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성

중국에서 경교의 흥망성쇠 (2/2)

by 말씀묵상과 영성지도 2023. 12. 29.

중국에서 경교의 흥망성쇠 (2/2)

더보기

1. 시작하는 말

2 경교의 기원

   2.1 네스토리우스의 후예

    2.2 여러 이름의 중국 기독

3. 중국에서의 확장

    3.1 당나라 때의 경교

    3.2 원나라 때의 경교

4. 사라진 경교

    4.1 당나라 때의 경교

    4.2 원나라 때의 경교

5. 경교가 사라진 원인의 고찰

    5.1 내부적 원인

    5.2 외부적 원인

6. 마치는 말

7. 참고도서

 

4. 사라진 경교

4.1 당나라 때의 경교

  845년 무종의 회창폐불(會昌廢佛) 사건으로 불교를 탄압할 뿐 아니라 세 종류의 오랑케 종교인 이슬람, 조로아스트교, 네스토리안을 강제로 환속 했다. 기독교인은 대략 2천 여명의 사제를 환속시키고 불교는 약 26만의 불승을 강제로 환속했다. 이후 878년 황소의 난 때는 많이 목숨을 잃었다. 네스토리안은 대략 3만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한다.

  또한 송나라로 이어지면서 중국인들이 자신의 체면과 자존심 회복의 일환으로 ‘고유 종교 부흥운동’을 함으로 외래 종교를 소멸시킨 이유도 있었다. 더불어 750년 이후 해양 실크로드의 주도권이 이슬람에게 넘어가면서 수로를 통해 중국으로 들어오는 네스토리안의 교세는 줄고 이슬람이 늘어났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기독교내 외세의 지원도 줄어들면서 네스토리안은 점차 중국에서 자취를 감추게 된다.  타슈켄트 동북쪽의 이시크 쿨 호수에서 600여개의 네스토리안 비석들이 발견 되므로 네스토리안들이 실크로드를 따라 중앙아시아로 향했을 것으로 예상 된다. 여기에는 시리아어로 씌어진 것으로부터 투르크어 까지 858년부터 1345년까지의 네스토리안 기독교 정보를 발견 할 수 있다. 중앙 아시아에서 초기의 네스토리안 공동체는 시리아어를 사용하다가 소그드어를 사용하고 점차적으로 투르크어를 사용하는 양상을 보인다.

 

사무엘 H. 마펫, 김인수 역, 『아시아 기독교회사』,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1996.

 

4.2 원나라 때의 경교

  원나라때 경교가 다시 활발해 진 이유 중에 하나는 몽골제국과 원나라가 모든 종교에 관용정책을 편 이유도 있다. 그래서 중국에서 쫓겨나서 중앙 아시아에서 생명력을 키운 경교가 원나라와 함께 다시 중국으로 들어올 수 있었다. 그러나 원나라는 모든 종교에 관대 했기 때문에 원나라 세조 이후에 티벳의 라마 불교가 중국에 영향을 펼치기 시작하면서 지배 종교로 정착되었다.

 

5. 경교가 사라진 원인의 고찰

5.1 내부적 원인

  상기의 자료와 시리아 교회의 선교 방법을 보면 계속해서 시리아 어를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중국내에서 외래 종교로 남아서 토착화 되지 못한 것이 경교가 사라진 이유 중 하나로 크게 손꼽힌다. 또한 대진경교유행중국비(大秦景敎流行中國碑)의 내용에서 보았을 때 타종교의 요소들이 너무 많이 침입되었다. 물론 초기 번역자들이 도교나 불교의 용어를 채택하므로 상황화하여 번역 하려고 노력했을 수 있다. 그러나 하나님을 “불”(佛) 또는 “천존”(天尊)이라고 번역하는 것은 상황화를 벗어나는 심한 신학적 타협이었다. 또한 선교 방법론에 있어서 지나친 정교밀착(政敎密着)이 있었다. 당대나 원대의 황실과의 지나친 밀착이 교세를 확대하는데 도움을 주었으나 그것이 또한 교세가 죽는데도 큰 영향이 있었다. 경교가 정교밀착(政敎密着) 상황에 있었기에 원대에서 경교가 사라진 원인에 하나로 대두 되는 것은 가족의 개종이다. 기독교 일가족이 중국내에서 성공하기 위해 중국의 전통인 유교로 넘어간 것이다. 오랜 시간동안 경교로 지낸 웅구트족은 칭키스칸의 동족으로 지배 계층임에도 불구하고 중국내에서 사회적 상향(上向)을 유지하기 위해 유교화 되었다.

 

5.2 외부적 원인

  경교가 중국에서 두 번이나 쇄퇴하게된 사회적 원인으로 첫 번째는 회창폐불과 황소의 난으로 인한 전멸과 기독교 공동체의 붕괴이다. 그러나 여기서 더 큰 피해를 본 것은 불교 인데도, 불교는 아직까지 중국에 남아있다. 두 번째 원인은 상기에서 기술한 송나라때 내부지향적인 종교분위기 조성으로 인한 것이다. 당나라때 외부 유입 종교로서 경교가 인정되고 황실에서의 위상이 높아 되면서 자신들이 무시당했다는 자존심의 문제가 있었다. 송나라때 ‘고유 종교의 부흥운동’에 의해 경교가 소멸되었다. 내부적 요인에서 언급한대로 200년이 넘는 시간동안 토착화에 집중했다면 송나라때의 이런 상황에서 경교가 살아 남아있을 수 있지 않았을까 한다. 이슬람의 등장으로 수로가 막혀서 더 이상 외부의 지원을 받을 수 없고 교류가 없던 것도 경교 쇠퇴의 원인이 될수 있었다.

 

6. 마치는 말

  경교의 기원과 종말은 더 깊이 연구해보고 싶은 분야였다. 경교가 두 번이나 중국내에서 사라진 이유들을 다시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 오랜 시간동안 외래 종교로 남아서 토착화 되지 못함

. 상황화를 훨씬 벗어난 신학적 타협과 표현의 토착화 (예) 하나님의 이름

. 타종교의 요소들과 융화나 타협이 과도했음

. 황실과의 지나친 밀착을 통한 교세 확대 추구 (정교밀착)

. 회창폐불과 황소의 난으로 인한 전멸, 공동체 붕괴 (불교의 경우 살아남음)

. 중국인들이 자신들의 자존심과 체면과 긍지 회복의 일환으로 ‘고유 종교의 부흥운동’에 의해 소멸 시킴(민족적 자긍심에 의해 희생됨)

. 중국으로 오는 외래인들 중 네스토리안은 줄고 이슬람이 많아짐 (네스토리안 교세 줄어듦, 외세 지원도 줄어들면서 중앙아시아 초원으로 도피)

. 중앙 아시아로 전파 과정 중 각 부족의 소수 민족 종교로 탈바꿈

 

  본 연구와 조직신학 수업을 통해서 네스토리우스에 대한 심각한 오해는 많이 사라졌다. 그러나 마음속에 복잡한 의문들은 더 많이 남는 것 같다. 네스토리우스에 관련된 책 한권 안 읽고 다른 사람들이 쓰고 말하는 것에 의해서 내가 아는 것처럼 말 한 것도 많이 창피하다. 그러나 또 책한권 제대로 안 읽어보시고 글을 쓰신 분들도 무책임하다는 생각이 든다. 어쩌면 그래서 사무엘 마펫의 책이 가치있는 고전이 되는지도 모르겠다. 다른 책들에서 찾지 못한 자세한 내용들을 마펫의 책에서 접할 수 있었다.

 

또한 계속해서 생기는 질문은 중앙 아시아로 간 네스토리안 공동체는 시리아어로부터 점차 그 민족의 언어를 사용하게 되었다고 했다. 시리아 교회 선교 방법과 관련된 자료에서 시리아 교회가 선교를 잘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이유 중 하나가 시리아어와 현지 어를 모두 사용한 것이라고 했다.(라반 바르 사우마도 여러 개 언어를 했다.) 중앙 아시아로 쫓겨 나갈 때는 이미 중국에서 200년을 지난 시간이었는데 그 동안도 계속 시리아어를 공용으로 사용한 것인지 궁금했다.

회창폐불과 황소의 난으로 인해 경교가 전멸되었다고 볼 수 있겠으나, 수(數)적으로 봤을 때 불교가 받은 타격은 더 컸다 그러나 아직도 불교는 남아있다. 이유는 무얼까? 차이점은 무얼까?

 

  중국에서 경교의 흥망성쇠 과정을 보면서 ‘하나님을 신뢰함’을 생각해 보게 되었다. 예수님은 우리를위해 이길 수 있는 상황에서 이기지 않으셨다. 40일 금식 후 광야에서 사탄이 유혹하지 않아도 드실수 있었고 가질 수 있었던 모든 것을 사람의 입장이 되어 고스란히 고난을 감당하는 것을 선택하심으로 승리하셨다. 십자가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경교의 중국 진출의 역사에서 (고난이 아예 없다는 것은 아니다.) 황실의 힘을 빌어 성장 했을 때 황실의 쇠퇴와 함께 경교도 쇠퇴했음을 보게 된다. 더불어 네스토리안이 된 가족들이 몇 세대를 거치면서 자신들의 정치 권력을 위해 유교로 넘어가는 것은 초기 선교사들이 자신의 유익에 따라 황실과 손잡고 의지한 모습이 그대로 답습된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 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알게 되면서 나또한 지금 하나님이 허락하지 않고 원하시지 않은, 주시지 않은 무엇을 하나님보다 더 의지하고 있는 것은 없는지 돌아보게 된다. 이러한 역사를 보고 선교사들이, 목회자들이 배워야 하겠다. 무조건 팽창하는 것이, 거대해지는 것이 좋은 것인지를...

 

  선교에서 항상 대두되는 문제 이지만 어디까지 상황화 하고 어디부터 현지에 이양을 해야 하는가의 문제를 생각해 보게 된다. 첫번 선교사들의 번역의 문제가 있었겠지만 동일한 번역의 문제가 이후에도 계속 되지 않았을까 하는 개인적인 추측이 든다. 당나라에서 중앙 아시아 초원으로 네스토리안들이 퍼저 나갈 때 웅구트 족과 같은 열매도 있었다. 그러나 다른 소수민족들의 경우 그들의 종교와 문화에 기독교가 심하게 상황화 하는 바람에 결국은 그들의 종교와 융합되거나 변형되었다. 선교사들과 목회자들이 깨어 있어 항상 주님과 함께 함으로 하늘에서 부어주시는 지혜로 모든 사역을 감당하는 것 밖에는, 항상 은혜를 구하는 것 밖에는 방법이 없는 것 같다. 모든 상황을 다시리시고 통치하시는 하나님을 바라보며...

 

  현대에는 기독교를 향한 타종교와 문화의 공격 또한 무시 못 한다. 보이지 않는 큰 적이 힘이 세다고 좌절 한다면 그것은 기독교가 아닌 것이다. 선택 할 것이 죽음 뿐이라면 주님을 신뢰하며 죽을 수 있는 초대 기독교의 영성. 한 알의 밀알로 썩어지더라도 하나님의 나라가 도래하길 바라는 예수 그리스도의 영성. 사람 편에서 할 수 있는 노력이라고는 하나님만을 갈망 하는 것 외에는 더 이상 할 수 있는 것이 없겠다. 나를 비롯한 기독교 사역자들이 오직 주님만 바라는 삶을 살 수 있기를 응원한다.

 

  더 깊이 많이 공부하고 제대로 표현해 보고 싶었는데 언어의 장애(외국어 실력 부족)와 체력의 부족으로 깊이 공부해 보지 못한 것이 아쉽다.

 

 

7. 참고도서

(1) 김상근, “네스토리안 기독교는 왜 중국에서 사라졌는가?,” 「신학논단」 43, 2006.2,

(2) 사무엘 마펫, 『아시아 기독교회사』.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1996,

(3) 이장식, 『아시아고대 기독교사』. (서울: 기독교문사), 1990.

(4) 이재화, “동방 경교와 서방 시리아 고대교회 - 망각과 투쟁의 역사, 랍반 바르 사우마의 생애를 중심으로,” 「Muslim-Christian Encounter」 10(2), 2017.9,

(5) 이현모. "경교는 실패한 선교 모델인가?." 복음과 실천 43.1 (2009).

(6) 정수일, 『고대문명교류사』. (서울: 사계절, 2001),

(7) 편집부, "이야기 교회사/ 경교로 불려진 기독교의 전래," 「기독교 교육」 (통권401호(2002년 10월)), 서울: 대한기독교교육협회.

(8) 김광수, “경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2293, 2018년 11월 24일 방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