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신도를 깨운다 (옥한흠)
오정현 목사님이나 강준민 목사님의 문체는 어릴 때부터 읽어서 그런지 대단히 익숙했는데 책을 읽으면서 무언가 좀 불편함이 있었다. 옥한흠 목사님 저서를 처음 읽는 이유도 있겠지만 오래된 책들 같은 경우 많이 재편집해서 내는데 오래된 문체나 표현 방식이 나에게 불편했던 걸까?
독후감을 쓰기 위해 다시 한 번 기록한 것을 훑어보면서 때로는 저자의 편협한 주장이 불편했다는 것을 깨닳았다. 나에게도 그런 부분이 있으니 불편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며 나의 편협함으로 다른 사람을 불편하게 했었을 상황들이 생각났다. ‘편협’ 말고도 다른 것이 있는 것 같아서 계속 마음을 살폈다.
모든 저자들이 자기의 의견을 피력하기 위해 근거자료를 들이댄다. 저자도 기독교와 한국교회의 초기 역사를 근거로 정리하고 많은 자료들을 보였는데 왜 나는 불편했을까? 책을 읽는 동안 반론도 참 많았고, 의문도 참 많았다. 동의도 많았는데 전자가 더 많았서 그런지 여전히 불편한 마음이 있다. 이 글도 일주일이 지나면서 계속 퇴고 하고 있다.
평신도와 목회자를 평민과 귀족(?) 같은 개념으로 자꾸 나누는 부분들이 생각났고, 훈련 노하우 및 여러 가지 방법론을 설명한 곳에서 기도하고 구하는 솔루션은 하나도 없고 (내가 생각하기에 너무) 인본주의 적인 방법들을 제시하신 것 같았다. 한국 교회에 큰 영향을 끼친 선배님을 너무 비평하며 읽은 것 같지만 사실 이 방법들은 현대 젊은이들에게는 정말 안 먹히는 방법이다. 새로운 세대를 바라보는 나에게는 약간 비인격적(?, 그시대에는 맞았겠지만..)이라고 생각되는 부분들이 불편했다. 그리고 자꾸 ‘인본주의’라는 단어가 떠올랐었다. 그래서 또 불편했다. 존경하고 싶은 분에게서 자꾸 안좋은 부분을 보게 되는 경우라고 해야 할까...
한국교회가 부흥을 하던 시기에 한국 교회를 비판적으로,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진단하는 건강한 책이라는 것은 인정한다. 잘하고 있을 때 자아비판 하기는 힘드니깐. 물론 책에서 진단한 문제점은 지금도 여전히 문제인 것 같다. 1980년대 책이 쓰여지고 나서 지금까지 3허-허수, 허세(교인 많은데 세상에 영향력이 없음), 허상(신앙과 삶이 일치하지 않아 불신자와 구별이 없음)-는 여전히 존재한다. 저자는 허상 부분을 평신도의 문제로 국한했다. 허세와 허상을 전체 크리스찬의 문제로 해석하지 않고 평신도의 문제로 국한한 것이 불편한 마음의 시작이었던 것 같다.
솔직히 읽는 내내 자꾸 마음에서 반론이 올라와서 책 읽는 시간이 엄청 오래 걸렸다. 동의되는 책은 속도가 엄청 빠른데 한 달을 다 되어 가도록 3부 초반 까지 밖에 못 읽었었다. 4부는 실전의 이야기라(여전히 반론이 일어나는 내용이 있기는 했지만) 속도가 빨라져서 다행이었다.
한국 교회의 초기 역사를 훑을 뿐 아니라 ‘제자도’의 정당성과 ‘평신도’에 초점 맞추기 위해 초대교회의 설명들이 있었다. 그런데 적용 부분으로 가면서, 하나님의 뜻보다 사람이 (특별히 목회자가, 그리고 평신도 리더가) 노력해야한다는 강조가 많았다. 그럴 때 마다 불편했고 물음표를 날렸다. 살아계시다면 마나서 여쭤볼텐데..
교회의 존재 이유를 예배라고 정의함은 다른 수업에서도 계속 나오는 이야기다. 그러면서 제자훈련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것은 “평신도가 날마다 사회에서 성과속을 구별하지 않고 자신의 삶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산 제사로 드리는 제사장으로서의 소명을 가르치는 것” 이라고 쓰셨는데 사실상 책의 내용에서는 ‘사회에서... 제사장으로의 소명’을 수행하는 부분보다는 교회에서 봉사하는 부분이 훨씬 많았다. 교회의 봉사자를 키우기 위한 제자훈련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스도의 인격과 삶을 본받는 신자가 되고, 정말 크리스찬들이 예수처럼 되고 예수처럼 살기 원하며, 인격이 예수님 닮도록 한다는 취지와 다른 결과들이 우리 세대 혹은 우리 앞 세대에서 일어났다. 게다가 리더를 너무 중요시한 리더 중심의 교육이었다.
책 읽는 내내 내가 연변에서 하던 TEE 성경공부가 생각났다. 물론 리더는 질문을 잘 해야 한다. 하지만 저자가 말한 것처럼 모임에 참여하는 모두가 선생님이 되고 학생이 되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고 서로를 위해 기도 하게 되며, 인격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모임이 TEE였다. 저자가 말한 제자 훈련과의 차이점은 목회자의 영향이 그리 크지 않다는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기도가 전제되어 있다는 것이다. 아마 옥목사님이 살아계시다면 기도하며 훈련하고 훈련 받아야 한다고 강조하는 개정판을 내시지 않았을까 싶다.
*책에서 불편함을 느꼈던 많은 부분은 시대적 차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저의 부정적 발언에 마음 상하는 분이 없기를...^^
'영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틴 로이드 존스<영적침체> 20장 자족하기를 배움 (0) | 2023.12.22 |
---|---|
마틴 로이드 존스<영적침체> 16장. 시련 & 18장 & 19장 (0) | 2023.12.21 |
산둥 수용소(랭던 길키) (0) | 2023.12.18 |
HERESY_그들은 어떻게 이단이 되었는가 (알리스터 맥그라스) (2/2) (0) | 2023.12.16 |
HERESY_그들은 어떻게 이단이 되었는가 (알리스터 맥그라스) (1/2) (0) | 2023.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