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영성 연구_18장 심리학 (1/2)
자넷K.러핑(Janet K. Ruffing) 박사
포덤대학교 영성신학 교수
목차
1. 영성 정의에 관한 문제
2. 정신 분석 이론들
3. 하나님에 대한 표상들
4. 인지 이론가들
5. 분석적이고 초인격적인 심리학
6. 초월성
7. 영성을 측정하는 임상적 도구의 발달
8. 기독교 영성 연구에서 질적 연구 방법
9. 결론
기독교 영성에 있어서 연구는 의미와 실천부분이 연구된다. 그러므로 기독교 영성에서 학제간 연구는 기독교 영성사, 성경, 기독교 전통의 역사와 신학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영성학자가 문제를 풀기위해 여러 추가적 학문을 도입 할 수 있다. 영성과 심리학은 모두 인간의 내면에 초점을 둔다. 두 분야의 이러한 유사성으로 인해 두 학문 사이는 점차 협조와 존중으로 변하고 있다. 심리학에서 내담자의 영성이 치료에 미치는 여러 결과로 인해 심리학에서 영성은 현대에 주요한 연구 주제가 되었다.
심리학에서의 영성과 관련된 많은 임상 데이터로 인해 심리학 분야에서는 개인의 영성, 묵상의 실천, 사회 활동과는 괴리된 영성과 종교 체험에 대한 개인화된 해석을 인정한다. 하지만 기독교 영성을 연구를 하는 학자들은 ‘기독교 영성 연구에서 심리학의 사용’에 있어서 심리학자들이 신학과 신비의 부분에 정통하지 못 하므로 비평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약 15년간의 심리학 분야의 많은 연구는 두 학문 간의 대화의 여러 시작점을 제시한다.
심리학의 영향은 영성의 어떤 부분을 측정하는 정신력 측정 도구 뿐 아니라 건강과 관련된 연구에서도 영적 실천과 행복사이의 관계에 관한 자원을 제공한다. 그 외에도 관련된 많은 주제(의식연구, 전이이론 등)들이 있다.
1. 영성 정의에 관한 문제
심리학에서는 기독교의 관점과는 맞지 않는 극적인 방식으로 영성을 이해하기도 한다.
. 기독교에서의 정의 : (신학적 관점) 하나님의 실재, 자기 초월의 영의실재, 초월자와의 관계 경험, 의미, 신자 공동체, 개인의 경험 뿐 아니라 하나님의 기준으로 이웃 사랑에 헌신하는 것 포함
→ “세계영성”에서 에워트 커슨즈는 사람의 내적 차원을 영이라 부르고 영적핵심은 사람의 가장 깊은 중심이라고 말했다. 자넷은 추가로 ‘영성은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이며, 예수 안에서 하나님에 대한 경험의 결과로서 우리의 삶을 사는 방식’이라고 정의했다. ‘거룩함’에 대한 우리의 반응과 모든 관계와의 경험의 결과를 어떻게 표현하는 것(삶의 방식)을 말한다고 했다. 이것은 역동적인 사랑의 관계로서, ‘세계 거주민’을 돌보는 분(궁극적 사랑의 원천)과의 사랑을 교환하는 것도 포함된다.
. 심리학에서의 정의 : 영성을 기능적으로 정의 (신념을 구성하는 요소, 가치로 영성의 의미를 만들고, 영적 경험을 영성의 구성 요소로 정의)
2. 정신 분석 이론들
프로이트가 종교와 영성을 ‘환상’이라고 하면서, 정신분석 이론은 종교와 적대 관계로 시작 되었지만, 프로이트가 발견한 대부분의 것들은 인간 이해의 일부분이 되었다. 정신병리학에 있어서 개인의 정신적인 부분에 잘못된 것을 발견하는데 도움이 되었고, 정상적인 성장에 관해 설명하는 정신 이론으로 확장되었다. 예를 들어 말러는, 의존 대상을 아버지로 하는 프로이트의 이론을 어머니로 수정하며 의존이 퇴행은 아니라고 수정하셨다.
에릭슨은 인간의 생애로 확장되는 발달 단계를 제시하며, 신앙이 병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 연구하는 학문(병리학)이 아님을 제안하였고, 그의 발달 단계는 기독교 영성 연구에서도 적용되고 있다.
대상관계이론과 자기 심리학은 또한 기독교 영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기독교 신앙과 신비적 경험에서 자기/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도움이 된다. 기도는 두 개 주체가 서로 영향을 미치는 의식 상태에 들어가는 것으로 이해 될 수 있다. 기도를 통해 하나님을 만나, 긍정적 성장과 자기 발전이 일어나고 대상과 하나님에 대한 이해를 돕게 된다. 심리 발달에 대한 관계이론은 “관계 맺으시는 하나님”인 기독교 영성에 부합한다.
스티븐 미첼은 인간이 자기 조절(내적 심리)과 동시에 환경을 조절(인간 관계)하는데 그 과정은 서로를 강화시키기도 하고 상충되기도 하면서 상호 침투하는 영역이라고 소개한다.
하인즈 코후트(코헛, Heinz Kojut)의 자기 심리학은 자기대상(예: 부모)과의 경험을 통한 건강한 자기의 발달과 주관적 경험에 대한 공감으로 통합적 자기를 발전시켜 나가는 이론으로 코후트의 ‘자기애’는 병적이라기 보다 발전적인 개념이다.
위니컷(D. W. Winnicott)은 엄마가 아이의 필요를 잘 채워주는 환경을 제공함으로 아이가 ‘주관적 전능감’을 느끼지만 아이는 점차 엄마를 하나의 존재로 인식하므로 엄마가 없어도 엄마와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는 ‘과도기적 현상’을 경험한다. 이 과정에서 ‘대상과의 사이의 공간’을 인지하고 타인과 구분되고 자신을 홀로 있을 수 있게 하는 수용력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윌리암 마이스너(William W. Meissner)와 마이클 에이건(Michael Eigen)은 ‘과도기적 현상/공간/대상’에서 종교 혹은 신비적 해석의 가능성을 적용하여 마이스너는 신앙, 상징, 기도에 적용했다. 에이건은 신비에 대한 이해에 적용했고, ‘진정한 자기와의 소통 단절’들 자아에 대한 재 감각 작업과 관련하여 제시했다. 악타르와 파렌스는 종교 체험과 ‘과도기적 현상/공간/대상’이 일체감과 모호함이 일어나는 곳으로 종교적 신념과 느낌과 관련되어 질수 있다고 말한다.
3. 하나님에 대한 표상들
. 아나 마리아 리주토(Ana-Maria Rizzuto) : 하나님에 대한 표상, 이미지에 관한 정신 분석학 연구
. 내담자의 주관적 하나님 경험을 탐구 : 삶의 내력, 대상관계, 자애적 균형, 자기 방어적 구조, 치료적으로 작용될수 있는 무의식/의식적 하나님에 대한 표상 형성 방식에 집중함 – 시간에 따라 변화방식 묘사 (치료사들에 의한 변수 발생 하지 않음)
. 하나님에 대한 내적 표상이 시간에 따라 발달, 변화하는 방식의 묘사
∴ 하나님과의 관계가 내담자에게 도움 일 수도 해일수도 있다. (관계적 역동성에 달려있음)
. 하나님 표상
- 부모 이미지 포함 (때로는 심각하게 병리학적)
- 의미있는 타자 혹은 상상속 대상 들의 모음
- 내적으로 표상화된 하나님은 타자와의 만남의 결과로 수정
- 기독교 전통이나, 가르침, 사건들이 개인이 가지고 있는 하나님의 이미지를 초월하는 경우, 하나님을 재형성하는 것이 일생의 과정에 일어남
[긍정적인 면]
- 사랑 많고 응답하시는 하나님은 친밀함을 원하는 인간의 갈망에 안정감을 주므로 ‘항상 거기 계시는’ 하나님은 존재 자체로 아이에게 평안을 주는 위니컷의 ‘충분히 좋은 엄마’이미지와 유사
- 부모가 하나님을 믿을 경우 아이에게는 부모 보다 더 능력있으신 하나님으로 인해 더 위안과 희망을 갖게 됨
[부정적인 면]
- 기도하면서 생성되는 하나님의 표상도 있지만, 무의식의 역동으로 나타나기도 함
- 하나님의 표상들은 전이과정의 일부나 저항 혹은 방어로 사용되기도 함
[치료사의 역할]
- 치료사가 내담자의 방식들을 온전히 따라가다 보면 내담자는 오래 부담되던 짐들로 부터 자유케 되는 새로운 유형의 믿음을 획득 할 수 있게 됨.
- 내담자 과거 삶의 내력과 현재에 근거해서 하나님과 종교를 찾도록 돕기
- 하나님의 표상이 발전되고 변형된 것을 연구하지 않은 치료사에게는 어려운 분석작업
. 하나님을 보는 시각에 관한 임상적 연구 (조셉 키아로치 Joseph Ciarrocchi) : 내적 관계의 다양한 요소 발견을 위해 깊은 탐구를 필요로 한다는 자료가 많아지고 있음 (신학자들도 비평적으로 다룰 것이 필요)
4. 인지 이론가들
. 심리학에서 정의하는 영성은 ‘인생의 의미와 목적에 대한 감각’
. 발달심리학 : 피아제(Piager) 인지 발달(Cognitive development)등 다양한 발달 단계 이론
. 발달단계 : 단계들은 순차적이며, 이전 단계를 성취해야 함
- 변화를 경험하게 하는 환경과 보측자(변화 증진시키는 도전의 종류)에 의해 촉진됨
. 이론가들과 이론
- 로렌스 콜버스 : 도덕적 추론으로 도덕 발달 단계연구
- 캐롤 길리건 : 여성들에게 관계적 돌봄의 윤리가 전형적
- 제임스 파울러 : 보편적 단계이론을 신앙 발달에 적용
- 로버트 키건 : 이미 알고 있는 자기를 잃고 새로운 자기를 재구성하는 정서적 과정에서 인지발달 이론 개발
- 엘리자베스 리벳 : 키건의 인지발달과정 + 여성을 바탕으로 자아 발달에 관한 내용
- 프레드릭 허드슨 : 성인기 자기재생(self-renewing)에 추가된, 통합된 성인발달 이론 제안
. 생애의 사명 : 생애의 새로운 시기, 자기에 대한 다른 변화를 일으키게 하는 안정적 지점
. 영적 발전, 영적 지도, 목회상담에 적용 가능
'영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독교 영성 연구_26장 해석 (1/2) (0) | 2024.01.23 |
---|---|
기독교 영성 연구_18장 심리학 (2/2) (1) | 2024.01.22 |
기독교 영성 연구_11장 기독교 영성에서의 기독론 (2/2) (1) | 2024.01.19 |
기독교 영성 연구_11장 기독교 영성에서의 기독론 (1/2) (0) | 2024.01.18 |
폴 틸리히_<문화의 신학> (2/2) (1) | 2024.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