 기독교 영성 연구에 대한 세 가지 접근 방법

1) 역사학적 접근

   . 가장 논란 없는 연구 방법

(1) 영성에 관한 역사 (영성의 역사)

. 영성과 관련된 자료를 역사학자(연구방법)로서 접근 (현상에 관한 역사)

. 과거 기독교 경험을 이용하여 신뢰할 만한 사실의 발굴과 해석

. 종교 역사학자와 구별 : 기독교 신학 안에서 기독교 신앙 경험들을 연구

. 과거에는 영성과 영성에 관한 역사를 동일하게 간주 -> 현재는 접근법 중의 하나

 

(2) 역사학적 영성 :

. 역사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는 영성 (주제에 대한 역사학적 접근법으로 현상 이해)

. 해석학적 원리 사용 (신학)

. 모든 시대에 있었던 기독교 종교 경험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필수적

-> 생생한 경험으로서의 영성

 

(3) 역사학적 접근의 유의점

a. 영성을 일어났던 일로 축소하거나 혹은 역사학적 방법으로 모두 파악할수 있는 것처럼 설명하려는 시도

b. 다양한 방법론 동원해서 연구 하도록 : 신학, 심리학, 젠더, 예술, 수사학, 과학 등

 

2) 신학적 접근

[배경]

(1) 정교회 중세이전 : 신학과 영성의 통합

     - 고중세 : 신학과 영성의 분리

(2) 개신교 정통주의 : 신비주의, 영성 등의 용어보다 경건선택

(3) 성공회 : 헌신

(4) 영국 성공회

     . 공동기도서(예전) 바탕, 실제적이고 이론적인 영적인 삶과 관련된 다작

     . 영성이 대학 커리큘럼의 신학 아래 포함됨

(5) 13c 이후 : 신학이 대학안에 철학적으로 다듬어진 전문분야로 이해됨

     . 영성신학(spiritual theology) : 교리적, 도덕적인 신학의 한분야로 이해, 학문연구

     . 스콜라 신학의 관점에서 대학의 주요 과목

(6) 17-20c 중반 : 완전의 삶에 대한 이론적 연구로 이해됨

     . 영성신학(전체의 영적 삶을 연구대상으로 함)과 신비신학(영성신학 중 한 세부 분야)

     a. 수덕신학(ascetical theology) : 능동적 삶을 연구하는 분야

     b. 신비신학 : 수동적 삶 , 하나님 경험->신비경험으로 연구가 바뀜

        . 영적 삶의 3단계(정화, 조명, 신비적 연합)가 체계화 되면서 엘리트주의, 분리적 평가

        . 실제 영적 3단계는 동시적이며 개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

(7) 20c 후반

     . 거룩함으로의 보편적 부름 확인 영성신학이 영성으로 대체됨 (2차 바티칸 공의회)

     . 영성 : 기독교 뿐 아니라 타종교 및 종교 무관한 여러 실천가들도 혼용

 

     . 기독교 영성 구별 : 기독교 종교 전통에 뿌리가 있음 -> 신학적 영성 vs 영성신학

     . 신학적 접근시 유의점 : 기독교 영성에는 신학적 믿음 이상의 것이 있음

     . 다양한 공동체 / 복잡한 인간 / 다층적 차원 > 신앙의 적용과 표현의 특수화

     기독교 영성을 일반적 이론이 포괄하거나 구체화 할수 없는 경우 있음

     영성이 신학을 낳고, 신학은 영성의 경험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함 (신학영성)

     . 영성의 학제간 연구 필요 이유 : 다른 분야의 도움을 받을 때 적절하게 탐구 가능

 

3) 인류학적 접근

[postmodernism에서 영성의 정의]

     a. 인류학적 상수

     b. 인간 구성의 한 차원 (인간적인 특성) 실존적으로 종교보다 앞섬

     . 기독교 영성은 구체적이고, 경험적인 현실이므로 타기관에서의 영성연구와 공유 필요

     . 역사학적 차원, 신학적 차원 + , 언어, 심리, 천문학도 고려

     . 시대가 가지고 있는 경험의 중요한 측면에 영향 받음

     . 종교나 제도적 종교를 외면하는 구도자의 영성에도 관심

     . 종교 신학 속에서 작업 (전제 2가지)

        a. 기독교 영성의 첫째는 인간, 다음이 그리스도인

        b. 영성은 존재론적으로 역사학과 신학보다 먼저

     . 해석학적 방법론 강조

        a. 이해와 설명(지식의 확장)

        b. 적용(주체의 확장) : 조사자 개인의 인성의 확장 (영적으로 풍성하고 심오하게 됨)

     . 인류학적으로 접근하는 기독교 영성

     . 기독교 영성이 통제 할 수 없는 대화에 참여

     . 이 시대가 질문하는 것에 대답하기 위한 집중 (ex) 시민 평등권운동은 영적 현상인가?

     cf. 역사나 신학적 접근은 그 기준()에 따라 풀어감

     . 인류학적 접근의 기여

        a. 개방성 : 영성분야에서 다양하고 넓은 범위의 이슈들 연구가능

        b. 공적 대화의 장에 기독교 영성을 드러낼 수 있다.

        c. postmodern적 의제와 감성에 친화적

        ∴ 인류학적 접근 방법의 연구는 기독교 본질에 집중하면서, postmodern의 유혹을 이겨야..

4) 세 가지 접근의 상호작용

. 상기 3가지는 기독교 영성 분야의 모든 질문에 관련해서 필요한 도구

. 배타적이지 않음 : 3가지의 적절한 사용 (대학의 연구, 목회와 신학교 상황, 대학원 연구)

 

3. 자기 참여(self-implicatiion)의 문제

1) 경험의 비판적 사용

. 영성은 경험에 대한 연구 이므로 연구자의 경험이 이해를 위해 필요 (ex) 심리학

. 영적 삶을 이해하기 위해 영적 삶을 가져야 한다. : 경험 깊어질수록 타인의 경험 이해 커짐

. 주의 : 연구자가 너무 깊이 연관되면 연구 망침 (객관성 필요)

 

2) 자료로서의 개인적 경험

. () ‘기도’ : 숙제 ?

a. 연구의 방식인 실습일수 있음

b. 숙제(연구)를 통해 기도의 경험 혹은 기도하고자 하는 동기 유발

c. 경험을 통해 기도를 연구할 경우 : 신중할 경우 본인이 기도에 관여하는데 도움이 됨

 

3) 영성 연구가 가져다 주는 변화의 가능성

. 경험의 영향력 : 진정한 연구는 변화를 낳는다. (Weil)

. 자기 참여적 특성의 중요점 : 연구와 개인의 성장의 상호작용

 

[토론질문]

* 영성 고전에는 경험한 사람들이 정리해서 적었다

자기가 경험한 것을 정리한 것인데 표현이 잘 안됬다.

우리는 그들을 책으로만 만났기 때문에

인성이 어느 정도 성숙한지는 그들에 대해 논한 몇몇 타인의 글들로만 알 수 있다.

 

* 궁극적 진리와 씨름하게 되면 다른 사람이 된다.(소크라테스)

* 누군가와 오래 지내면 닮아간다. (ex) 예수님

 

* 범위를 좁혀가서 현대 한국 기독교 영성 공부하는 우리 관심있는 나...

많이 배우면서 (연구하는) 자로서 자기가 배운대로 살고 있다고 착각

(ex) 좋은 공동체에 속해 있으면 자기 영성이 그런 줄 아는 것처럼

 

* 영성은 삶으로 나타나야 하는 것

전반적으로 그렇게 살지 않으면서 본인이 그렇게 살고 있다고 착각

- 안전장치 : 의식 성찰

 

case1. 의식성찰을 오래해도 자기의 틀에서 못 벗어나서 하나님의 마음을 누리지 못해 괴로워 하면서도 여전히 영성이 뛰어나다고 생각하고 착각 할 수 있는 우리 연구자들의 폐단은 어떻게 검증하고 피할 수 있을까?

 

case2. 교회안에서, 영적으로 사람들을 하나님과 친밀하게 도와주는 귀한 축복의 통로로 쓰이는 데도 불구하고 개인적 인격의 문제로 성도들과 오래도록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를 종종 본다누군가 조언을 해주어도 자신이 매일 성찰하고 있다며 타인의 조언과 충고를 받아들이지 않고 인격의 약한 부분을 고치지 않으려는 경우들... (영성의 역동성)

연구자로서 내가 이런 오류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어떤 것들이 필요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