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엘리자베스 리버트. <영적 분별의 길>.의 책 10장 내용의 정리입니다.
혹시 책 내용중에서, 제가 오해하거나 오독한 경우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7가지 분별 도입 항목 : 기억, 직관, 몸, 상상력, 생각, 느낌 (←인간 내부), (인간 외부 →) 자연
. 자연을 통한 분별 질문의 의미 : 분별의 새로운 각도 (다른 피조물 앞에서, 피조물로써의 질문)
. 10장의 목적 (1) 기도할 때 자연 사용하는 것 편히 하기 (2) 자연에 대한 성경적, 신학적 이해 제공

[수련1] 자연 통해 분별에 접근하기 : 자연에 기반 한 분별 실습 (야외 혹은 자연 물체의 활용)
(1) 하나님 원하시는 것 갈망, 내적 자유함 구하기
(2) 주변의 사물(생물, 무생물)에 관심 갖고 집중하고, 있는 그대로 바라보기
(3) 분별하려는 결정을 다시 말하기, 물체와 함께 있는 동안 분별 질문도 함께 머물도록하기 : 수련2에서 계속
(4) 자연이 하는 말 들어보기, 영성일지 기록하기
(5) 자연 앞에서의 경험이 나의 결정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6) 결정에 대해 새롭게 인식하게 된 것을 하나님의 부르심을 따르겠다는 갈망으로 가져가기
(7) 임시 결정을 하나님께 올려드리기 : 7개 중에서 여러개가 같은 결정이면 확증과정의 시작
Ⅰ. 그리스도인은 자연을 사랑해야 하는가? (by Sallie McFague)
.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자연을 사랑하지 않고 지금도 그렇다. (자연에 대한 기독교 양면성과 영성생활과 연관성)
1. 인간과 하나님에 대한 풍성함에 대한 연구 예
(1) 생태학자, 루터목사 Paul Santmire : 자연관점에서 기독교가 취한 두 노선(인간 영의 위치)
A. 자연 보다 위에 : 자연에 덜 호의적
B. 자연 안에 : 자기의식이 체화(embody?)된 자아가 생물학적 질서 안에서 하나님의 임재 축하
(2) 신학자, 종교교수 Mark Wallace
. 기독교인과 자연사이 벌어진 틈 메우기 위해 성령에 대한 성경적 전통을 되살리려 하는 시도
(3) 수학, 철학, 관상가 Beatrice Bruteau : 우주기원 ~ 의식(신경 생물학) 연구 : 성육신과 삼위일체 신학숙고
2. 자연을 사랑해야 한다
: 하나님은 우리가 사는 땅 안에, 땅위에 우리와 함께 계시기 때문이다. (by 성육신)
→(성육신 신학 확장) ‘성령이 모든 생명체의 가슴 안에서 그 생명체에 생명을 주는 힘으로 거주‘
(1) 예수님을 통해 나타난 성육신은 지금 여기(HERE&NOW)에서 성령의 체현(embodiment)로 나타남
(2) 본래 부모originary parent(하나님)을 기억나게 함 ∴삼위의 모든 위격들이 창조와의 긴밀한 연결
. 그리스도인들 안에 자연에 대한 인식 (1) 자연의 청지기 (2) 자연사랑? : 무의식적 불편함 (ex) 우상숭배의 장
3. 자연을 사랑해야 하는 이유
: (관점 변화) 자신에서 하나님의 관점으로 옮김 → 피조물의 작은 부분인 나를 알게 함
■ 기독교 영성의 정의
(아서 홀더 편집, 『기독교 영성 연구』 아서 홀더 편집, CLC, 2017)
“자신이 인식하게 된 궁극적 가치를 지향하는,
자기 초월을 통한 삶의 통합 프로젝트에,
의식적으로 참여할 때 일어나는 경험”
(the experience of conscious involvement in the project of life–integration
through self–transcendence
toward the ultimate value one perceives).
(a) 궁극적 가치 : 예수그리스도 안에서 계시된 삼위일체 하나님
(b) 통합 : 전체로서의 인간 (영, 정신, 몸,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정치적 책임)
. 믿음과 제자도의 삶 : 기독교 영성의 실존적 현상을 구성
(c) 경험 : 개인적이지만 내면적이지만은 않다. : 자기(self) 전체가 실재(reality)와 관련
4. 자연을 어떻게 사랑해야 하는가
: 자연을 사랑하려면 자연을 알아야 한다.(관심, 듣고, 배우고, 존중)
- 한 피조물이 다른 피조물을 대한다는 마음으로 다가가기 → “자연을 통해 분별에 접근“의 기초 제공
- 자연 안에서 자연 통하여 하나님 찾기(실습이 필요한 경우도 있음) : 있는 그대로 보고, 그 자체로 알고, 작은 풀잎에도 감사하는데 익숙해지면 이것을 통해 하나님에 대해 무엇을 드러내 보여줄 수 있는지 묻기 시작하게 됨
[수련2] 자연으로부터 오는 계시 받아들이는데 초점 (상상력 통해서 대화하기)
(1) 물체와 조용히 앉기
(2) 역사에 대해 묻기 : 태생, 어디에 있었나, 누가 만졌나/집었나/스쳐지나갔나, 어떻게 여기에 왔나..
(3) 내적 생활과 영성에 대해 묻기 : 연약함, 부드러움, 밀도, 다른 사물과의 관계
(4) 나에게 하고 싶어 하는 말은 무엇인가? : 나의 직관에 대해, 깊은 내면에 대해
(5) 하나님에 대해 하고 싶은 말은 무엇인가?
A. 수련2의 요지 : 하나님은 모든 순간마다 창조물을 통해 자신을 드러내신다.
∴ 세계 안에서 우리의 위치 인식하고 받아들일 때 분별의 성질이 달라진다.
B. 수련2의 위험 : 실용주의 (무엇을 얻기 위해 자연을 이용함, ∴본질적으로 가치 있는 존재로 존중)

Ⅱ. 자연은 정확하게 무엇인가? (자연의 정의)
: 모든 생명이 일어나는 곳, 의존하는 곳 (∴겸손하게 대하기)
. 성경 : 인간은 자연의 일부 (창1:1 하나님이 하늘과 땅을 창조하셨다.)
. 자연(땅) : 하나님에 의해 창조, 피조물들로 구성되는 영역, 인간을 포함 (by 샌트마이어)
→ 자연은 과학에 의해 연구되고 성경적 신학적으로 해석되어 왔으므로 분별 실습의 근거가 될 만함.
Ⅲ. 자연에 관하여 성경 전통이 가르쳐 주는 것 : “다스리다”
. 창세기 : 자연 안에 속한 인간, 독특한 책임 부여 – 질서와 평화 유지 (인간 with 다른 피조물들)
. 노아 이후 하나님과 동물 사이 화평케 하는 자의 역할 정지 : 자신의 보호와 식욕위해 동물 죽임
. 하나님의 본래 의도 : 동물 절대로 죽이지 않는 것
. 자연 안에서 하나님의 돌보심, 비옥함(신명기 약속의 땅, 광야에서 먹이심, 홍해, 시내산, 시편, 묵시, 신약)
Ⅳ. 기독교 신학이 말하는 자연 (자연에 대한 양면성) : 이레네우스, 아우구스티누스, 칼뱅
(1) 이레네우스 vs 영지주의자(구원으로 안내하는 특별한 지식 소유함 주장)
. 자연 : 하나님이 인류에게 주신 집 (“좋은 땅으로의 이주“ : land는 창조주가 새롭게 하신 earth)
(2) 아우구스티누스 : 영혼과 자연사이의 위계 구분 “새 땅으로의 이주”
. 피조물 : 하나님의 선하심의 표현, 피조물 통해 하나님의 섭리 관상 ∴분별의 중요한 기초와 도입
(3) 칼뱅 : 죄로 인한 무질서가 창조에 침입했으나 하나님은 피조물에 진실하심
∴ 인간이 누리고 자신의 재능을 발휘할 합법적 공간
자연 관상 “오랫동안, 진지하고 신실하게 마음으로 살피며 반복해서 숙고“ 하며 하나님 관상으로 천천히..
→ 영혼에게 초점, 자연은 인간의 활동 무대로 정의 (분별의 도입 항목)
Ⅴ. 공동-창조자로 창조된 인간 (created co-creators) : 인간의 창조성
. 인간이 창조주 하나님께 의존하는 것과 자유 의지로 주변 환경 안에 다른 것을 만듦으로 자기의 환경을 조성
. 피조물이면서 하나님의 계속적인 창조 사역 안에서 하나님과 함께 일하는 동역자 (ex) 산업혁명....
. 분별의 목표 : 어떻게 이 창조의 능력을 사용할 것인가? 어떻게 창조주와 뜻을 같이 하여 창조할 것인가?
| 토론질문1. 자연에서 분별 or 하나님 찾기가 불편한 이유가 교재에서는 우상숭배의 원인에 있다고 했다. 본인에게 무언가 불편한 것이 있다면 어떤 이유일까? 토론질문2. 주변이나 본인이 자연에서 분별 or 하나님 찾기 경험 중 오버 했거나 오해 했던 경험들이 있다면 나누어보자. |
'영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소화(小花) 데레사의 ‘영적 어린아이의 길’ (1/2) (0) | 2023.07.24 |
|---|---|
| 영적성숙의 과정으로서의 영적분별 (0) | 2023.07.21 |
| 말씀 묵상 리스트 (1) | 2023.07.17 |
| 영성지도 거룩한 초대_4장&5장 영성지도를 준비하기 (0) | 2023.07.14 |
| 천로역정 (6장 ~ 15장 끝까지) (0) | 2023.07.13 |
